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Training

검색결과 701건 처리시간 0.041초

웹을 기반으로 한 가상 교원 연수의 운영 전략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eration Strategy of Web Based Virtual Teacher Training)

  • 정인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98-108
    • /
    • 2000
  • 교원 연수에 있어서 웹을 기반으로 한 가상 연수가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가상 연수는 하드웨어적인 시스템의 측면에서만 평가가 이루어져 왔고, 긍정적인 면만을 연구해 온 감이 없지 않다. 이제는 이러한 시스템 측면을 발전시켜가면서 몇몇 기관에서 선도적으로 시행한 가상 연수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찾아볼 시점이다. 하지만 각 연수 기관에서 이러한 운영상의 문제점들을 자체적으로 분석하고 있을 뿐 비교 평가할 기회가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몇 개의 기관에서 시행한 웹 기반 가상 연수 운영에 대한 데이터를 입수하여 비교 분석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해사안전 가상훈련의 유효성 평가 (Validity Evaluation of Virtual Training in Maritime Safety)

  • 정진기;이협우;박득진;안영중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26
    • /
    • 2018
  • 가상훈련은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안전과 비용효율성을 기반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해사안전 훈련 중 구명정 정수 훈련, 밀폐 구역 훈련, 초기 화재 소화 훈련의 가상훈련으로써의 구현 및 이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각 훈련의 목표에 맞도록 가상훈련을 구현하는 방법을 논의하며 이 방식으로 구현했을 때의 피훈련자 유효성 평가 방식을 각 훈련에 맞게 제안한다. 제안된 평가 방식은 피훈련자의 훈련도 평가 및 훈련 방식의 훈련 효율도 평가, 훈련의 해사 안전 기여도에 대한 정량적 평가 지표로써 사용될 수 있다.

  • PDF

Impact of the Fidelity of Interactive Devices on the Sense of Presence During IVR-based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 Luo, Yanfang;Seo, JoonOh;Abbas, Ali;Ahn, Seungju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37-145
    • /
    • 2020
  • Providing safety training to construction workers is essential to reduce safety accidents at the construction site. With the prosperity of visualization technologies, Immersive Virtual Reality (IVR) has been adopted for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by providing interactive learning experiences in a virtual environment. Previous research efforts on IVR-based training have found that the level of fidelity of interaction between real and virtual world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ense of presence that would affect training performance. Various interactive devices that link activities between real and virtual worlds have been applied in IVR-based training, ranging from existing computer input devices (e.g., keyboard, mouse, joystick, etc.) to specially designed devices such as high-end VR simulators. However, the need for high-fidelity interactive devices may hinder the applicability of IVR-based training as they would be more expensive than IVR headset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level of fidelity of interactive devices in the sense of presence in a virtual environment and the training performance during IVR-based forklift safety training. We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by recruiting sixty participants, splitting them into two groups, and then providing different interactive devices such as a keyboard for a low fidelity group and a steering wheel and pedals for a high-fidelity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sense of presence and task perform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low-fidelity interactive devices would be acceptable for IVR-based safety training as safety training focuses on delivering safety knowledge, and thus would be different from skill transferring training that may need more realistic interaction between real and virtual worlds.

  • PDF

가상현실을 활용한 병영상담 실습교육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ilitary Counseling Practice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 민승희;김도헌;김익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27-535
    • /
    • 2021
  • 본 연구는 군(軍)에서 적용하고 있는 병영상담교육의 현실태를 살펴보고 가상현실을 활용한 병영상담 실습교육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먼저 상담에 관련한 가상현실 적용사례를 탐색하고 육군 병영상담교육에 벤치마킹(Benchmarking)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술을 검토하여 적용이 가능한 기술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교육생을 대상으로 교육방법과 교육과정을 분류하여 현 교육의 만족도 측정을 통해 통계적 분석방법인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차이를 검정하였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교육생에게 실제 경험하게 한 후 가상현실 기술이 적용된 실습교육효과를 도출하고 현재 실습교육과 차이를 T 검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어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할 수 있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계층적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가상현실을 활용한 실습교육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높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술이 접목된 병영상담실습교육의 발전방안과 현(現) 병영상담교육의 보완사항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NCS기반 가상훈련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A Atudy on NCS-based Virtual Training Content Analysis)

  • 송은지;이석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651-656
    • /
    • 2017
  • 가상훈련(Virtual Training)은 특정한 훈련을 목적으로 훈련에 필요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으로 구현하여 실제상황처럼 진행하는 교육 훈련으로서 최근 가상현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현실세계에서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하고 있다. 특히, 가상훈련 시스템은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몰입감과 상호작용 제공을 통한 학습 효과가 높아 직접 관찰이 어렵거나 텍스트와 2D 자료로 설명하기에 어려운 학습내용, 가시화하기 어려운 내용, 추상적인 학습개념, 고위험 및 경비가 많이 드는 시험 등의 교육 분야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를 반영한 가상훈련 시스템 개발을 위해 최근 교육의 패러다임인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National Competency) 교육 분야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가상훈련 콘텐츠를 제안한다. 향후, 제안한 가상훈련 콘텐츠들이 개발되어 NCS 교육과정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폴리텍 대학등 대학 교육에 적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육군 화력장비 정비교육을 위한 가상훈련시스템 연구 (A Study on Virtual Training System for Army Thermal Equipment Maintenance Education)

