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Monitoring System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2초

주남 습지대의 곤충다양성 (Diversity of Insect Fauna in Junam Wetland of Korea)

  • 안수정;카시나스 칠루왈;최성환;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35-145
    • /
    • 2017
  • 주남 습지대($6.02km^2$) 곤충상의 다양도, 우점도, 풍부도 등을 습지대 내 3곳의 습지에서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육안조사와 쓸어잡기는 2010년, 말레이즈 트랩 조사는 2011년, 유아등 조사와 함정트랩 조사는 2012년에 실시하였다. 총 14목(目) 141과(科) 574종(種)의 9,269 개체 (딱정벌레목 36.3%, 나비목 21.3%, 잠자리목 13.9%)가 조사되었다. 종수(種數)로 비교해 보면, 나비목이 31.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딱정벌레목(28.0%) 노린재목(12.9%) 순이었다. 우점종(총 조사개체에 대한 각 종의 개체수 비율)은 애넓적물땡땡이(Enochrus simulans, 7.9%), 꼬마줄물방개(Hydaticus grammicus, 4.3%), 일본잎벌레(Galerucella nipponensis, 4.1%), 연물명나방(Elophila interruptalis, 3.1%), 양봉꿀벌(Apis mellifera, 2.2%) 순이었다. 세 곳의 습지에서 조사된 딱정벌레목, 나비목, 잠자리목 곤충의 수는 매우 많았지만 세 습지 간에 차이는 없었다. 주남 습지대의 곤충다양도(H'), 풍부도(RI)는 각각 5.04, 59.10이었다.

성견하악골의 신연 부위에서 골형성에 대한 혈소판-풍부 혈장의 효과 (EFFECT OF PLATELET-RICH PLASMA ON BONE FORMATION IN DISTRACTED AREA OF CANINE MANDIBLE)

  • 류수장;이충국;최병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6호
    • /
    • pp.498-510
    • /
    • 2001
  • Distraction osteogenesis refers to the biological process responsible for new bone formation between bone segments by gradual distraction after osteotomy. For the past several years, various inconveniences including a protracted consolidation period that requires patients to wear a distractor frame longer, as well as higher medical costs, have not been remedied by improvements in osteotomy, distraction rate and monitoring system. Furthermore, side effects such as pin tract infections and soft tissue swelling may arise due to the long treatment period. These drawbacks form the rationale of this study which purports to seek a method by which the consolidation period can be reduced. This paper examines how platelet-rich plasma(PRP), known to facilitate osteogenesis, influences bone formation when applied in distracted area. Ten mongrel dogs, which were made to wear external distractor frames after osteotomy in both sides of the mandible, were used as subjects. After a 7day period of latency, distraction was carried out at a rate of 1mm/day for 14 consecutive days. After the onset of distraction, 2ml of PRP and a mixture of calcium gluconate and thrombine were injected into the center of the distracted callus on the left side of the mandible. The left was injected with PRP while the right side was set as the control site without PRP treatment. Execution at the onset of distraction and in 2 weeks, 4 weeks and 8 weeks after the consolidation period, clinical and radiographic tests, bone mineral density examination,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are both sid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ased on the clinical examination at two weeks, more remarkable cortical bone formation was found on the buccal and lingual side of the distracted area in the PRP treatment site than in the control site. No visu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RP treatment site and the control site at four eight weeks. 2. Based on the radiological examination, a distinct increase in the radiopaque appearance of the PRP treatment site was revealed at two weeks, but this increase appeared to slow down at four and eight weeks. 3. Examin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wo weeks with the PRP treatment site yielding density two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site. This difference lessened after four weeks, and disappeared at eight weeks. 4. The histomorphometric examination revealed that about 20% more bony trabeculae area(20%, higher) was formed in the PRP treatment site than in the control site.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PRPs effect on stimulating bone formation in the PRP treatment site manifest as early as two weeks. Trabeculae formation likewise increased throughout the whole period. If this result can be applied to humans, the consolidation period can be reduced by injecting PRP into the distracted area.

