•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Perception Integration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6초

청각 스트레스가 3차원 시자극 유발전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udio Stress Effect on Visual ERP Stimulated by 3-dimensional Environment)

  • 박찬희;홍철운;김남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1-308
    • /
    • 2002
  • 연구는 인간에게 3차원 공간상에서 시청각 통합 환경을 만든 후 정신적 스트레스가 시각 자극을 통해 ERPs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정상 상태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제시 상태를 구분하여 ERPs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정상상태의 남녀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생체 신호는 Fpl, Fz, Cz. Pz, O1, O2의 영역에서 전자기적 영향을 받지 않는 차폐 공간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P300의 진폭은 스트레스를 제시한 경우에 좀더 커지고, 이때의 잠재기는 길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지각, 인지. 행동의 과정을 담당하는 뇌의 활동을 전위 변동으로 기록하여 정신적 스트레스의 영향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기초적 연구 검토를 통하여 인간의 제반 과정에 관한 뇌 기능의 이상을 평가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한국어 말소리 지각에 미치는 조음에 관한 시각정보의 영향: 한국인의 McGurk 효과 (The influence of visual information on place of articulation in Korean speech perception: The McGurk effect in Korean subjects)

  • 최양규;남기춘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293-296
    • /
    • 2002
  • 운동이론(motor theory)에 따르면 조음에 관한 정보는 말소리 지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조음에 관한 시각정보가 자음지각에 중요함을 시사하는 것이 바로 McGurk 효과이다. McGurk 효과는 말소리 지각에서 청각정보와 시각정보가 상충될 때 지각의 결과는 청각에 의한 조음정보와 시각에 의한 조음정보가 통합(integration)되어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시각적으로는 /ga/를 발음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청각적으로는 /ba/를 들려주면 그 결과로 /da/로 지각된다. 마찬가지로 시각적으로는 /ka/를, 청각적으로는 /ma/를 제시하면 /na/로 지각된다. 따라서 McGurk 효과는 시각적인 조음 정보가 자동적으로, 무의식적으로 말소리 지각과정에 통합됨은 보여준다. 한편 이러한 McGurk 효과는 문화마다 그 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Sekiyama, 1997). 예컨대, 일본가 중국 원어민의 경우 미국 원어민보다 McGurk 효과가 약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인에게는 McGurk 효과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날지를 규명해 보고 아울러 기존의 미국, 일본 그리고 중국 원어민에 대한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해 보았다.

  • PDF

Reduced Gray Matter Volume of Auditory Cortical and Subcortical Areas in Congenitally Deaf Adolescents: A Voxel-Based Morphometric Study

  • Tae, Woo-Suk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9권1호
    • /
    • pp.1-9
    • /
    • 2015
  • Purpose: Several morphometric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brain abnormalities in congenitally deaf people. But no report exists concerning structural brain abnormalities in congenitally deaf adolescents. We evaluated the regional volume changes in gray matter (GM) using voxel-based morphometry (VBM) in congenitally deaf adolescents. Materials and Methods: A VBM8 methodology was applied to the T1-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s of eight congenitally deaf adolescents (mean age, 15.6 years) and nine adolescents with normal hearing. All MRI scans were normalized to a template and then segmented, modulated, and smoothed. Smoothed GM data were tested statistically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controlled for age, gender, and intracranial cavity volume). Results: The mean values of age, gender, total volumes of GM, and total intracranial volume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uditory centers, the left anterior Heschl's gyrus and both inferior colliculi showed decreased regional GM volume in the congenitally deaf adolescents. The GM volumes of the lingual gyri, nuclei accumbens, and left posterior thalamic reticular nucleus in the midbrain were also decreas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early deprivation of auditory stimulation in congenitally deaf adolescents might have caused significant underdevelopment of the auditory cortex (left Heschl's gyrus), subcortical auditory structures (inferior colliculi), auditory gain controllers (nucleus accumbens and thalamic reticular nucleus), and multisensory integration areas (inferior colliculi and lingual gyri). These defects might be related to the absence of general auditory perception, the auditory gating system of thalamocortical transmission, and failure in the maturation of the auditory-to-limbic connection and the auditorysomatosensory-visual interconnection.

현대건축의 표피에서 나타나는 다질성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Multiplicity of Architectural Ski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김도운;김동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22-32
    • /
    • 2014
  •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which is individualizing and differentiating the world, makes time and space facilitate multi-layering in the contemporary society. It gives a large influence o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that inducing the visual and spatial experience. Also, It generates new images through the skin of architecture, which implies the contingent and fluid characteristics. These phenomenon show that various parameters are working on the architectural skin simultaneously. Such complexity make the structure of open space and diversity that are homogenized and synchronized. Like this, the architectural skin implies 'multiplicity': qualitative difference which is enable to change and create new images. This characteristic generates instant images changing variously and semantics constantly by the function of skin as a filter. Also, the architectural skin integrates or relocate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ous information and elements appearing in contemporary society in order to escape the customary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Furthermor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ixture as a collection of sense has been recognized as one image. This image of mixture consists of one unified continuous integration and extend the meaning of a fluid interface not just surface of the building. The skin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very technical, so its meaning and role is expanded as a complex that exchange interaction. This means that the skin itself has functional elements of the integrated multiple skin to assist. Also it can form a multi-layered relationship and act as a wide range of interfaces depending on the perception of the observer. Therefore the multiplicity of the architectural skin indicates the importance as a boundary that generate images of new life through the sensory perception and implicit force. And it shows potential as the intermediary to try to communicate.

