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reality-based training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4초

Impact of the Fidelity of Interactive Devices on the Sense of Presence During IVR-based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 Luo, Yanfang;Seo, JoonOh;Abbas, Ali;Ahn, Seungju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37-145
    • /
    • 2020
  • Providing safety training to construction workers is essential to reduce safety accidents at the construction site. With the prosperity of visualization technologies, Immersive Virtual Reality (IVR) has been adopted for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by providing interactive learning experiences in a virtual environment. Previous research efforts on IVR-based training have found that the level of fidelity of interaction between real and virtual world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ense of presence that would affect training performance. Various interactive devices that link activities between real and virtual worlds have been applied in IVR-based training, ranging from existing computer input devices (e.g., keyboard, mouse, joystick, etc.) to specially designed devices such as high-end VR simulators. However, the need for high-fidelity interactive devices may hinder the applicability of IVR-based training as they would be more expensive than IVR headset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level of fidelity of interactive devices in the sense of presence in a virtual environment and the training performance during IVR-based forklift safety training. We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by recruiting sixty participants, splitting them into two groups, and then providing different interactive devices such as a keyboard for a low fidelity group and a steering wheel and pedals for a high-fidelity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sense of presence and task perform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low-fidelity interactive devices would be acceptable for IVR-based safety training as safety training focuses on delivering safety knowledge, and thus would be different from skill transferring training that may need more realistic interaction between real and virtual worlds.

  • PDF

신규간호사의 임상실무 적응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 요구도 조사: 혼합연구 적용 (The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training for novice nurses' adaptation to clinical practice: A mixed methods study)

  • 이미경;엄정희;김진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39-35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novice nurses during the waiting period before starting work in a hospital. Methods: A convergent mixed methods was used.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30 novice nurse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new nurs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22 to January 2023. Descriptive statistics, a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Results: Appropriate topics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education were indicated to be medications and intravenous injections, which are high priority topic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novice nurses wanted group activity training three to four times a week for two weeks before beginning work in a hospital. They also wanted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based on a real hospital environment.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education that can improve the adaptation of novice nurses to clinical practice. A strategy was suggested to utilize the waiting time before beginning work in a hospital as educational time.

가상현실기반의 경도인지장애 예방 훈련 시스템 (Virtual reality-based mild cognitive impairment prevention training system)

  • 최기원;주문일;김희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49-751
    • /
    • 2016
  • 가상현실의 등장으로 인해 과거의 이미지와 영상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3차원 공간 속으로 확장되면서 보다 사실적이고 원활한 상호작용 환경을 제공하게 되었다. 가상현실은 현실과는 달리 인간의 완벽한 통제 하에 있다는 점을 통해 현실의 대체재로 활용이 가능하며 이 같은 장점으로 인해 의학과 헬스 케어 분야에서도 가상현실을 활용한 치매 예방 및 치료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치매 전조 현상인 경도인지장애에 초점을 맞추어 가상현실 기반의 경도인지장애 예방훈련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auditory feedback and task difficulty on the cognitive load and virtual presence in a virtual reality dental simulation

  • Kim, Byunggee;Yang, Eunbyul;Choi, Namki;Kim, Seonmi;Ryu, Jeeheon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11호
    • /
    • pp.670-682
    • /
    • 2020
  • This research examined the difference in cognitive load and the virtual presence depending on auditory feedback and task difficulty in haptic-based dental simulation. In the field of dental education, practice-centered training using handpiece has been crucial because a practitioner's psychomotor experi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astery of treatment skills. For the novice, it is necessary to reduce errors in dental treatment to enhancing skill acquisition in the haptic practice. In the training process, the force-feedback is crucial to elaborate subtle movement to guide what to do and how it should be hard or soft. However, It is not easy to add force-feedback to generate kinetic experience training. As an alternative method, we examined that auditory feedback can help learners' skill train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 presence/absence of auditory feedback at the different levels of task difficulty impacts learners' psychological demand and virtual presence in the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this study, 29 dental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 dental simulation.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into two conditions that are with and without auditory feedback. Additionally, two consecutive tooth preparation tasks with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y were used in the simulation. The auditory feedback condition gives alarms to a learner when he treats a non-targeted tooth with a virtual handpiece. The user's cognitive load and virtual presence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uditory feedback.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ain effect was found in cognitive load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shown in the virtual presence. We discussed the effective design methods for the virtual reality-based dental simulation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 PDF

실감형 가상현실 실전훈련 콘텐츠를 위한 관리 평가 시스템 개발 사례연구 (Development of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for Realistic Virtual Reality Field Training Exercise Contents : A Case Study)

  • 김종용;박동근;이필연;조준영;윤승현;박상훈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11-121
    • /
    • 2020
  • 가상현실의 높은 몰입감을 활용한 실감형 훈련 콘텐츠가 산업,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현실에서 실시하기 힘든 고위험, 고비용이 발생하는 교육훈련을 최신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현실과 비슷한 환경에서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체험하여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실감형 가상훈련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정의된 평가요소를 기반으로 훈련 결과를 도식화된 그림으로 가시화하는 관리 시스템을 소개한다. 관리 시스템은 콘텐츠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각 훈련생의 훈련 기록을 실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기반 시나리오 생성 방법으로 훈련 목표, 참여인원, 평가요소 등을 설정하여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시나리오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관리 시스템의 제작 방법과 그 결과를 적용 사례인 가상현실 훈련 콘텐츠 기반으로 설명한다.