  • PDF

주민주도형 안전 공동체 조성에 있어 서비스디자인의 역할 탐색 (A Study on the Role of Service Design in Creating Resident-driven Safe Community)

  • 전영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407-414
    • /
    • 2017
  •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으로 발생하는 도시범죄에 있어 차별화된 사고 패러다임과 문제 접근법으로 범죄위험의 새로운 극복모델을 제시한 서비스디자인의 실효성을 탐구한다. 실증사례는 대구시 달서구 두류동의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주민주도형 안전 공동체 조성사업'으로 선제적 주민밀착형 프로세스를 통해 예방 위주의 지역안전시스템을 마련했다고 평가받는다. 이 사업은 지역범죄의 사전예방을 위한 '자연적 감시능력배양 프로그램', 지역안전에 대한 주민의 '사회적 역할 확장 프로그램', 주민안전의 종합적 해결안을 제공하는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설계' 영역으로 추진되었다. 이 사업에서 서비스디자이너는 주민 주도가 가능한 과업 플랫폼을 설계하고 주민 간 교류의 기회를 확대시켜 지역 환경생태계를 재구성하는 전문가로 활동한다. 이 과정에서 주민들은 지역 연대감을 강화하고 그들 스스로 안전한 삶의 공간을 유지하는 잠재역량을 배양한다. 본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안전 공동체 조성에 있어 서비스디자인의 실효성은 지역주민 간의 관계개선, 범죄예방활동에 있어 주민참여의 활성화, 지역안전에 대한 주민인식환기로 규명한다.

스마트 기기에 의해 전자기기별 차단전력문턱치 설정기능이 장착된 자동대기전력 차단콘센트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automatic standby power blocking socket outlet having a blocking power threshold per electronic device by the smart machine)

  • 오창선;박찬영;김동회;김기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81-48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차단전력문턱치에 의해 대기전력을 감소시키는 자동대기전력 차단콘센트를 구현하였다. 여기서 대기전력은 사용하고 있지 않은 전자제품에 콘센트가 꽂아져 있는 경우, 흐르는 전력을 뜻한다. 제안한 콘센트의 경우 PC(Personal Computer)나 모바일 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로 실시간 전력량을 확인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전력문턱치를 직접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전자기기든 각 대기 전력에 맞게 차단전력문턱치를 설정하여 확실하게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비젼, SN8 C 스튜디오로 코딩을 했으며, 하드웨어는 크게 ATmega128, SN8F27E93S, USB to UART, 릴레이로 구성되어 있다. 모의실험결과, 제안된 방법과 기존 방법에서 먼저 휴대폰을 비교해보면 대기전력값이 큰 차이가 없지만 컴퓨터, 에어컨, 특히 셋톱박스의 경우에는 기존 방법에 의한 대기 전력이 제안된 시스템에 의한 대기전력보다 많은 소모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안된 차단콘센트는 대기전력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설에 있는 치매노인의 주요문제특성에 대한 기초 연구 (A Study on Important Problem Features of Hospitalized Senile Dementia Patients)

  • 김현준;이행운;유지혜;최미현;엄진섭;이정환;탁계래;정순철
    • 감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373-381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의 보호를 위해 필요한 주요문제특성의 추출이다. 시설에 입소해 있는 치매노인 110명과 정상노인 30명을 대상으로 기본특성 조사, 인지기능 선별검사(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문제특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이용하여 치매노인의 주요문제특성을 추출하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성별과 치매 중증도에 따른 문제특성의 빈도차이를 검증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총 20개의 주요문제특성이 추출되었다. 문제특성의 빈도는 성별에 따라 폭력적 언어 및 작화, 수집행동, 반복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 중증도에 따라서는 성적 이상행동과 시청력 장애를 제외한 모든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치매노인 보호를 위한 유비쿼터스 기술의 활용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Polydeoxyribonucleotide Improves Peripheral Tissue Oxygenation and Accelerates Angiogenesis in Diabetic Foot Ulcers

