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Reality Game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8초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근활성도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rtual Reality Exercise Program on Muscle Activity and Balance Abilities in Elderly Women)

  • 이준희;박성웅;강정일;양대중;박승규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4호
    • /
    • pp.37-44
    • /
    • 201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using a virtual reality game and a gait exercise program using a treadmill on %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ing capabilities. Methods: A total of 26 elderly women were included in the study. 13 women were assigned to an exercise program using a virtual reality game, and 13 to a gait exercise program using a treadmill. The subjects performed the exercise for 40 min per session, three sessions per week, for eight weeks. Results: The %MVIC of the vastus medial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8.91{\pm}2.03%$ to $32.98{\pm}2.6%$ in the virtual reality game exercise group (p<0.00). The %MVIC of the vastus lateral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7.17{\pm}1.93%$ to $31.50{\pm}2.18%$ (p<0.00) in the gait exercise program group. The whole path length with both feet on the floor and eyes ope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570.92{\pm}820.6mm$ to $1343.62{\pm}242.41mm$ (p<0.00). The whole path length with both feet on the floor and eyes close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819.85{\pm}361.14mm$ to $1581.05{\pm}285.11mm$ (p<0.00). The length of a functional reac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5.2{\pm}4.23cm$ to $27.68{\pm}4.04cm$ (p<0.00). Conclusion: The exercise program using a virtual reality game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MVIC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ing capabilities in elderly women aged 65 years and more.

Development of Multimedia Design Contents using Mobile Virtual Reality

  • Duan, Xiao-Yun;Kim, Byung-Taek;Kim, Soo K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1-45
    • /
    • 2017
  • Virtual Reality (VR)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and it is expanding game and movie toward health care, business Software, education, and web services. Especially various researches are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exhibition, utilizing smart phone based detachable HMD (Head Mounted Display). The VR exhibition solves addresses both temporal and spacial constraints overcoming the unilateral information transfer exhibition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space, and unidirectional information transfer in offline exhibition, and also presents a new method that utilizes multimedia visual design artwork as VR contents.

SSQ를 이용한 HMD기반 콘텐츠의 VR 멀미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rtual Reality Sickness Measurement of HMD-based Contents Using SSQ)

  • 교용용;한동숭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5-32
    • /
    • 2018
  • 본 연구는 시뮬레이터 멀미 측정 도구인 SSQ를 이용해 가상현실 멀미를 유발시키는 지수를 도출하여 각 증상별로 심각도를 진단함으로써 가상현실 멀미를 위한 측정 방식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존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주로 사용하는 1인칭, 3인칭게임 및 $360^{\circ}$ 실사 콘텐츠를 이용했고 SSQ를 이용하여 다양한 멀미 증상을 측정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통해 산출한 결과는 가상현실 멀미 증상을 완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성별, 나이, 경험유무에 따라 가상현실 멀미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통계방법론을 이용해 입증하였다.

HMD기반 가상현실 FPS게임 인터페이스의 메타포 유형 분석 연구 (A case study on Metaphor forms of User Interface in HMD based Virtual reality FPS games)

  • 김보연;석혜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7-38
    • /
    • 2018
  • 오늘날, 가상현실의 대표적 구현장치인 HMD를 활발하게 활용하는 분야는 게임이다. HMD기반 가상현실 게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메타포를 활용한 디자인이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매체인 HMD디바이스의 가상현실 FPS장르 게임 인터페이스에서 나타나는 메타포 유형을 도출함으로써 해당 인터페이스가 메타포를 적절히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올바른 심성모형을 생성하고 있는지 사례분석을 통해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결과 다수 인터페이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메타포 유형은 정보 지각 측면에서 조작, 예측, 친숙화, 물리적 세계 메타포로 나타났으며 조작 행동 측면에서는 예측성, 친숙화 메타포로 나타났다. 이는 사용자의 일반적 경험과 지식을 통한 올바른 심성모형 구축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그 외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성 메타포, 정보 공간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제시 메타포의 사용이 앞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가상현실 게임기반 훈련프로그램을 이용한 체간조절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unk Control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based Training Program o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of Subacute Stroke Patients)

  • 박삼호;김병수;이명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72-179
    • /
    • 2019
  • 본 연구는 가상현실 게임기반을 이용한 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아급성기 뇌졸중환자 30명을 가상현실 게임기반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n=15)과 대조군(n=15)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중재는 6주간 주 3회, 1회당 30분씩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기능 향상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중재 전 후 균형능력과 상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에서 균형능력과 상지기능(FMUE), 체간 장애척도(TIS)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p<.05), 두 그룹 간 차이는 버그균형척도(BBS), 일어나 걷기(TUG), 체간 장애척도(TIS)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게임기반 훈련 프로그램은 아급성기 뇌졸중환자에게 임상적으로 유익한 운동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디지털 게임의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ial Characteristic features in Digital Game)

