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tors to Cultural Festival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6초

문화관광축제 인식이 축제만족과 축제효과에 미치는 영향 -추억의 충장축제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Recognition on Cultural Tourism Festivals on Festival Satisfaction and Festival Effects)

  • 최동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39-346
    • /
    • 2018
  • 본 연구는 문화관광축제에 대한 방문객의 인식이 축제만족과 축제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 문화관광축제의 운영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 문화관광축제인 추억의 충장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41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문화관광축제 인식 요인이 관광적 인식과 문화적 인식으로 구분되었고, 이들 인식은 축제만족과 축제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축제를 운영하는 측에서는 방문객의 관광 편의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지역의 고유문화를 방문객들이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지방자치단체간 문화관광축제의 연계유형 평가 - '2001 세계도자기엑스포' 개최 관계자와 방문객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The Linkage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among Local Governments - A Case Study of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f Korea'-)

  • 강영애;조중현;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5-6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linking and coordinating Cultural Tourism Festivals among local governments and to propose a plan for maximizing the effects of these festivals.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which took place from August 10th to October 28th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for the linkage pla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among local governm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a random sampling of visitors to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from 24 to 28 October, 2001. 369 samples from a total 375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cognition and satisfaction about the effects of the festival linkage among local governments and the preference of festival linkage typ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not only festival staff but also visito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linking festivals among regions. Both visitors and festival staff had a positive attitude about the effects of the linked festival. In addition, they highly rated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as a successful festival. Visitors were satisfied with the festival. Furthermore, the number of visitors was more than staff expected. The organizing committee and staff considered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as a successful festival. The successful evaluation of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was related to the successful linkage of the festival. This study originated in the increased necessity of linking cultural Tourism Festivals among local governments. Since it is a transcendental study, it is not only significant but also limited. However, in the near future, more varied case studies about the linkages of Festivals will be conducted and these will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linkage plans through positive analysis. For the effective linking of festivals among region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finition of factors that affect visitors satisfaction, and determine which methods will improve visitors satisfaction.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전략 연구(제 1보) - 지역문화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Design for Promot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 Focusing on utilization of local cultural resources -)

  • 정경희;이미숙
    • 복식
    • /
    • 제59권7호
    • /
    • pp.17-3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some pieces of prior information to eventually develop high value-added fashion cultural products design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to promote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carried out the investigation of cultural product stores and visitors'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stivals which were selected as cultural tourism festival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rom 2000 to 2008. Of them, six festivals were finally selected but food festival was exclu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ore survey was conduced to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product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The most frequent product was accessories. And a T-shirt was found to be sold every festival probably because it was the most popular item and basic item which people could buy without burden. While the most diverse kinds of products were found in the Andong, the Jinju and Gangjin were found not to develop various products. In the design motif used for cultural products, most products did not use festival or local image. The highest use of the festival and local image was found in Gangjin and Muju. The Andong and Chungju were found to sell very common products buying anywhere rather than produc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or image. In the material of cultural products, most products use metal. And In the price of cultural products, 10,000-30,000 won was found highest. Second, the purchase condition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visitors were examined. The visiting goal and companion of visitors was found to vary with the type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The types of visitors were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choice of items in the purchase of cultural products sold in the festival. Only one third of respondents responded buying one and more cultural products. The purchase rate was found high in the festival where cultural product items were various and there were many products symbolizing festival or region. The most purchased item was a mobile phone hanger and the amount of purchasing cultural products was 10,000-30,000 won. The reason not to purchase cultural products was dissatisfaction with utility, originality, possibility of a present, symbolism, and price.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in the purchase of cultural products was design, followed by symbolism, price, originality, and innovation. The highly preferred product group included clothing, miscellaneous goods, and accessories. Specifically, T-shirt was found highes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strategy for the cultural products development should consider both regional and festival images. The items and designs of the cultural products should reflect visitors' characteristics and the price zone should be varied.