  • Kim, Seoyoung;Kim, Junhyung;Choi, Jaehoon;Jeong, Woonhyeok;Kwon, Sunyou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4권6호
    • /
    • pp.482-489
    • /
    • 2017
  • Background Polydeoxyribonucleotide (PDRN) is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d angiogenic effects and to accelerate wound heal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DRN could improve peripheral tissue oxygenation and angiogenesis in diabetic foot ulcers.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Twenty patients with a non-healing diabetic foot ulcer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a control group (n=10) and a PDRN group (n=10). Initial surgical debridement and secondary surgical procedures such as a split-thickness skin graft, primary closure, or local flap were performed. Between the initial surgical debridement and secondary surgical procedures, 0.9% normal saline (3 mL) or PDRN was injected for 2 weeks by the intramuscular (1 ampule, 3 mL, 5.625 mg, 5 days per week) and perilesional routes (1 ampule, 3 mL, 5.625 mg, 2 days per week). Transcutaneous oxygen tension ($TcPO_2$) was evaluated using the Periflux System 5000 with $TcPO_2/CO_2$ unit 5040 before the injections and on days 1, 3, 7, 14, and 28 after the start of the injections. A pathologic review (hematoxylin and eosin stain) of the debrided specimens was conducted by a pathologist, and vessel density (average number of vessels per visual field) was calculated.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PDRN-treated group showed improvements in peripheral tissue oxygenation on day 7 (P<0.01), day 14 (P<0.001), and day 28 (P<0.001). The pathologic review of the specimens from the PDRN group showed increased angiogenesis and improved inflamm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PDRN group in terms of vessel density (P=0.094). Complete healing was achieved in every patient. Conclusions In this study, PDRN improved peripheral tissue oxygenation. Moreover, PDRN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inflammation and angiogenesis in diabetic foot ulcers.

PCR-DGGE를 통해 분석한 항암치료에 따른 장내 미생물 변화 (A PCR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alysis of Intestinal Microbiota in Gastric Cancer Patients Taking Anticancer Agents)

  • 유선녕;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90-1298
    • /
    • 2017
  • 인체의 장내에 존재하는 장내 미생물은 서로 공생 또는 길항 관계를 유지하며 우리 몸의 면역 방어 기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항암제가 위암 환자의 장내 미생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다.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의 분변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하고, 16S rDNA 유전자에 대한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를 수행하였다. 분석된 균주는 개체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대부분 사람의 장내에 살고 있는 normal flora로 동정되었다. 모든 분변에 존재하는 5 개 밴드의 서열 분석 결과에 의하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Morganella morganii 및 Uncultured bacterium sp.가 나타났고, 항암제 처리 후 Sphingomonas paucimobilis, Lactobacillus gasseri, Parabacteroides distasonis 및 Enterobacter sp.가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probiotic으로 알려진 Bifidobacterium과 Lactobacillus를 특이적 PCR primer를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항암제 투여로 인해 Bifidobacterium과 Lactobacillus의 개체군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diarrhea와 같은 부작용의 원인을 예상하게 하며, 장내 생태계의 주요 박테리아 집단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항암제 투여와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균총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PCR-DGGE 분석법이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음향방출을 이용한 무근콘크리트 보의 균열 발생원 탐사기법 (Crack Source location Technique for nam Concrete Beam using Acoustic Emission)

  • 한상훈;이웅종;조홍동;김동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07-113
    • /
    • 2001
  • 본 연구는 AE기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의 균열발생원 탐사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본 실험에 앞서 무근 콘크리트 블록에 모의 AE 발생원 실험을 실시하였다. 센서배치에서는 삼각형 결함원 탐사기법과 사각형 결함원 탐사기 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콘크리트 보에서는 삼각형 결함원 탐사기법이 사각형 결함원 탐사기법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콘크리트 보에 균열원 탐사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시험체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수준비(물-시멘트비)를 실험변수로 즉, 물-시멘트비를 40%, 50%, 50%로 하여 각각 3개씩 총 9개를 제작하였다. 콘크리트의 손상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하중재하방식은 반복 휭재하방식을 채택하였고, 파괴실험시 발생하는 AE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카이저효과와 펠리시티효과를 실험실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FR값을 분석한 결과 구조물의 열화도지수로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콘크리트 강도수준에 관계없이 최대하중의 70%대에서 AE의 활동성이 높아지기 시작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실구조물에 적용시 파괴경보시스템구축에 적용 가능한 하나의 인자로 사료된다. 한편, 실제 균열 발생위치와 결함원탐사방법을 비교한 결과 육안조사에 의해 주균열이 발생하기 전에 AE 모니터링으로 사전 감지가 가능하였다.

