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Reality Therapy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5초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4주간 훈련이 노인의 균형 및 보행 능력과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4 Weeks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 on Balance and Gait Ability,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 이상열;이수경;김용훈;채정병
    • PNF and Movement
    • /
    • 제10권2호
    • /
    • pp.41-46
    • /
    • 2012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4 weeks training of virtual reality game on balance and gait ability,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elderly people over 65 age. The subjects were treated by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 (during 60 minutes, 3 times a week for 4 week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long with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as the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es. Results : In comparison of depression, gait and balance abilit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Our study finding indicate that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 could improve balance and gait ability,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According to our study,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 is judged to be used for elderly people with gait and balance problems, depression to prevent fall down.

Effects of Virtual Reality Exercise Program on Balance, Emo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gnitive Decline

  • Lee, Geun-Ho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8권6호
    • /
    • pp.355-363
    • /
    • 2016
  • Purp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a 12-week virtual reality exercise program using the Nintendo Wii console (Wii) in improving balance, emo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cognitive decline. Methods: The study included 30 patients with cognitive decline (12 female, 18 male)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n=15) and control groups (n=15). All subjects performed a traditional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an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dditional three 40-minute virtual reality based video game (Wii) sessions per week for 12 weeks. The berg balance scale (BBS) was used to assess balance abilities. The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GDS-K) and the Korean version of quality of life-Alzheimer's disease (KQOL-AD) scale were both used to assess life quality in patien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within and between groups before and after treatment, using Wilcoxon signed rank and Mann-Whitney u-tests. Results: After 36 training sessions, there were significant beneficial effects of the virtual reality game exercise on balance (BBS), GDS-K, and KQOL-A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with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 virtual reality-training program could improve the outcomes in terms of balanc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gnitive decline. Long-term follow-ups and further studies of more efficient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s are needed.

작업치료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가상현실 치료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Feasibility of Virtual Reality for Enhance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Post Stroke)

  • 권재성;양노열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2호
    • /
    • pp.35-4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뇌 가소성을 동반한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강도 높은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집중치료로써 임상적으로 유용한 훈련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 사용-의존성 즉 운동 강도와 반복은 마비 측 사지의 운동 기능향상에 중요한 치료적 요소이다. 최근에는 상지의 지속적 사용을 통한 뇌-가소성에 기반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가상현실 치료가 대두되었다. 가상현실 치료는 재활 임상환경에서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강도와 반복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으로 채택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적 유용성 측면에서는 강도 높은 반복적 훈련이 가능하다는 것과 게임 같은 형식으로 높은 동기부여가 가능하다는 것, 실제 수행을 통한 다중감각적 피드백 제공, 상호작용이 가능한 과제지향적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임상 환경에서 작업치료와 더불어 부가적으로 가상현실 치료를 실시하는 것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회복을 더욱 촉진할 것이다.

방사선과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콘텐츠 개발 및 적용을 통한 학습효과 분석 (Analysis of Learning Effect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VR) Education Content for Radiology Students)

  • 심재구;권순무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3권6호
    • /
    • pp.519-524
    • /
    • 2020
  • This study developed radiation therapy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pplied them to radiation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ffects and learning satisfaction to students who used virtual reality education videos to analyze their learning performance. 71 students radiology department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that experienced virtual reality and the other that did not experienced virtual reality. We surveyed between the two groups analyzed self-directed learning, self-learning 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learning efficacy. But the learn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from 2.64±0.83 to 3.20±0.88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for groups applying virtual reality contents. Therefore, learning satisfaction has improved experienced group virtual reality content and the materials for virtual reality education can be applied more efficiently in non-face-to-face lectures.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선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Standing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김중휘;김중선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7권3호
    • /
    • pp.351-36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effects of virtual reality(VR) program related to standing postural control on balance, gait and brain activation patterns in chronic hemiplegic stroke patients.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VR group (n=12) or the control group (n=12) when the study began. Both groups receiv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for 2 to 3 times per week. In addition to conventional physical therapies, VR group trained 3 types of virtual reality programs using IREX for standing postural control during 4 weeks (4 times/week, 30 minutes/time). Subjects were assessed for static and dynamic balance parameters using BPM, functional balance using Berg Balance Scale related to movement of paretic lower limb before and after 4 weeks of virtual reality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ollowing VR training, VR group demonstrated the marked improvement on dynamic mean balance, anteroposterior limits of stability (AP angle) and mediolateral limits of stability (ML angle). 2. Following VR training, both groups scored higher on Berg Balance Scale. However, a comparison of mean change reveal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postural control training using VR programs improve dynamic and functional balance performance in chronic hemiplegic stroke patients.

