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cosity agent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7초

화학적 발포 공정이 PBAT 발포 셀 구조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기계적, 물리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Effect of Chemical Foaming Process on the Cellular Structure Development and Correlation with the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y of PBAT)

  • 지영호;박태형;추지은;황성욱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3-7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PBAT의 가교 개질을 위해 DCP를 도입하였고 화학발포제인 ADC를 PBAT에 분산시킨 후 압축 성형 공정으로 발포제의 분해를 통해 셀을 형성하여 시트형태의 PBAT 발포체를 제작하였다. FT-IR 분석을 통해 DCP의 분해를 확인하였으며 DCP 함량에 따른 PBAT의 용융 흐름 지수를 비교하여 가교로 인한 용융 점도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DSC 분석을 통해 열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Tc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DCP 첨가로 인한 가교 반응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TGA 분석 결과를 통해 DCP의 첨가가 열 안정성의 유의미한 차이를 야기시키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발포 시트의 DCP 함량 별 기계적 물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B_D3에서 다소 낮은 인장강도를 보였으며 PB_D3의 큰 셀 사이즈로 인해 응력 전달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인장강도 및 연신율이 감소하였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DCP 함량 증가에 따라 발포 셀의 개수는 감소하였으나 평균 셀 사이즈는 증가하였고 가장 큰 PB_D3의 평균 셀 사이즈로 인해 발포 시트의 밀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이러한 큰 셀의 사이즈와 낮은 밀도는 열전도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PB_D3 발포 시트의 경우 최대 0.066 W/mk 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기에, 단열 특성을 지닌 생분해성 발포 시트로의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rformance of Magnesia Cement Using MgCO3 and Serpentine

  • Lee, Jong-Kyu;Soh, Jung-Sub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16-121
    • /
    • 2016
  •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CO_2$) released while producing building materials is substantial and has been targeted as a leading contributor to global climate change. One of the most typical methods of reducing $CO_2$ in building materials is the addition of slag and fly ash, like pozzolan material another method is to reduce $CO_2$ production by developing carbon negative cement. MgO-based cement from the low-temperature calcination of magnesite required less energy and emitted less $CO_2$ than the manufacturing of Portland cements. It is also believed that adding reactive MgO to Portland-pozzolan cements can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also increase their capacity to absorb atmospheric $CO_2$. In this study, basic research on magnesia cement using $MgCO_3$ and magnesium silicate ore (serpentine) as the main starting materials, as well as blast furnace slag for the mineral admixture, was carried out for industrial waste material recycling. In order to increase the overall hydration activity, $MgCl_2$ was also added. In the case of the addition of $MgCl_2$as accelerating admixture, there was a promoting effect on the compressive strength. This was found to be due to the production of needle-like dense Mg-Cl hydrates. Mgnesia cement has a high viscosity due to its high specific surface area therefore, when the PC-based dispersing agent was added at a level of more than 1.0%, it had the effect of improving fluidity. In particular, the addition of $MgCl_2$ in magnesia cement using $MgCO_3$and magnesium silicate ore (serpentine) as main starting materials led to a lower expansion ratio and an increase in the freeze-thaw resistance finally, the addition of $MgCl_2$ as accelerating admixture led to good overall durability.

바잘트 섬유 및 하이볼륨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유동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Fluidity Properties of Mortar Using Basalt Fiber and High Volume Fly Ash)

  • 최연왕;오성록;박만석;최병걸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345-353
    • /
    • 2014
  • This study was evaluated influence of fluidity properties according to basalt fiber and high volume fly ash in the mortar level, as part of a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using basalt fiber and high volume fly ash. In the first step, it was evaluated that fluidity properties of mortar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6 level of fly ash(10, 20, 30, 40, 50 and 60mass%) and fluidity properties of mortar according to content 5 levels of SP(1.3, 1.5, 1.7, 1.9 and 2.1%) and content 5 levels of VA(0.2, 0.4, 0.6, 0.8 and 1.0%) for dispersion of the basalt fiber, in the second step, it was evaluated that fluidity properties of mortar using High-volume fly ash (50mass%) on 3 levels of basalt fiber length (6, 20 and 30mm). Results of assessment, if after a fiber mixed, it showed that viscosity agent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the fluidity and fiber dispersion than superplasticizer, high volume fly ash (50%) applying the mixing, due to three properties of fly ash, showed that the improved fiber dispersibility and flow improvement.