  • 송성헌;송은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5-207
    • /
    • 2019
  • 육군의 화력장비 정비교육 중 특기병 교육은 실습용 장비가 부족하고 많은 교육생으로 실습기회가 적고 정비실습 시 안전사고 발생위험이 높아 실질적인 실습이 제한적이고 반복 실습이 어렵기 때문에 교육적 효과가 미비한 게 현실이다. 따라서 실제와 같은 체험훈련으로 교육성과를 높이는 훈련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훈련비용을 낮추고 실제와 같은 체험훈련을 할 수 있으며, 표준 정비매뉴얼이 반영되고 팀워크를 이루어 훈련할 수 있는 가상훈련시스템을 제안한다. 가상훈련시스템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비용을 낮추고 실제와 같은 훈련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인 HMD를 이용한 1인칭 시점의 가상훈련시스템은 육군 화력장비 정비교육에 적합한 시스템이며 확장성이 좋기 때문에 다른 장비와 타군의 정비교육에도 활용되어 군의 정비능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a Virtual Training System on Gas Safety

  • Wouseok Jou;Tae-sik Lim;Kyong-sik Kang;Tae-ok Kim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5
    • /
    • 2000
  • With the advent of the internet era, web-based virtual training system is gaining its importance in recent years.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training can take place in any place and at any time, the virtual system is now replacing many of the conventional off-line classes. Hardware environments such as communication bandwidth and computer performance gets fast enough to accommodate the virtual education. Based on the observations on current virtual training system, this paper proposes three critical design rules required when developing a new virtual training system: i) With conceptual mapping, the menu hierarchy can be organized in a clear-cut manner, ii) Extensive use of multimedia tools can help students keep their attention to the lecture materials, and iii) Provision of interaction mechanisms helps students to gain their identity and motivation.

  • PDF

몰입형과 시뮬레이터형 가상현실 훈련체계 비용 대 교육효과 분석 -육군 가상현실 훈련체계를 중심으로- (Cost Education Effectiveness Analysis of Immersion-type and Simulator-type Virtual Reality Training Systems -Focusing on The ROK Army Virtual Reality Training System-)

  • 김도헌;민승희;김익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45-352
    • /
    • 2021
  • 육군은 교육훈련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훈련 시 많은 제한사항으로 인해 실전적인 교육훈련이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가상현실 기술은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육군은 비용 대 교육효과를 고려하여 가상현실 훈련체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육군은 실제 장비와 유사하게 제작된 고비용의 시뮬레이터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HMD(Head Mounted Display, 이하 HMD)를 착용한 저비용의 몰입형 가상현실 훈련체계도 사용 중이다. 본 연구는 육군 방공학교에서 운영중인 시뮬레이터형과 몰입형 가상현실 훈련체계에 대한 비용 대 교육효과를 분석한다. 연구 방법은 첫 번째, 계층적 분석기법(AHP : Analytic Hierarchy Process, 이하 AHP)으로 교육효과를 분석한다. 두 번째, 비용은 가상현실 훈련체계의 제작 비용을 적용하여 비용 대 교육효과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비용 대 교육효과는 몰입형이 시뮬레이터형보다 3.4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가상현실 훈련체계의 비용 대 교육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 할 것이다.

선박 화재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 선원 훈련 플랫폼 개발 (A Virtual Sailor Training Platform for Fire Drills on Ship)

  • 정진기;박진형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89-196
    • /
    • 2016
  • 본 논문은 선박 화재 상황에 대한 비상 대처 훈련을 가상 환경에서 수행하는 가상 선원 훈련 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HMD 기반의 몰입형 가상 환경을 제공하여 훈련 효과를 높일 뿐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중 피훈련자가 함께 훈련에 참여하기 때문에 가상 환경에서의 협동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FDS 및 CFAST 기반의 오프라인 화재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반으로 사실적인 화재 확산 및 시각화를 제공한다. 선박 화재 상황에 대한 해양 안전 교육 기관의 교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구현한 본 훈련 플랫폼은 기존의 절차 숙달 훈련에 더불어 몰입형 가상 기술을 이용한 장비 숙달 및 환경 숙달 훈련을 제공한다. 구현된 가상 선원 훈련 플랫폼은 장비 작동, 환경 통제, 원격 현장감을 기반하여 선원의 훈련도를 향상시키고 다수의 피훈련자가 실시간으로 임무를 공동 수행하는 가상 협력 훈련이 가능함을 보였다. 또한 구현된 플랫폼은 화재 진압 요령, 승객 유도 방법 등 다양하고 세부적인 기능 숙달 훈련이 가능함을 보였다.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이 여성노인들의 균형증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the balance increase of women elderly)

  • 최재원;정현애;김은비;류애리;박소영;조경미;오미희
    • PNF and Movement
    • /
    • 제8권3호
    • /
    • pp.1-8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s on the improvement of balance in the elderly women. Methods: The subjects were fifteen female citizens, 67 years of age or older living in G city,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groups; Virtual exercise training group(n=9), control group (n=6). After treatment measured balance by Berg Balance scale test and One-leg stand test during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 at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 (Wii fit) after applying the Berg balance test scores and One-Legged Stance Test,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significant results(p<05). Conclusion :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s can be used to improve the balance of the elderly, as it has been shown to increase Berg balance test and one-leg stand results conducted after virtual training programs. Virtual Exercise Programs(Wii fit) were applied to demonstrate the effecting the balance of the elderly to promote more research on the impact of the ADL surve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