전통문화축제의 스토리텔링이 축제매력성과 방문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강릉단오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 Storytelling on Festival Attractiveness and Visitor Satisfaction(Focusing on Gangneung Danoje Festival))

  • 이제용;이광옥;유광우;김명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396-40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2014 '천년의 힐링로드 강릉단오제'를 방문한 이용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방문객의 의사소통을 이끌어주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새로운 축제 표현기법으로서 축제요인을 상호작용(interaction), 이야기(story), 표현(telling)으로 구성하여 축제의 매력성과 방문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전통문화축제 스토리텔링은 축제매력성과 방문객 만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축제매력성에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교통 및 접근성, 서비스 및 숙박이 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방문객의 만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통문화축제와 방문객과의 상호작용과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속적인 문화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김치축제 행사에 관한 평가 연구 (The Appraisal of the Kimchi Festival)

  • 정강환;노용호;김현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40-65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of Kimchi food festival in 1999, 2000, and 2003. This is the longitudinal study on the cultural festival which used Kimchi as the main resourc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Kimchi festival as a foreign tour product. This study has several important findings including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was higher than domestic visitors in most programs. Second, there were many foreign visitors to the festival and the satisfaction of foreign tourists was higher than residents and domestic tourists. More programs for the foreign visitors are recommended to be an international food festival. Third, experience based food tour events were popular. Introducing more experience oriented programs are recommended for this festival Fourth, There should be more improvement on food price and parking.

로짓모형을 이용한 축제참가자의 재방문 의사 분석 (Revisit Intention of Visitors to Cultural Festival using Logit Model)

  • 허중욱
    • 산학경영연구
    • /
    • 제22권1호
    • /
    • pp.139-156
    • /
    • 2009
  • 본 연구는 지역별로 차별적인 문화축제가 왕성하기 이루어지는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여 문화 축제참가자의 만족과 재방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설계와 차별적으로 측제참가자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프로그램별 만족도를 측정하여 만족도 변수가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형 1은 각 프로그램별 만족도와 각 설명변수 중 축제 재방문 의사표명 결정인자를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축제 재방문 의사결정인자로 작용하는 변수는 설명변수 중 프로그램 만족도, 방문횟수, 관람일수 등은 정의값을 보여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요시간은 거리마찰력의 작용으로 인하여 부의 값을 보여, 거리가 멀수록 축제 재방문 의사가 부정적으로 표출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모형 2는 종합적인 축제 만족도와 각 설명변수 중 축제 재방문 의사결정인자를 도출하는 모형이다. 분석결과 축제 재방문 의사결정인자로 작용하는 변수는 종합적인 축제 만족도, 출발지와 목적지간 소요시간, 방문횟수, 관람일수 등으로 나타났다. 모형 2는 모형 1과 동일하게 종합적인 축제 만족도, 방문횟수, 관람일수는 회귀계수값이 정의 값을 갖는 반면에 소요시간은 부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모형 1에 비하여 모형 2의 회귀계수값이 통계적으로 보다 유의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개별적인 프로그램 만족도를 바탕으로 만족도를 측정하는 방식과 더불어 종합적인 축제 만족도를 설명변수로 모형을 설정했을 경우, 종합적인 축제 만족도 측정이 보다 유용할 면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축제관리가 축제의 본원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축제의 프로그램별 만족이 선행되어야만 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축제방문객의 집단별 만족도 비교 연구 -제57회 백제문화제를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atisfaction Degree among Local Residents,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 The Case of Baekje Cultural Tourism Festival)

  • 유기준;최영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1-174
    • /
    • 2012
  • 본 연구는 제57회 백제문화제 방문객의 거주특성을 지역거주, 타 지역거주, 외국인집단으로 세분하여 제57회 백제문화제에 대한 축제 부문별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추천의도의 차이 및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57회 백제문화제 기간(2011.10.1.~10.9) 동안 지역거주 방문객 216부, 타 지역거주 방문객 342부, 외국인 방문객 116부로 총 674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였다. 통계분석 결과는 외국인 방문객과 내국인 방문객은 축제 부문별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추천의도가 차이가 있었고, 외국인 방문객의 만족도가 내국인 방문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축제프로그램의 구성전략에서 집단별 차이를 반영하여 다양한 방문객들에게 양질의 경험을 제공하고자하는 축제 운영자를 비롯하여 관련 연구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지역축제 방문객의 축제 이미지 평가에 따른 만족과 재방문 의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Local Festival Visitors - Focused on Visitors’ Evaluation of Festival Image Attributes -)

