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Reality education

검색결과 543건 처리시간 0.041초

치과임상용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서 사용자의 숙련도 수준이 과제부하와 사용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pertise Level on Task Load and Easy-to-use in Virtual Reality Based Dental Clinical Simulation)

  • 정무석;임태형;류지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258-270
    • /
    • 2021
  • 이 연구는 치의학 교육을 위한 부정교합 진찰용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부정교합 진단을 위해서는 치아모형을 사실적인 수준으로 만들어야 하며 이렇게 개발된 치아모형을 손으로 쥐고 상세하게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치의학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만들기 위한 4단계 모델링 절차를 적용했다. 또한 이렇게 개발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이 학습자의 숙달수준에 따라서 어떻게 지각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HMD를 착용하고 진단을 하도록 했다. 이 연구에는 치의학전문대학원 재학생 3학년(29명), 4학년(29명), 치의학 전공의(28명)이 참여했으며, 두 가지 증례에 대한 진단활동을 통해서 과제부하와 사용용이성을 측정했다. 과제부하에 대한 검증에서 3학년이 전공의보다 더 많은 정신적 요구량과 당혹감을 지각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시뮬레이션을 사용할 때 숙달수준에 따라서 지각하는 과제부하가 달라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반면에 사용용이성(구강모형의 조작, 오류수정, 오류인식)에서 4학년이 전공의보다 더 높은 용이성 지각을 보여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전문 훈련용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의 개발을 위한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착용감 구현을 위한 증강현실용 햅틱 상의(上衣) (Augmented Reality Haptic Upper Garment for Wear Sensation)

  • 임은혁;권지안;이수용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50-156
    • /
    • 2019
  • Haptic systems have been widely used for both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including game, entertainment, education and medical sectors. Clothing designers and retailers initiated using AR and VR technologies to help the consumers find style with the perfect fit. Most of the developed augmented reality shopping is implemented by overlapping the image of the clothes on the customer so that he/she can find the fit. However, those are only visual information and the customer cannot experience the real size and the stiffness of the clothe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haptic upper garment which provides the haptic feedback to the user using cables. By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cable, the size of the clothes is set and by stiffness control, the compliance of the fabric is implemented. The haptic garment is modeled for precise control and the distributed controller architecture is described. With the haptic upper garment, the user's experience of the virtual clothes is greatly enhanced.

가상현실(VR) 활용 미래사회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Future Society Using Virtual Reality(VR))

  • 김대권;이동국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835-845
    • /
    • 2021
  • 가상현실(VR)은 실재감과 다양한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풍부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VR 활용 미래사회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29명을 대상으로 8 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진로인식의 변화와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R 활용 미래사회 진로체험 프로그램은 자기 이해와 진로 태도에서의 진로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VR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높은 흥미도와 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교육에서 VR의 적극적 활용, 성취기준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개발, VR 학습환경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NCS기반 가상훈련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A Atudy on NCS-based Virtual Training Content Analysis)

  • 송은지;이석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651-656
    • /
    • 2017
  • 가상훈련(Virtual Training)은 특정한 훈련을 목적으로 훈련에 필요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으로 구현하여 실제상황처럼 진행하는 교육 훈련으로서 최근 가상현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현실세계에서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하고 있다. 특히, 가상훈련 시스템은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몰입감과 상호작용 제공을 통한 학습 효과가 높아 직접 관찰이 어렵거나 텍스트와 2D 자료로 설명하기에 어려운 학습내용, 가시화하기 어려운 내용, 추상적인 학습개념, 고위험 및 경비가 많이 드는 시험 등의 교육 분야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를 반영한 가상훈련 시스템 개발을 위해 최근 교육의 패러다임인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National Competency) 교육 분야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가상훈련 콘텐츠를 제안한다. 향후, 제안한 가상훈련 콘텐츠들이 개발되어 NCS 교육과정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폴리텍 대학등 대학 교육에 적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4차산업혁명 IT융합기술기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개발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 at Construction Site Based on IT Convergence Technology Virtual reality simulation development)

  • 김대건;박태현;박주영;박수진;이동운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3-174
    • /
    • 2018
  • Recently, a growing number of accidents have taken place at construction sites, causing serious casualties. To prevent accidents or minimize dam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afety precautions education is essential. However, the effects of safety education do not have as much effect as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so As a new direction, we are looking forward to effective education by simulating realistic environments using VR. The safety training method used to experience and learn dynamic situations in a limited room wearing HMD is combined with VR. It will be the star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going forward.