도시가스 정압기 가상훈련 플랫폼 연구 (A Study of Virtual Training Platform for City Gas Governor)

  • 이재용;박찬국;유철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64
    • /
    • 2017
  • 도시가스 정압기의 가상훈련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서 안전훈련 프로그램을 오큘러스 리프트와 기어 VR 그리고 돔 스크린을 이용한 가상환경 훈련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각각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의 내용은 각 훈련시스템 방법에 대한 편의성 및 현실성 등에 대한 내용이며, 그 목적은 도시가스 정압기 안전훈련 시스템의 실효성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에 있다. 실험 방법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각 VR 기기들을 사용하게 하여 그 차이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진행될 플랫폼 구현에 대한 방향을 알 수 있었으며, 가상 훈련 시스템의 가능성을 알아 볼 수 있었다.

가상현실 기반 운동이 파킨슨병 환자의 균형, 보행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Exercise on Balance, Gait, and Falls Efficacy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 pilot study)

  • 김용균;강순희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1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virtual reality-based exercise could improve on balance, gait and fall efficacy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Methods : Te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were randomly divided into either an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subjects performed vertual reality-based exercise, whereas the control subjects perform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for 4 weeks. The balance, gait and fall efficacy of all subjects were assessed by using the Measurement Training and Documentation (MTD) balance system, force platform system, Korean version of Berg Balance scale (K-BBS), 6 Minute Walk Test (6MWT), and Korean version of Fall efficacy scale (K-FES) at pre training and post train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analyze chang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intra-group. Mann Whitney U test was used to analyze changes of all variables in inter-groups. Results :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difference of weight distribution, K-BBS scores, antero-posterior and medio-lateral sway length, ground reaction force (GRF), 6MWT, and step length following training. The changes of difference of weight distribution, K-BBS scores, AP Sway Length, GRF, 6MWT, step length and K-FES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more than them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virtual reality-based exercise training is an intervention to improve on balance, gait, and falls efficacy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3D 가상현실기반의 발표훈련시스템 (Present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3D Virtual Reality)

  • 정영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309-31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실제와 같은 가상발표환경을 구현하여 실전에서 자신감 있게 발표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3D 가상현실기반의 발표훈련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시스템은 발표자의 음성과 행동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가상공간의 청중들에게 반영되게 함으로서 사실감 있고 몰입도 높은 발표 및 면접 환경을 제공하였다. 발표자는 6DOF Tracking이 되는 HMD와 VR Controller를 착용하고 Kinect를 이용하여 가상공간 속에서의 시점 변화 및 인터랙션을 줄 수 있으며 가상공간은 사용자가 설정한 다양한 환경으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발표자는 가상공간 속에 별도로 제공되는 뷰에 표시된 프리젠테이션 파일 및 스크립트를 보며 내용 숙지 및 발표 숙달 연습을 하게 된다.

가상현실 기반 범죄 프로파일링 시뮬레이션 교육 및 평가 시스템 (Criminal Profiling Simulation Training and Assessment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 김한섭;김해지;이윤식;이지은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83-9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범죄 프로파일링 시뮬레이션 교육 및 평가 시스템을 제안한다. 국내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강력범죄의 발생비가 45.2% 증가함에 따라 프로파일링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기존 교육과정 문제로 인해, 국내 프로파일러의 수는 서른여섯 명으로 매우 적은 수준이다. '범죄 재현 학습'은 프로파일링을 교육하는 대표적인 방법이지만, 여러 제약사항이 존재해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기존의 제약사항을 해결하고자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였으며, 사용자는 가상현실로 구현된 범죄 현장에서 상호작용을 통한 몰입형 체험으로 프로파일링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과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의 활용으로 많은 기관에서 프로파일링 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며, 다양한 프로파일링 기법을 교육받은 우수한 프로파일러를 양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근거리 영상정보를 활용한 실감형 재난재해 대피 훈련 가상 현실 구현 (Implementation of virtual reality for interactive disaster evacuation training using close-range image information)

  • 김두영;허정림;이진덕;방건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0-153
    • /
    • 2019
  • 드론 및 지상에서 촬영된 근거리 영상 정보는 3D 모델링 및 매핑 등을 통해 재해 저감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어 왔다. 게다가 실사와 같은 3D 모델을 이용하여 가상현실과 함께 대규모 재난재해 상황을 모의할 수 있는 가상현실 구현 기술을 통해 그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 항공기 및 디지털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실사와 같은 3D 모델을 추출하여 가상현실 훈련 프로그램을 구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과 가상현실을 재난재해 훈련 상황에 적용했을 경우의 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재해 발생 상황의 시나리오를 만들고, 근거리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미지 처리를 사용하여 3D 모델을 만들었으며, 완성된 3D 모델은 증강/가상현실 개발 프로그램인 Unity를 이용하여 가상현실의 배경으로 설정하고, 안드로이드 휴대폰을 위한 가상현실 환경을 C# 기반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생성하였다. 생성된 가상현실은 재해 발생 시, 훈련자가 가상현실에서 대피 요령에 맞는 대피 경로를 따라 안전 장소까지 이동하는 시나리오를 포함하고 있으며, 성공적으로 가상훈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 구성된 가상현실을 통한 훈련은 비용, 공간, 시간적 효율성에 있어서 실제 대피 훈련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