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game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34초

채팅 트래픽 분석을 통한 개인방송 하이라이트 검출 : 게임 콘텐츠를 중심으로 (Highlight Detection in Personal Broadcasting by Analysing Chat Traffic : Game Contests as a Test Case)

  • 김은율;이계민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18-226
    • /
    • 2018
  • 최근 개인방송 콘텐츠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시청자의 선택이 용이하도록 방송 내용 중 흥미를 끌 만한 장면을 모아 하이라이트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채팅 트래픽 정보가 하이라이트 검출에 유용함을 보이고 채팅 트래픽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하이라이트 검출에 있어 채팅 트래픽 사용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검출 알고리즘은 시청자 선호도가 높은 게임 방송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3D 게임 재질 교육을 위한 PBR 소프트웨어 특성 연구 (MARI, QUIXEL, SUBSTANCE DESIGNER를 중심으로) (A Study for properties of PBR software to 3D game material education)

  • 조형익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9-231
    • /
    • 2017
  • 오늘날 게임분야에서 PBR(Physical Based Rendering) 소프트웨어들을 이용해서 게임용 재질을 제작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예전 전통적 재질 방식에 비해 PBR 현 실무 제작파트에서 주로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굉장히 리얼한 재질을 쉽게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과 전통적 방식에 비해 제작의 편의성이 훨씬 뛰어난 장점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많은 PBR 중,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시스템인 MARI, QUIXEL, Substance Painter을 중심으로 각 tool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정된 시간에 많은 양을 가르쳐야 하는 대학교에 있어서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 위 세 가지 소프트웨어중 어떤 것을 취사, 선택하여 교육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유리한지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안하였다.

  • PDF

Effects of Virtual Reality Exercise Program on Balance, Emo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gnitive Decline

  • Lee, Geun-Ho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8권6호
    • /
    • pp.355-363
    • /
    • 2016
  • Purp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a 12-week virtual reality exercise program using the Nintendo Wii console (Wii) in improving balance, emo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cognitive decline. Methods: The study included 30 patients with cognitive decline (12 female, 18 male)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n=15) and control groups (n=15). All subjects performed a traditional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an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dditional three 40-minute virtual reality based video game (Wii) sessions per week for 12 weeks. The berg balance scale (BBS) was used to assess balance abilities. The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GDS-K) and the Korean version of quality of life-Alzheimer's disease (KQOL-AD) scale were both used to assess life quality in patien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within and between groups before and after treatment, using Wilcoxon signed rank and Mann-Whitney u-tests. Results: After 36 training sessions, there were significant beneficial effects of the virtual reality game exercise on balance (BBS), GDS-K, and KQOL-A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with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 virtual reality-training program could improve the outcomes in terms of balanc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gnitive decline. Long-term follow-ups and further studies of more efficient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s are needed.

Museum Gamification Design using Story Elements

  • Jeon, Se-Won;Ryu, Gihwan;Moon, Seok-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25-32
    • /
    • 2020
  • Currently, Korean museums use gamification in addition to various viewing methods, such as video and VR/AR. However, museums using museum gamification are still progressing to a special program leve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contents of the museum easy to understand and to give the viewers fun. This paper goes beyond the existing museum gamification and proposes a museum story gamification that combines story elements with gamification. This proposal system collects information from each museum in cooperation with museums, art galleries, and exhibition halls and proceeds with related story games. Museum Story Gamification provides related stories according to the theme of the museum and allows viewers to select their own stories. Also, based on the story, you can directly select the difficulty level that suits you and play a personalized game. Unlike the general museum program,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paper allows visitors to experience the museum with various story contents. In addition,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with gamification in other tourism fields as well as museums.