  • 황용섭;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3호
    • /
    • pp.3-10
    • /
    • 2002
  • Virtual reality is not a new concept but just a new word and also it isnt limited to the reality created by computer-assisted image composition. Furthermore, we have lived within the virtual reality since long time ago, and the newly emerging digital technology has made the limits of the virtual expression vague and the definition of space concept new, The magical experiences we have had within the digital space consisted of Virtual space are the philosophical subject which we can hardly explain as a simple dichotomous definition such as Virtuality or Reality. But its true that our experiences made within virtual space are felt as much newer space considering those of space design,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made in our physical territory. Digital game is the representative space that provides a new space. Therefore, the new concept in space will be not just the territory expansion of space but also the opportunity we can find a new possibility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space. At this point in time that the life territory is expanding as a new space, this research goal is to show the new possibility of the connection of human and digital space through studying the relationship of Human and Space, Space and Digital space and Human and Digital space as well as The peculiarity of the space which is expressed at Digital game, the most representative space providing new experiences.

두뇌증진을 위한 다양한 스토리텔링 가상현실 게임 콘텐츠 기획 (Planning of Various Storytelling Virtual Reality Game Contents for Brain Enhancement)

  • 진화수;송은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3-325
    • /
    • 2021
  • 최근 가상현실 및 게임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의료 목적인 디지털 치료제가 떠오르고 있다. 디지털 치료제란 약물이 아닌 질병을 예방·관리·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 및 게임과 같은 소프트웨어기반 치료제를 말한다. 본 연구를 통해 치료목적의 디지털치료제로서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힐링 및 두뇌 증진을 위해 다양한 스토리텔링의 콘텐츠를 기획 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에 전자기기에 의존하며 좀처럼 두뇌를 사용하지 않는 어린이들의 두뇌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마커인식 개선과 인체가 가려지는 문제해결을 위한 증강현실 솔루션 (An Augmented Reality Solution for Improving Marker Recognition and Solving Human Occlusion)

  • 육승남;박종열;박진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83-192
    • /
    • 2020
  •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의 발달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증강현실 기술의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가상의 공간과 실제의 공간이 매칭이 된 이미지를 보면 아직 현실감은 다소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의 원인을 가상의 오브젝트가 실제 공간에서의 깊이 감을 고려하지 않고 형성되어 공간감을 파괴시키는 문제와 마커에 의존한 인식 기술의 한계성 두 가지로 설정하고 해결하였다. 공간감은 사람의 신체와 가상의 오브젝트 사이의 위계질서를 형성함으로써, 마커 기술의 한계성은 시간 지연과 카메라 움직임에 따라 마커의 위치를 역으로 추적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컴퓨터게임과 가상현실을 위한 촉각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actile Sensation Application for Computer Game and Virtual Reality)

  • 이영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646-654
    • /
    • 2002
  • 인간의 촉각감지 기능은 주위환경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촉각 정보는 우리의 신체와 외부세계와의 접촉에 따른 위치 정보와 물체를 인지하고 조작하기 위한 감각적 정보 뿐 아니라 위험 여부까지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 그러나 촉각은 시각과 청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감각으로 인식되어져 왔으나, 가상현실과 컴퓨터 게임에 있어서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촉각을 통해 플레이어가 가상 세계의 물체에게 직접 영향을 줄 수도 있고 받을 수도 있는 적극적인 인간 감각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촉각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응용하기 위한 힘 감지 센서를 사용한 연구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실제적인 게임적용을 위하여 간단한 힘 모델링과 구조체 형식을 제안한다. 그 결과 센서 출력을 분석하여 힘의 분포, 크기, 중심을 구하고 이 정보를 응용하여 특정부위에 대한 작용, 반작용을 구현 할 수 있다. 본 결과는 컴퓨터 게임과 가상현실에서 촉각 감지와 응용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Virtual Gaming Environments as our Future Adobe

  • Lee, Kang-Hyu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4호
    • /
    • pp.6-9
    • /
    • 2011
  • Currently, the argument that humanity will eventually reside in some sort of a simulated environment with unlimited resources is actively being discussed in the realm of science and engineering. This paper addresses the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computer engineering,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future gaming environment which is very likely to be brought to us in the form of virtual reality probably in the not-so-distant future. In so doing, Bostrom's simulation argument[1]and Kurzweil's singularity[5] are reviewed, and how our future adobe indistinguishable from our 'real' reality that may be attained by explosive technological advancement relates to the future gaming environment. The problem of human consciousness which is inevitably intertwined with the issue of living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is also add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