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etnamese immigrant women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초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영향 (Influence of Spous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among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 김소희;노윤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4-184
    • /
    • 2018
  •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s of spous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among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Methods: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75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in Gyeongsangnam-do.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3.0. Results: (a)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culturative stress, wherea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spousal support; (b) spousal suppor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Conclusion: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spousal support decreases the negativ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on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Therefore, we need to find ways to strengthen spousal support for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베트남결혼이주여성의 혼인의 특징과 국제결혼의 제도적 개선 방안 (Features of International Marriage of Vietnamese Immigrant Women and Plan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 문흥안
    • 법제연구
    • /
    • 제44호
    • /
    • pp.757-799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한국과 베트남의 사회 문화적인 이해와 상호 의사의 소통이 전제되지 않는 결혼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 이혼한 후, 한국국적을 취득하지 못하여 베트남으로 귀환하는 이주여성이, 법적 조치를 완전하게 마무리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이들의 베트남에서의 재정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전통적으로 자녀양육에 대한 집착이 강한 베트남여성이 모성본능을 뒤로 한 채 어쩔 수 없이 베트남으로 귀환하는, 한국에 남겨둔 한국인 자녀의 어머니에 대한 최소한의 윤리적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 방안으로 첫째, 혼인성립 절차를 강화한다. 베트남은 결혼 가족법 제14조에 의한 법집행을 엄격히 하고, 우리나라는 결혼사증 발급절차를 통하여 혼인의 진정성과 지속성을 담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국제결혼 당사자의 소양교육을 강화한다. 결혼이주를 희망하는 결혼당사자들이 각각 상대방 언어로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 서로 상대국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도록 교육프로그램을 강화한다. 국제결혼중개가 베트남에서 불법적임을 감안하여, 한국과 베트남의 비영리단체를 중심으로 베트남에서 결혼이주희망 여성에 대한 한국어교육과 한국의 문화를 교육시킨 후 한국남성들과 교제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향후 베트남결혼이주여성의 행복한 결혼생활을 담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한국내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지불하게 될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베트남결혼이주여성의 인권보호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베트남결혼이주여성에게 책임없는 사유로 혼인이 단절되는 경우 간이귀화 요건을 완화하여야 한다. 남편의 사망이나 폭행을 피하기 위한 가출 등 이주여성에게 책임없는 사유로 이혼하는 경우, 이주여성에게 간이귀화의 요건을 완화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넷째, 이혼 후 베트남으로 귀환하는 여성들의 재정착에 장애가 되는 호적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입법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혼한 베트남결혼이주여성의 귀환에 따르는 법률적 미비는 이들의 베트남 재정착에 큰 방해가 된다. 경제력 법률적 능력의 부족으로 이혼에 따르는 호적정리 하지 못한 경우, 베트남 정부뿐만 아니라 한국정부도 적극적으로 이의 정리를 위해 제도적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최소한의 윤리적 책임을 다 해야 할 것이다. 우선 우리나라는 대법원 등록예규 제361호에 준한 '한국남성과 베트남여성의 이혼에 관한 절차'를 제정해 이혼에 필요한 서류의 상호교부를 제도화함으로서 스스로 호적정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이홍자;김춘미;박명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8-27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The factors inclu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pouse's support, and social support of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190 subjects during the period between May and June, 2015. The randomly sampled subjects answer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ranslated into Vietname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 Results: The subjects'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economic level, subjective perception of their own and spouse's health, Korean communication ability, spouse's support, and social suppor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the quality of life was spouse's support, and next, subjective perception of their own health, Korean communication ability, and economic level in order of influe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support programs should be customized to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in order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o adjust themselves to new Korean environments and to lead a high-quality life through the promotion of marital relationship, Korean communication ability, health status, and economic capability.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우울감 영향요인: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Using Data from the 2018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 이가언;전혜정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75-388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living in Korea.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dataset from the Korean 2018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ao-Scott x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using complex samples analysis. Results: The proportion of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subjects in Korea who experienced depression was 27.7%.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were age, length of stay in Korea, living area, economic status, difficulties in using medical care, difficulties faced during their stay in Korea and Korean language skills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parents-in-law marital conflicts, cultural differences, their experience of social discrimination, life satisfaction, and meeting with friends from their homeland.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could be aided by acculturation programs that deal with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spouses and social supports.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접촉 경험에 관한 연구 - 한국 전통명절을 중심으로 (A Study o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Cultural Contact Experience - Based on Korean Traditional Holidays)

  • 융티탄프엉;김영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861-8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원(原)문화와 이주국 문화 간에 일어나는 문화접촉 양상을 그들이 경험하는 한국 전통명절을 통해서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사례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자료수집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7명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은 자국 문화를 경험한 상태에서 한국문화와 접하게 되면서 한국문화에 대한 호감을 갖게 되는 반면에, 모국과 한국의 문화차이로 인한 갈등도 상당히 겪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자신이 처해 있는 가정적 그리고 사회적 환경에서 적극적으로 적응하려는 모습을 이들의 한국 전통명절 경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성공적인 이주생활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베트남계 다문화가정에서의 화목한 가정생활을 위해서는 일방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과 결혼이주여성 모국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가정을 함께 꾸려나갈 수 있도록 상호문화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이 명절자리에서 가족 간의 유대감이나 소통을 느끼지 못한 것이 발현되었는바, 전통명절과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행사 등의 진행이 전제되어 공동체의 유대감을 증진시키는 전통명절의 기능을 확보해야 한다.