  • PDF

가상현실 공간설계 시뮬레이션의 교육적 활용 탐색 (A Study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the Virtual Reality Space Design Simulation)

  • 김지윤;정복문;유지연;이태욱;김귀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439-442
    • /
    • 2021
  • 가상현실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신산업으로 꼽히는 기술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공간설계의 교육적 가능성을 확인하고 교육적 활용을 위한 툴로서 3D 컴퓨터 그래픽 제작 소프트웨어인 블렌더와 3D 객체를 웹에서 쉽게 렌더링해주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three.js를 이용한 건축 내외장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프로토타입을 개발 및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식으로 학습자들은 자유도 높은 가상공간 공간설계가 가능하여 조형놀이의 형태로 학습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 연구로는 본 연구에서 구현한 프로토타입과 같은 방식으로 가상현실 공간설계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토를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실습 가상현실 교육 중재: 체계적 고찰 (Intervention of Virtual Reality of Adult Nursing Practicum for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 김현경;고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373-380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실습 가상현실 교육 중재 연구를 체계적 고찰 방법으로 탐색하여, 추출된 문헌들로부터 중재 방법, 연구 주제, 결과 변수, 효과성의 근거합성을 하였다. CINAHL, 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RISS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7편의 연구가 추출되었고, 무작위 실험연구가 3편, 비무작위 실험연구가 4편이었다. 고찰 결과 간호대학생의 지식, 수행, 태도, 비판적 사고, 자기효능감, 정보수집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신감, 효율성에서 효과를 보였으므로, 성인간호실습에서 가상현실 교육 중재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AR기술을 활용한 어린이 교육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Children's Education Application Design Using AR Technology)

  • 정혜경;고장혁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28
    • /
    • 2021
  • Augmented reality is a technique for combining virtual images into real life by showing information of virtual 3D objects on top of a real-world environment (Azuma et al., 2001). This study is an augmented reality-based educational content delivery device that receives user input that selects either a preset object or a photographed object for augmented reality-based training; It includes a three-dimensional desig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stereoscopic model of the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from an object,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scene, a disassembly process of the developing road from a three-dimensional model, and a content control unit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by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model, a scene chart, a scene, a decomposition process, and a coupling process to build a coupling process from the scene to the three-dimensional model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The next study provides a variety of educational content so that children can use AR technology as well as shapes to improve learning effectiveness. We also believe that studies are needed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efficacy of which educational content is more effective when utilizing AR technology.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가상훈련 시스템의 연구 (A Study on Mobile Virtual Train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 김유두;이선웅;문일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047-1052
    • /
    • 2011
  •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가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모바일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탄생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기기의 콘텐츠는 주로 게임이나 메시징 서비스에 의존하고 있어 다양성이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모바일 단말과 네트워크 기반에서 가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Development of Multimedia Design Contents using Mobile Virtual Reality

  • Duan, Xiao-Yun;Kim, Byung-Taek;Kim, Soo K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1-45
    • /
    • 2017
  • Virtual Reality (VR)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and it is expanding game and movie toward health care, business Software, education, and web services. Especially various researches are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exhibition, utilizing smart phone based detachable HMD (Head Mounted Display). The VR exhibition solves addresses both temporal and spacial constraints overcoming the unilateral information transfer exhibition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space, and unidirectional information transfer in offline exhibition, and also presents a new method that utilizes multimedia visual design artwork as VR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