자동차 경주 컴퓨터 게임 시 대형 디스플레이 곡률이 자세 제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rge Display Curvature on Postural Control During Car Racing Computer Game Play)

  • 이지현;박성률;최동희;경규형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3-19
    • /
    • 2015
  • 디스플레이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되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를 관련 기업들이 앞다투어 진행하고 있다. 현재 시장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초기 단계인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스마트폰, TV 등이 출시되어 있고, 데스크탑용 커브드 모니터 역시 최근에 출시되어 사무용 또는 엔터테인먼트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엔터테인먼트용으로 50" 멀티 모니터를 사용시 모니터의 곡률이 사용 자세 제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실험에는 두 종류의 곡률 (평면, 곡률반경 600mm)이 사용되었다. 총 10명의 근골격계질환이 없고, 양안 시력이 모두 0.8이상이고, 색맹 또는 색약이 아닌 평균 (SD) 20.9 (1.5)세의 대학생들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피험자들은 일반적인 VDT 환경의 실험실에서 각 곡률당 30분씩 핸들과 페달을 사용해 운전 게임을 하였다. 각 피험자가 운전 게임을 하는 동안 의자 위에 놓여진 압력 매트를 통해 이들의 COP (Center of Pressure)가 측정되었다. 자세 제어 분석을 위하여, 총 4개의 COP 측정치, Mean Velocity, Median Power Frequency, Root-Mean-Square (RMS) Distance, 그리고 95% Confidence Ellipse Area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곡면대비 평면 디스플레이에서 전후 방향 (Anterior-Posterior; AP)의 RMS distance값이 더 큰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평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운전 게임을 하는 동안 피험자의 전후 방향으로 몸을 더 많이 움직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평면 디스플레이가 곡면 디스플레이보다 화면의 가로방향으로 시거리 차이가 더 크기 때문에, 초점의 이동시간이 더 길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 대비 곡면 디스플레이에서 더 높은 몰입감을 느끼거나, 더 집중할 수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곡률에 따른 이런 행동상의 차이가 근골격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게임이 사용자의 공격성·사회성·정서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연구 (The Effects of Video Games on Aggression, Sociality, and Affect: A Meta-analytic Study)

  • 이은하;강진원;김제홍;안주희;강귀영;김준우;이솔빈;조성학;남기춘
    • 감성과학
    • /
    • 제23권4호
    • /
    • pp.41-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008년 1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보고된 국내외 출간·비출간 연구를 대상으로 오락용 게임이 일반 사용자의 공격성, 사회성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변량 메타분석을 시행했다. 총 22개 관련 연구(효과 크기 수 = 54개, 참여자 수 = 8031명)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 게임의 폭력성 또는 폭력적 게임의 이용이 사용자의 정서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진실험연구 분석 결과에서만 게임의 폭력성 또는 폭력적 게임의 이용이 사용자의 공격적 인지와 친사회적 행동에 약한 수준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공격적 행동과 부정적 감정(예를 들면 불안, 우울 등)에 미치는 영향은 진실험, 준실험 및 상관회귀 연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조절변수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게임의 폭력성 또는 폭력적 게임 이용의 효과는 아동보다 청장년에게서, 남녀의 비율이 균등하게 통제된 연구보다 남성의 비율이 더 높은 연구에서, 그리고 방법론적 질이 높은 연구보다 방법론적 질이 낮은 연구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게임의 폭력성 또는 폭력적 게임 이용이 사용자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으며, 이 또한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그리고 연구의 방법론적 질에 따라 좌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업계고등 학생의 여가활동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isure Activity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 김성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65-171
    • /
    • 2013
  • 본 연구는 K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8개교 남 여고등학생 934명을 대상으로 여가활동유형을 조사한 내용은 고등학생들의 하루평균 수업시간은 9-10시간, 수면시간은 6시간, 자율공부시간 1-2시간, 월평균용돈은 3만원이하로 과거나 지금이나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활동비용으로 반정도 쓰고, 여가비용 용도는 전자오락, 컴퓨터 게임등 비활동성에 투자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고등학생들은 여가활동교육을 33.2%로만 받았다고 응답해 대부분이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61.2%로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여가교육이 건전한 청소년 문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79.7%로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여가활동 유형으로는 컴퓨터게임, 전자오락, 등 비활동성을 많이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은 여가활동에 대해 넉넉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시간적 제약 때문에 하고 싶은 활동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은 여가활동시설에 대해 매우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게임 방송에서 나타나는 인기 채널의 특징과 비교: Twitch TV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and Comparison of Popular Channels on Internet Game Broadcasting: Focus on Twitch TV)