재유화형 분말수지와 초속경 시멘트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접착강도 특성 (Compressive and Adhesive Strengths of Mortars using Re-emulsification Type Polymer and Ultra-Rapid-Hardening Cement)

  • 이광일;윤현섭;양근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9-33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콘크리트 건물의 단면확대 내진보강 기술에서 필요한 고유동 고접착성의 보강 모르타르 배합의 개발이다. 보강 모르타르의 목표성능(플로우 220mm 이상, 압축강도 30MPa, 접착강도 1MPa 이상)을 위해 물-결합재비, 잔골재-결합재비, 폴리머-결합재비, 증점제 사용 및 초속경시멘트의 혼입 등을 변수로 단계적으로 배합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르타르의 접착강도는 기존 콘크리트의 다양한 면 처리 상태에 따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단면증설용 보강 모르타르의 배합을 위해 폴리머-결합재비는 10%, 초속경시멘트의 치환율은 5%가 추천될 수 있었는데, 이 배합은 초기 플로우 220 mm, 높은 초기강도 발현, 압축강도 35 MPa 그리고 접착강도 1.2 MPa 이상의 성능을 보였다.

진동필터가 설치된 그라우트 믹서의 시멘트 응집 저감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Cement Cohesion Reduction Effect of Grout Mixer with Vibration Filter)

  • 황성필;정재형;김창용;이우제
    • 지질공학
    • /
    • 제28권1호
    • /
    • pp.61-67
    • /
    • 2018
  • 그라우팅 공법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로 대표되는 경화재를 사용하여 지반 또는 구조물에 주입하여 보강 및 차수 등에 이용하는 공법이다. 분말 상태의 시멘트에 물을 혼합하여 교반 시키면 입자들이 응집하게 된다. 시멘트 입자들이 응집하게 되면 입자의 크기가 커져 미세한 균열에서 주입성이 낮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멘트 입자의 응집성을 저감시키기 위해 그라우트 믹서 내부에 거름망을 설치하고 진동 발생시켜 통과하는 시멘트 입자가 분리되도록 하였다. 설치된 진동필터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슬래그 시멘트, 마이크로 시멘트를 각각 사용하여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다. 점도, 블리딩, 입도분석, 압축강도 시험을 통해 진동망을 통과하는 경우 그 특성이 현저하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라우트 믹서 내부에 진동필터를 설치하면 물과 교반 시 발생되는 응집현상을 감소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Decanoic Acid와 Tri-n-octylphosphine을 이용하여 화학적 환원법으로 제조된 은 나노입자의 특성 및 전기적 전도체 적용 (Prepar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by Chemical Reduction-Protection Method Using 1-Decanoic Acid and Tri-n-octylphosphine, and their Application in Electrically Conductive Silver Nanopaste)

  • 심상보;배동식;한종대
    • 공업화학
    • /
    • 제27권1호
    • /
    • pp.68-73
    • /
    • 2016
  • 1-decanoic acid와 tri-n-octylphosphine을 분산 안정제로서 사용하고, $NaBH_4$를 환원제로 사용하여 화학적 환원법으로 $AgNO_3$ 수용액으로부터 페이스트용 은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은 나노입자의 생성, 은 나노입자의 형상 및 크기를 XRD, UV-vis, TEM 및 SEM으로 조사하였다. 합성된 은 나노입자로 페이스트를 제조하여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PET 막에 코팅하여 제조된 은 박막의 표면저항을 조사하였다. $NaBH_4/AgNO_3$의 몰비는 1 : 5가 최적으로 나타났고, 최적의 몰비에서 10-200 nm의 잘 분산된 구형에 가까운 은 나노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최적의 조건에서 얻은 은 나노입자로 PET 막에 코팅하여 제조한 은 박막의 표면저항은 $41{\mu}{\Omega}/cm^2$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밀국수의 물성과 색에 미치는 cysteine의 영향 (Effects of Cysteine on the Texture and Color of Wheat Flour Noodle)

  • 고봉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8-134
    • /
    • 2000
  • 분자 내에 반응성이 큰 thiol(-SH)기를 갖고 환원제로서 밀가루 반죽에 작용하여 반죽의 탄성을 감소시키고 점성은 증가시키는 cysteine을 첨가하여 밀가루 가공품의 산화적 갈변을 억제함으로써 색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한국산 밀가루와 수입 밀가루를 이용한 국수 반죽에 cysteine을 첨가하여 국수의 물성과 색 및 조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최적의 첨가량과 최적의 조리시간을 찾고자 하였다. Cysteine을 첨가하였을 때 건면과 생면은 오히려 명도가 감소하고 황색도가 증가되었으나 조리된 국수의 색은 cysteine첨가량이 증가될수록 국수의 명도가 증가되며 특히 우리밀 국수의 명도가 높아졌다. Cysteine 첨가에 따른 국수의 수분활성도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cysteine의 화학작용에 의한 반죽의 물성 변화에 따라 cysteine을 넣지 않은 국수에 맞추어 동일한 시간 조리된 cysteine이 첨가된 국수는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서 유기물의 용출로 인한 조리손실 율이 증가하고 국물의 탁도가 증가되었다. 또한 관능검사 결과 국수의 색은 옅게 평가되지만 씹을 때의 단단한 정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반면에 각각의 국수를 가장 적당한 조리시간에 맞추어 최적 시간 조리하였을 때 국수의 색(P<0.001)과 점착성(P<0.01)에 대한 차이는 식별하였으나 국수의 단단한 정도와 씹는 횟수 및 맛과 품질의 전반적인 선호도에 대하여 cysteine 첨가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1% cysteine의 첨가량은 조리된 국수의 명도를 가장 증가시키며 조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물성 변화에 따른 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 PDF