에이전트의 표정과 목소리 정서의 교차양상지각 (Crossmodal Perception of Mismatched Emotional Expressions by Embodied Agents)

  • 조유숙;석지혜;한광희
    • 감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267-278
    • /
    • 2009
  • 오늘날 가상 세계에서 인간과 인간, 컴퓨터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좀 더 효율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매개체로서 에이전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에이전트의 정서표현도 인간의 정서 표현처럼 해석할 수 있고 그에 대해 인간의 정서표현에 반응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반응한다는 연구들이 있어왔다. 그렇다면 에이전트의 정서표현이 표정과 목소리에서 서로 불일치한다면 어떤 쪽에 더 치중해서 에이전트의 정서를 해석할지 또는 어느 한 쪽에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두 정서 모두 조합해서 받아들일지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만약 표정과 목소리의 두 가지 정서를 조합해서 인지한다면 표정이나 목소리에서는 표현되지 않은 제 3의 정서를 느끼지는 않는 것인지 알아보았다. 실험은 표정(4) $\times$ 목소리(4)로 이루어졌다. 실험 결과 사람들은 에이전트의 한 가지 채널에 지배받아서 정서를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표정(시각)과 목소리(청각) 두 채널 모두를 조합해서 정서를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채널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에는 혼란에 빠져 무슨 정서인지 모르게 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실망, 지루함, 지친, 반가운 등의 제 3의 정서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라이트와 이토 건축의 유기적 개념과 해석 특성에 관한 연구 - 라이트의 로비 하우스와 이토의 센다이 미디어 테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Concept and Interpretation at F. L. Wright and T. Ito's Architecture - Focus on Wright's Robie House and Ito's Sendai Mediatheque -)

  • 박형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23-32
    • /
    • 2013
  • This study represents something in common and differences of organic characteristics between early modern architecture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analysing F. L. Wright's Robie House and Toyo Ito's Sendai Mediatheque. A natural organic body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ach part of an architecture has each own property and forms a whole at the same time. That is a basic concept of organic architecture, and a framework for analysis is set up based on it. The followings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organic concept and interpretation between Wright's Robie House and Ito's Sendai Mediatheque First, Wright' Robie house unites with the natural surrounding, using a physically close connection to the ground. In contract, Ito's Mediatheque shows characteristics of noncentural and fluidic space that are metaphorically reflecting tangible and intangible of factors in modern city, where there is an ambiguous physical boundary between architecture and urban environment. Next, floors, walls and ceilings of Wright's housing as for basic building blocks are physically separated and at the same time form formative un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a physical and structural organic body. And continuous flow of faces of separated walls form an organism united with the nature from a physical aspect. On the contrary to this, there is an no-boudary and floating organic architecture of integrated structure from ambiguous setting of rel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urban space in Ito's architecture. Especially, Mediatheque shows semantic integration of floating urban environmental factors through horizontal and vertical integration of horizontal slabs, vertical pipes, and skins. Last, horizontal and vertical factors of Wright' Housing is appreciated as an basic experienced structure in terms of spacial perception and fluidic inner spaces in Wright's housing is completed with a series of spatial experiences in a visual sense. On the other hand, no-boundary and floating space of Ito's architecture accept user's physical and virtual body. Especially, there is an integration transcending beyond time and space, accepting an imaginary body and events with the course of time at Ito's Mediatheque.

가상현실-트레드밀 보행에서 시각적 속도감과 보행 속도감의 불일치가 가상현실 멀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consistency Between Visually Perceived Walking Speed and Physically Perceived Walking Speed on VR Sickness in VR-Treadmill Walking)