  • 김시중;정경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631-646
    • /
    • 2008
  • 본 연구는 지역축제 방문객의 축제 이미지 평가에 따른 만족과 재방문의사 분석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인‘무주 반딧불축제’를 중심으로 정서적 이미지 23개 인지적 이미지 26개의 요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이미지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결과 정서적 이미지요인에서는‘독특성’인지적 이미지에서는‘신명성’과‘교육적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제 이미지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결과 정서적 이미지요인 중 재방문에‘독특성’‘전통성’이, 인지적 이미지요인에서는‘신명성’‘교육적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축제 이미지가 구전의사에 미치는 영향분석 결과 정서적 이미지요인 중 구전의사에‘독특성’이 인지적 이미지요인 중‘신명성’‘교육적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전략 연구(제 2보) -지역문화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for the Promot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II)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Local Cultural Resources-)

  • 정경희;이미숙
    • 복식
    • /
    • 제60권2호
    • /
    • pp.51-6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 design with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to contribute to promoting cultural tourism festivals. To accomplish this study, first, a preliminary survey is carried out the investigation of cultural product stores and visitors' questionnaire survey. Next, based on these survey and prior study,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oncep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to developed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Adobe Photoshop 6.0, and Adobe Illustrator CS Program were us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patterns, textile design and illu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ased on preliminary research results, the problems of the desig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products were derived. As one 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oncep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to develop fashion cultural products. The concept of the Andong Maskdance Festival was 'Tribal-Holic'; the Boryeong Mud Festival, 'Get away form it all'; the Gangjin Celadon Festival, 'Timeless Memories';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Lighting up the River'; the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Next Ergonomics Gym'; and the Muju Firefly Festival, 'Eco-Purity'. Second, based on the desired items of festival organizers and the survey of visitor's preference for cultural products, 4 items were selected by festival type. Then a total of 96 designs of 4 kinds each were developed using logos or characters, traditional patterns, special products, symbolizing region, or festival as a motif. Third, the strategy for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design for promot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were 'Place identity design strategy', 'Market oriented design strategy', 'Buyer-Based pricing strategy', 'Regional brand strategy', and 'Distribution networks expansion strategy'.

문화관광축제 방문객의 평가속성 만족과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2006 광주김치대축제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Evaluation Attribute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 김정훈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55-73
    • /
    • 2007
  • 문화관광축제는 전국의 지역축제 가운데 광역시 도에서 추천한 축제 가운데 관광상품성이 크고, 경쟁력 있는 우수한 축제를 선정하여 지원하는 사업이다. 문화관광축제 종합평가계획(문화관광부, 2006)에 의하면 방문객의 만족도 평가, 전문위원 평가, 그리고 축제 개선실적 등을 감안하여 최우수축제, 우수축제, 유망축제, 예비축제로 선정되고 있다. 특히 예비축제를 제외한 문화관광축제는 공공부문의 사업비 지원을 받기 때문에 1,000여 개가 넘는 지역축제의 방문객 만족도 평가는 상호비교가 가능한 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종합평가분석이 이루어진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광축제 공통평가속성이 방문객 만족과 사후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축제기획 시 방문객 만족도 제고와 지속가능한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연구를 통하여 문화관광축제 평가속성, 만족, 그리고 행위의도에 관한 변수를 도출하였으며, 2006 광주김치대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화관광축제 평가속성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홍보안내, 행사내용, 기념품 음식, 편의시설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축제방문객 만족과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을 통해 수립한 연구가설은 차이분석, 회귀분석, 공분산 구조분석 등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 모든 가설은 채택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축제와 성격이 유사한 축제방문객 분석을 통한 비교연구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