온실재배 토마토의 농직경 변화에 의한 관개시기 진단 (Diagnosis of Irrigation Time Based on Microchange of Stem Diameter in Greenhouse Tomato)

  • 이변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0-257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온실재배 토마토에서 경직경의 경시적 변화와 식물체내 수분, 토양수분, 증산 및 일사량 등과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토마토 경직경의 monitoring에 의한 관개시기 진단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스트레인게이지로 제작한 경직경 미소변화 측정장치와 load cell을 이용하여 각각 경직경 변화 및 지상부 생체중의 변화를 1996년 7월 1일부터 16일까지 10분 간격으로 계측하였으며, 또한 토양 수분함량, 증산, 일사량 등도 동시에 관측하였다.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충분한 관개를 하였으며 이후는 외관상으로 위조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할 매 관개를 하였다. 생체중과 경직경은 매우 유사한 일변화를 보였는데 해뜰 무렵인 오전 6시경에 최대치에 이르고 이후 일사량과 증산의 증대에 따라서 감소하기 시작하여 중산이 최대에 이르는 시각보다 다소 늦은 오후 3시경에 최저에 달하였다가 일사 및 증산의 감소에 따라서 다시 증대하여 경직경의 변화와 체내수분함량의 변화와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수분부족 증상이 없었던 날들의 일당 경직경 증가량(DI) 및 생체중 증가량(DG)은 일사량과 높은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수분부족장애를 받은 날들은 일사량에 따른 이들의 기대치보다 현저하게 낮아 생체중 및 경직경 증대가 매우 둔화되거나 오히려 감소하여 이를 기준으로 관개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실험기간 중 7월 10일의 경우 외관상으로는 위조증상이 없었으나 증산량은 현저히 감소하여 식물체가 수분부족 상태였던 것으로 판단되었는데 이 날 토중 l0cm 및 20cm에서의 토양수분 포텐샬은 -0.2bar 이상으로 전일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경직경 및 생체중의 증가는 현저히 둔화되어 수분 부족을 잘 반영하였다. 한편 낮 동안의 생체 중 최대감소량(ML)과 경직경 최대수축량(MC) 역시 일사량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여 일사량 및 증산량 증대에 따라 체내 수분 손실량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서 경직경이 감소하는 한계를 보였다. 그리고 식물의 수분장애가 심한 경우에는 일사량에 따른 이들의 기대치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나 수분장애가 미약한 경우에는 기대치와 구별하기가 어려워 이들을 기준으로 관개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관개시기의 판단에는 토양수분, MC 및 ML을 기준으로 하는 것보다 DG 또는 DI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MMS 점군 데이터를 이용한 CCTV의 실질적 감시영역 추출 (Creation of Actual CCTV Surveillance Map Using Point Cloud Acquired by Mobile Mapping System)

  • 최원준;박소연;최윤조;홍승환;김남훈;손홍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3호
    • /
    • pp.1361-1371
    • /
    • 2021
  • 스마트 시티 서비스 중 방범·방재 분야가 2018년 기준 가장 높은 24%를 차지하고 있으며, 실시간 상황정보제공에 가장 중요한 플랫폼은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이다. 이러한 CCTV의 활용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CCTV가 제공하는 실질적인 감시 영역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국내에 설치된 CCTV양은 지자체 관리대상 포함 100만대를 넘고 있다. 이러한 방대한 양의 CCTV의 가시영역을 수동적으로 파악해야 하는 것은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CTV의 실질적 가시권 영역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관리자가 상황 파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접근이 어려운 기 설치된 CCTV 카메라의 외부표정요소와 초점 거리를 MMS(Mobile Mapping System)의 점군 데이터를 활용하여 계산하고, 이 결과를 활용하여 FOV(Field of View)를 계산하였다. 둘째, 첫 단계에서 계산된 FOV 결과를 이용하여 건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폐색 영역을 고려하여 CCTV의 실질적 감시 영역을 그리드 단위 1 m, 2 m, 3 m, 5 m, 10 m 폴리곤 데이터로 구축하였다. 이 방법을 경상북도 울진군에 위치한 5개소의 CCTV 영상에 적용한 결과, 평균 재투영 오차는 약 9.31 pixel, 공공데이터포털(Data Portal)에서 제공하는 위·경도 좌표와의 거리는 평균 약 10 m의 거리 차이가 발생하였고, MMS를 통해 취득한 점군 데이터 상의 CCTV 위치 좌표 값과는 평균 약 1.688 m의 위치 차이를 나타냈다. 단위 그리드의 한 변의 크기가 3 m인 경우, 본 연구를 통하여 계산된 감시 영역 폴리곤은 육안으로 확인한 실제 감시 영역과 최소 70.21%에서 최대 93.82%까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