  • PDF

가상현실을 이용한 닫힌 사슬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양대중;박삼헌;이민기;박승규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2
    • /
    • 201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closed kinetic chain (CKC) exercise 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either to VR+CKC exercise group (n=15) or the CKC exercise group (n=15). When the study began, both groups receiv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five times per week. The VR+CKC exercise group received virtual reality programs and the CKC exercise group received close kinetic chain exercises. Each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for six weeks (5 times per weeks; 20 minutes per time). Participants were measured 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using EMG.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of muscle activity (%RVC) in vastus lateralis and vastus medialis.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virtual reality-base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program was an effective exercise for improving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Effects of Virtual Reality Horse Riding Simulator Training Using a Head-Mounted Display on Balance and Gait Function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reliminary Pilot Study

  • Kim, Hae Won;Nam, Ki Seok;Son, Sung Mi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1권5호
    • /
    • pp.273-278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horse riding simulator training using a head-mounted display on gait and bal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Te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horse riding simulator (HRS) group (n=5) or the horse riding simulator with virtual reality (HRSVR) group (n=5). To evaluate balance, center of gravity (COG) sway velocity and total sway distance of each group were assessed using the Wii balance board, and gait speed and stride length of each group were assessed using a gait analysis system. Results: Intra-group comparisons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measure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all gait and balance variables such as stride length, gait velocity, COG sway velocity and COG sway distance in the HRSVR group (p<0.05). In the HRS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all variables except stride length (p<0.05). In addition, inter-group comparis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tride length, gait velocity and COG sway distance except COG sway velocity (p<0.05).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orse riding simulator training combined with 3D virtual reality can be a new positive therapeutic approach for improving functional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실시간 상호작용 기술의 '가상현실치료'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herapy' concerning a technology of real-time interaction.)

  • 김정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2호
    • /
    • pp.81-97
    • /
    • 2011
  •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은 우리 시대에 인간의 희로애락(喜怒哀樂)을 담아내는 진보적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에 인지심리학 분야에서 치료도구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다. 오감을 통한 가상세계속의 실재감은 현실세계의 인지(Cognition) 의 의미를 재해석해야 할 만큼 우리에게 폭넓게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술들을 활용한 새로운 치료방법들이 가능해지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경우가 공황장애를 극복하기위한 행동치료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가상공간 내에서의 유연한 상호작용(Interaction) 기술의 발전은 환자들이 접할 수 있는 물리적 체험환경을 심리체험의 장으로 유도해 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호작용 기술은 사용자의 물리적 오감을 보다 적극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가상세계로 부터의 체험정보는 인간으로 하여금 잠재된 에너지들을 새롭게 환기(喚起) 시켜 현실적 경험들로 체득시키기에 매우 유용한 것이다. 가상현실치료의 장점은 장애 환자들의 증상에 따른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고 치료단계별로 차별화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각각의 증상과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치료과정을 거치면서 환자들로 하여금 현실세계 환경과 상황에 점차 익숙해지게 하여 장애를 치료하는 것이다. 감성공학을 기반으로 한 몰입형 가상현실장비와 반작용 되먹임(force-relative feedback)기술과 입체음향, 그리고 후각을 자극하는 기술들은 인간의 오감을 자극하여 경험을 환기(喚起)시키는데 유용하다. 가상세계에 대한 몰입 감이 주는 장점으로는 도전, 상호작용, 사실성, 환상, 협동성과 같은 현상들이 확대 된다는 점일 것이다. 이러한 현실보강(augmented reality)기능을 확장시켜 치료분야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가상공간과 데이터의 공유기술, 그리고 저렴한 가용성이 그 저변을 확대시키고 있다. 인지적 경험을 위한 능동적인 상호작용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현실 치료기술은 두려움 때문에 실제 상황에 직면할 수 없는 환자들에게 적절하게 조절된 환경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비밀이 보장되고, 안전하며, 경제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간(Realtime) 내비게이션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빠른 수정보완이 가능하며 안경 없이 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 렌티큘라(lenticular)기술의 보급으로 보다 사실적인 실재감(Presence) 구현이 가능해져서 사이버 멀미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대화식 기술의 발전으로 가상공간 속에서 직접 자신의 손을 이용해서 내비게이션을 하거나 물체를 조종함으로서 실세계와 유사한 실재감에 근접해 가고 있다. 본 논문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장애치료에 활용하고 있는 감성공학기반 가상현실 기술의 특성과 적용범위와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미래의 가능성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 PDF

정상성인에서의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동작과 실제 동작에서의 근수축 개시시간의 분석 (Analysis of Muscle On-set Time of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Motions and Actual Motions in Healthy Adults)

  • 박태성;강종호;김인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73-177
    • /
    • 2018
  • 본 연구는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게임을 통하여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동작과 실제 동작에서의 근수축 개시시간을 비교 하여 보고자 한다. 정상성인 30명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동작(펀치, 활쏘기)과 실제 동작(펀치, 활쏘기)에서의 근수축 개시시간을 비교하여 보았다. 본 연구 결과 가상현실 동작과 실제 동작에서의 근수축 개시시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를 통하여 물리치료와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을 융합하여 새로운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콘텐츠를 개발 하여 물리치료에 적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다양한 치료 방법이 개발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추후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을 적용하여 치료에 적용 할 수 있을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기반 가상 현실 노출 치료 시스템 개발 및 시험적 적용 (Development of a Smartphone based Photo-realistic 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 System)

  • 박종현;박진영;김광욱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75-87
    • /
    • 2016
  • 사진 기반의 가상 현실 노출 치료 요법(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은 다양한 정신 질환의 평가 및 치료 연구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 보급되기 시작한 스마트폰 기반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를 활용한 가상 현실 노출 치료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기반의 가상현실 기기를 활용하여 환경 촬영부터 노출까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실제 사진 기반의 가상 현실(Photo-realistic VR) 노출 시스템을 제안하고, 32명의 정상군을 대상으로 시험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개발된 스마트폰 기반의 시스템은 실내/실외, 친숙한/친숙하지 않은 환경들에서 피험자의 감정 변화를 이끌어내었다. 이에 대한 의의와 모바일 기반의 가상현실 노출 치료 시스템의 장점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