  • 최인범;박종진;김신우;이형철
    • 감성과학
    • /
    • 제23권3호
    • /
    • pp.79-90
    • /
    • 2020
  • 서로 다른 감각 정보의 불일치가 가상현실 멀미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레드밀 기반의 가상현실 보행을 통해 감각 정보 일치의 멀미 완화 효과를 검증하고 나아가서 가상현실에서의 광학 흐름(optic flow) 단서에 의한 시각적 속도감과 트레드밀 보행을 통한 보행 속도감의 불일치가 멀미 완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1에서는 트레드밀 보행의 멀미 완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MD를 통해 앞으로 이동하는 가상현실 체험을 하면서 가만히 서 있을 때와 트레드밀 보행을 할 때의 멀미 수준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을 하며 트레드밀 보행을 할 때 더 적은 멀미를 느끼고 실재감과 몰입감은 증가하였다. 실험2와 실험3에서는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하는 속도에 대한 시각적 속도감과 트레드밀 보행의 속도감을 조작해 두 속도감이 일치할 때와 불일치할 때의 멀미 수준을 비교하였다. 흥미롭게도 참가자들은 시각적 속도감이 보행속도감보다 빠르게 느껴지는 불일치 조건에서 일치조건보다 더 낮은 멀미를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할 때 시각적 정보와 일관되게 트레드밀 보행을 하게 하는 것이 가상현실 멀미를 완화시키지만 속도감의 일치가 필수적인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Precedent based design foundations for parametric design: The case of navigation and wayfinding

  • Kondyli, Vasiliki;Bhatt, Mehul;Hartmann, Timo
    • Advances in Computational Design
    • /
    • 제3권4호
    • /
    • pp.339-366
    • /
    • 2018
  • Parametric design systems serve as powerful assistive tools in the design process by providing a flexible approach for the generation of a vast number of design alternatives. However, contemporary parametric design systems focus primarily on low-level engineering and structural forms, without an explicit means to also take into account high-level, cognitively motivated people-centred design goals. We present a precedent-based parametric design method that integrates people-centred design "precedents" rooted in empirical evidence directly within state of the art parametric design systems. As a use-case, we illustrate the general method in the context of an empirical study focusing on the multi-modal analysis of wayfinding behaviour in two large-scale healthcare environments. With this use-case, we demonstrate the manner in which: (1). a range of empirically established design precedents -e.g., pertaining to visibility and navigation- may be articulated as design constraints to be embedded directly within state of the art parametric design tools (e.g., Grasshopper); and (2). embedded design precedents lead to the (parametric) generation of a number of morphologies that satisfy people-centred design criteria (in this case, pertaining to wayfinding). Our research presents an exemplar for the integration of cognitively motivated design goals with parametric design-space exploration methods. We posit that this opens-up a range of technological challenges for the engineering and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computer aided architecture design systems.

유아교육시설에서 나타나는 '공간 체험'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이동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pace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 Focusing on the Movement of the space -)

  • 문숙영;김진모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10
    • /
    • 2012
  • In recent times, education facilities for children have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children. This is because children have a more sensitive response than adults in their lives. All of the field activities, body movement, and play they go through in their living environment exhibit a great educational effect while promoting their emotional,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therefore, these are the main priority factors in planning an education facility for children. A space may be deemed to be cre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the people who perceive them. Also, space cognition may be defined to be made of the perception of a space, integration with experience, and restructuring. Physical factors and visual factors, which are the basic factors composing a space, either play their roles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 space or form a relationship through a combination between the factors; thereby, diverse types of space experiences may be created. Space experience may be realized through the "movements" of a user, and a user selectively experiences a space through his/her voluntary movements, while experiencing the space against their will through flexible movements. In particular, space experience through movements has an effect on children in terms of making them feel like having daily exploration, and it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 A movement space in which "movements" appear most strongly in an education facility for children connects various nearby spaces, and it also portrays a transfer role. Furthermore, in this space, a variety of space changes can be found; thereby, children are able to have diverse selective space experiences.

발달지연 아동의 시-운동 협응 및 소운동 협응 기능 향상을 위한 과제지향의 중재(task-oriented intervention) 적용: 단일대상연구 (Task-Oriented Intervention for Improvement of Visuomotor Coordination and Fine Motor Coordination Functions in Developmental Delayed Child : A Single-Subject Design)

  • 송지원;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6-45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지연의 아동을 대상으로 과제지향의 중재를 사용하여 시-운동 협응과 소운동 협응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6세의 여아 1명이었다. 아동은 진단은 받지 않았으나 전반적인 기능에 발달지연을 보였다. 연구기간은 2021년 2월 5일부터 6월 4일까지이었고,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 A-B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A는 초기 3회기로 아동의 기능 파악을 위해 초기평가를 하였다. 중재기 B는 12회기로 과제지향의 중재(task-oriented intervention)를 사용하였다. 기초선과 중재기에 동일하게 아동의 시-운동 협응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시지각발달검사 3판의 타원그리기를 실시하였고, 소운동 협응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Clinical Observation of Motor and Postural Skills(COMPS)의 손가락-코 짚기를 실시하였다. 회기별 변화도는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결과 : 한국판 시지각발달검사 3판의 타원그리기의 기초선 평균은 23점이었고, 중재기 평균은 39.66점으로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의 평균이 16점 이상 향상되었다. COMPS의 손가락-코 짚기의 기초선 평균은 0점이었고, 중재기 평균은 5.08점으로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의 평균이 5점 이상 향상되었다. 결론 : 취학 전의 발달지연아동에게 과제지향의 중재는 아동의 학습에 바탕이 되는 시-운동 협응과 소운동 협응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