베트남 미혼여성의 결혼이주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Research on Marriage Migrant Recognition for Unmarried Vietnamese Women)

  • 이은주;전미경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195-208
    • /
    • 2015
  • This study explored general marriage migration for 180 un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and identified differences in recognition after the choice of marriage. The methods used were frequency analysis, kai verification, and independent t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unmarried Vietnamese women showed a receptive attitude towards marriage migration with the less-educated group more likely to opt for marriage migration. Economic benefit expectations topped other factors in regards to the image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motivation. Dual national identity benefits were also indicated. Second, the perception of external and illusionary images of the spouses of marriage migrant women was low; however, the perception of good occupations and gender equality was high. A vague expectancy of marriage was also found. The perception was high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ould be global bilingual talents and adjust to school; however, the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or prejudice was low. The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was low concerning the perception of social integration towards marriage migrant women; however, the perception of identities, cultural differences and employment was present. By contrast, the group opting for marriage migration showed a significantly low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difficulty in employment. The suggested measures are to regulate and maintain forms of marriage type, reinforce prior training systems for Vietnamese immigrant women (and spouses), enhance multicultural recognition, and supplement multicultural policies.

제주특별자치도 거주 베트남 결혼 이주민 여성의 자녀 안전사고 경험과 안전사고 예방행동 및 교육요구 (Child Safety Injury Experiences, Prevention Behaviors and Educational Needs among Immigrant Vietnamese Women on Jeju Island)

  • 조윤미;이상구;김정우;강나래;손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367-376
    • /
    • 2019
  • Purpose: Study purpose was to describe the child safety injury experiences, injury prevention behaviors and educational needs of immigrant Vietnamese women on Jeju Island, and to explore associations among those factor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collect data from immigrant Vietnamese women who visited a multicultural centers on Jeju Island from January to April, 2017. Results: Data from 60 women were analyzed. They were $28.2{\pm}5.5$ years old, had resided in Korea for $40.6{\pm}31.1$ months, and had $1.5{\pm}0.6$ children on average. In total, 51.7% had previous injury prevention education, 68.2% had experienced child safety injuries, and 95.0% wanted to receive education on how to prevent child safety injuries. The mean total score of child injury prevention behaviors was $27.33{\pm}17.79$, and that variable was associated with a longer duration of formal education (t=2.41, p=.021) and with women's experiences of child safety injury (t=5.97, p<.001). Conclusion: Immigrant Vietnamese women experienced a higher frequency of child safety injuries and needed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prevent these injurie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ssential content and effective methods for education on child safety injury prevention among this unique multicultural population.

결혼이주 베트남여성의 부부친밀감, 배우자지지, 성적자율성과 임파워먼트 관계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Marital intimacy, spousal support, sexual autonomy and empowerment on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in Korea)

  • 문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03-309
    • /
    • 2019
  • 본 연구는 결혼이주 베트남여성을 대상으로 부부친밀감, 배우자지지, 성적자율성 및 임파워먼트를 측정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5월부터 9월까지 한국남성배우자와 살고 있는 베트남 여성 1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ANOVA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부부친밀감은 $3.17{\pm}0.69$, 배우자지지 $3.45{\pm}0.94$, 성적자율성 $3.70{\pm}0.83$, 임파워먼트는 $3.41{\pm}0.57$이었고, 부부친밀감, 배우자지지와 성적 자율성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고(p<.001), 임파워먼트는 배우자지지와 성적자율성 간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p<.005).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 베트남여성들의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운율구 경계짓기와 억양패턴 (Prosodic Phrasing and Intonation Patterns in the Speech of 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정진숙;이숙향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461-471
    • /
    • 2012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운율구 경계짓기와 억양패턴에 대한 음향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이주여성대상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운율 특성에서 이주집단이 한국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한국집단은 첫 어절을 100% 강세구로 읽은 반면, 이주집단은 거의 억양구로 실현하였으며 이주여성들은 첫 분절음에 따라 달라지는 강세구의 첫 음조의 패턴 습득이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한국집단보다 훨씬 다양한 첫 어절의 억양패턴들을 보였다. 몇몇 운율 특성에서는 이주집단 간에도 차이를 보였으며 한국에서의 거주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필리핀집단이 베트남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집단에 가까운 특성을 보였다. 문장 내 평균 억양구수는 베트남집단이 필리핀집단보다 많았으며 가부의문문의 문미 경계음조는 필리핀집단은 한국집단처럼 'H%'로만 실현한 반면, 베트남집단은 'H%'뿐만 아니라 'HL%'로도 실현하였다.

영·유아 자녀를 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감염예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n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in Infant and Child for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 서지영;김은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22-43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infection preven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among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an infant or child.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53 Vietnamese women with an infant or a child in G city. The treatment (n=25) received an infection prevention program series that included eight sessions over a four week period with four time through telephone interviews a weekly interval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26 and December 14, 2012, and were analyzed Chi-square,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with SPSS/WIN 18.0. Results: The treatmen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F=43.98, p<.001) and infection prevention performance (F=92.61, p<.001) at four and eight weeks following the treatment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an infection prevention program is beneficial in increasing knowledge and performance to prevent in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