저작·연하 용이 소불고기 노인식 개발 (Development of Easily Chewable and Swallowable Korean Barbecue Beef for the Aged)

  • 김수정;주나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175-1181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for the elderly food that is safe, well-shaped, and easy to chew and swallow, using gelification. Gelatin, which has low adhesiveness, thereby lowering the possibility of being swallowed wrongly into the respiratory track, was used as a viscosity agent for the gelification. Water and gelatin amounts were adjusted to facilitate breaking the food with the tongue. Various foods for the elderly with chewing and swallowing difficulties were used for sensory assessment. Sensory panel consisted of 10 dietitians (10 women) in nursing care facilities. The sensory optimal composite recipes were determined by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The sensory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ppearance (p<0.05), saltiness (p<0.05), sweetness (p<0.01), and overall quality (p<0.05). The optimum formulation of the Korean barbecue beef calculated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 was 3.71 g of sugar and 19.53 g of soy sauce. Moisture content, hardness and adhesiveness of the Korean barbecue beef were 78.85%, 2.40, -1.87, respectively. The result shows that food for the elderly, which is easy to chew and swallow, using gelification will have sufficient competitiveness in terms of safety, taste, and preference. The development of food for the elderly that take into account the difficulties in chewing and swallowing among the elderly, reflects their preference, and has sufficient nutrients, is important to enable the elderly to enjoy their meals. Also, as the Korean society is getting older, it remains one of the biggest social challenges.

식혜원료로의 활용가능성 검토를 위한 발아미의 특성 조사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Sikhe Production)

  • 김석신;이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1-106
    • /
    • 1997
  • 식혜원료로의 활용가능성 검토를 위해 현미와 벼를 $15^{\circ}C$에서 2일간 침지한 후 $15,\;20,\;25,\;30^{\circ}C$에서 최대 10일간 발아시키면서 잎눈의 성장, ${\alpha}-amylase$의 활력, 추출물의 함량, 당도 및 점도를 관찰하였다. 발아온도가 오를수록 현미와 벼의 발아속도, ${\alpha}-amylase$의 활성 증가 속도, 추출물의 함량 및 그 당도 증가 속도 모두 빨라졌으며, 추출물의 점도는 발아일수 경과에 따라 먼저 감소하다가 그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아 현미와 벼의 ${\alpha}-amylase$의 활력은 발아 보리보다 작았으나 추출물의 함량 및 그 당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식혜제조시 발아 현미나 벼를 보리 엿기름 대신 사용할 가능성은 없으나 발아 현미를 백미 대신 식혜 원료로 사용할 경우 현미 자체를 원료로 사용한 경우보다 당화속도도 빠르고 당화 후 현미의 물성도 백미처럼 부드러울 수 있으리라 예상되었다.

  • PDF

실리콘 변성 에폭시 언더코팅액 물성 연구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ilicone Modified Epoxy as a Undercoating Materials)

  • 김진경;황희남;강두환;강호종
    • 폴리머
    • /
    • 제38권3호
    • /
    • pp.371-377
    • /
    • 2014
  • Polydimethylsiloxane(PDMS)을 이용한 실리콘 변성 에폭시(PDMSME) 언더코팅액의 변성 조건이 코팅 도막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리콘 변성 에폭시 언더코팅 도막은 에폭시 코팅 도막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휨성을 가지며 경도는 PDMS에 결합된 실란 커플링제에 의해 개환된 에폭시 링의 개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PDMS에 결합된 개환된 에폭시 링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대기 중의 수분과의 수가교에 의한 가교밀도 증가에 의하여 경도가 증가되며 사용된 PDMS의 탄성적 성질에 의하여 휨성 또한 우수해짐을 알 수 있었다. PDMS 분자량이 증가됨에 따라 코팅 도막의 경도는 낮아지는 반면 실리콘의 함량 증가에 따른 표면 접촉각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PDMS의 분자량이 증가됨에 따라 아세톤 용액에 의한 PDMSME 주사슬의 entanglement 감소에 의하여 코팅액의 점도가 감소되며 그 결과, 언더코팅 도막의 표면 거칠기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