  • 한석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14
    • /
    • 2016
  • 본 연구는 인터넷 방송 중 게임을 전문적으로 하는 미국의 Twitch TV(트위치 TV)에서 나타나는 인기 채널을 분석한다. 현재 한국에서 인터넷 방송은 아프리카가 실질적 독점을 하고 있으나, Twitch TV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으며 현재 한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 중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1월부터 6월까지 매주 금요일 9시에 Twitch TV에서 나타나는 국내(한국)와 해외의 인기 채널을 총 20회 조사한 뒤, 채널에서 나타나는 (1) 시청자(접속자) 수 (2) 게임의 출연수 (3) 게임의 장르 (4) 게임의 개발 국가의 차이점을 입체적으로 조사하였다. 인터넷 방송은 지상파 TV와 달리 시청률의 개념은 없지만, 채널에 연결 된 접속자 수를 기반으로 인기 채널이 구별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Twitch TV의 특징을 연구하고, 더 나아가 인터넷 방송의 미래에 대해서도 토론한다.

Study on utilization status of internet and needs assessment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 Ahn, Yun;Kim, Kyung-W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권4호
    • /
    • pp.341-348
    • /
    • 2007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tilization status of internet, health/nutrition websites among children, and to assess the needs for developing nutrition websites and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5-6th grade students (n=434) at two elementary schools. About 32% used the internet every day while 19.5% used it whenever they neede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net usage by gender (p<0.01). Although the subjects used the internet frequently, those who used health/nutrition websites were 23.3%. The purpose of using these sites were mainly 'to obtain health/nutrition information' (55%), 'to get information regarding weight control' (17%). Fifty-six percent of the users were satisfied with the nutrition websites, but only 30% said that they were helpful. The preferred topics in developing nutrition websites were assessment of obesity, exercise methods, weight control methods, nutrition information (e.g., diet for stature growth), dietary assessment and food hygiene. Girls showed more interest in these topics than boys (p<0.05). For school nutrition education, girls showed more interest than boys in topics for cooking snacks (p<0.001) and selecting snacks (p<0.05). In nutrition websites, subjects wanted to have information and game/quiz, as well as getting information using Flash animation. The favorite colors for screen and text were slightly different by gender (p<0.01). In school nutrition education, 89.5% of subjects liked to have activities (e.g., cooking, exercise, game). They also liked materials using computers, video and internet than printed materials. If nutrition education was done at schools, subjects wanted to receive 5.7 times of education per semester on average (mean length: 42.6 min/ses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nutrition websites and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should include the topics such as assessment of obesity or diet, weight control and special information (e.g., diet for growth) as well as general information. In designing nutrition websites and programs, methods including game, quiz, Flash animation and activities (cooking, exercise) could be appropriately used to induce the interest and involvement of children.

MMORPG 디아블로 III 캐릭터 의상에 나타난 미메시스 특성 (A Study on the Mimesis Type of the Costume in MMORPG Diablo 3)

  • 유선아;고현진
    • 복식
    • /
    • 제64권3호
    • /
    • pp.126-14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ific mimesis types of common character costumes in MMORPGs, which have stories that are very similar in structure to ancient myths and fantasy novels. A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 have selected "Diablo 3" created by the American video game developer, Blizzard Entertainment Images of 5 characters, for both genders - Barbarian, Witch Doctor, Monk, Demon hunter, Wizard - were compiled for a total of 10 images, and these images were compared to popular archetypes in mythology, religion and literature. analyzed them separately according to the mimesis type. For this study, Articles and books containing the Aesthetics, Mimesis and Digital culture were researched in order to study the costume features and the Mimesis types and compare them to the costumes in the MMORPG. Firstly, the character Barbarian is a successor of the barbarian character of the previous product. The outfit worn by the game figure is based on the common images expressed in the movie . The makers created an analogous-imitation mimesis by replicating the image in an exaggerated and grand form. Second, the character Witch Doctor derived its motif from the Voodoo cult, and was expressed in analogous-imitation mimesis, using the very shades and patterns used in real life. Third, the character Monk, blending the image of a priest in Eastern Europe and images of its oriental counterparts, was expressed in transposition-diversion mimesis. Fourth, the Demon Hunter took the source of its inspiration from the image of a Witch hunter in the medieval times. The game character has a sharper sleeker figure than its model, and uses more acute shapes and darker gloomier colors expressed in an analogous-imitation mimesis. Finally, the character Magician took a formless character and expressed it in transposition-diversion mimesis taking as its basis some fantasy no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