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forensic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8초

토너 출력문자와 필기구류 기재문자 간 광학적 변화와 선후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cal Changes and Sequence Discrimination of Toner-printed Text and Writing Text)

  • 이가영;윤도영;이중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1호
    • /
    • pp.135-140
    • /
    • 2017
  • 본 논문은 법과학 문서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주제 중 하나인 상대적 작성시기 판단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문서 제작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토너 타입의 출력문자와 필기구류 기재문자의 교차 지점을 분광비교분석기 및 무한초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필기구류 종류에 따라 교차지점 형태를 분류할 수 있었고, 문자간 상대적 작성시기 판단에 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The classification of ballpoint pen inks in Questioned Documents by using VSC and SERRS

  • Kim, Nam Yee;Park, Sung Woo;Doble, Philip;Roux, Claude
    • 분석과학
    • /
    • 제17권4호
    • /
    • pp.315-321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vidential value of blue and black ballpoint pens on paper by nondestructive techniques. In this work, 21 blue and 22 black ballpoint pens which were purchased on different brands were analyzed by Raman Spectroscopy and Video Spectral Comparator (VSC). Surface-Enhanced Resonance Raman Spectroscopy (SERRS) with excitation at 685 nm and VSC with several spot light filters were used for the discrimination of ballpoint pen inks. In the SERR spectra, the ballpoint pen inks on paper could be shown sharp spectral bands and distinguished by their band shapes and relative intensities. In the blue and black ballpoint pen inks, the discriminating powers (DP) by SERRS were 0.85 and 0.67 and the DP by VSC were 0.88 and 0.90, respectively. The DP by combined sequence of techniques was all 0.97 in both black and blue ballpoint pen inks.

스마트폰 포렌식을 위한 증거수집 및 분석절차 연구 (A Study evidence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dures for smartphone forensic)

  • 이재현;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3-466
    • /
    • 2012
  • 스마트폰(Smartphone)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폰을 이용한 범죄도 증거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내부 저장매체에는 사건에 증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이미지, 동영상, 통화내역, GPS정보, 인터넷 사용기록 등의 데이터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들을 수집하기 위한 체계적인 증거수집 및 증거분석에 대한 절차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모바일 포렌식의 포렌식 증거수집, 증거분석, 결과보고서 작성까지의 절차 및 방법에 대해서 도출한다. 본 논문을 통해 스마트폰 포렌식 조사 및 수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엘리베이터 내의 폭행 추출을 위한 영상포렌식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Video-Forensic System for Extraction of Violent Scene in Elevator)

  • 신광성;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427-2432
    • /
    • 2014
  • 장면전환검출 기법의 하나인 컬러-$X^2$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내에서 발생하는 폭행 장면을 추출하여 범죄행위에 대한 실시간 감시와 사후 증거확보 및 분석과정에서의 증거 자료로 활용한다. 또한 디지털포렌식 분야에서 범죄와 연관된 영상물에 대한 효율적인 증거분석을 위한 다양한 방법에 관한 연구를 "영상포렌식"으로 정의한다. 컬러히스토그램의 차이를 이용한 방법은 두 프레임으로부터 얻은 R,G,B 컬러에 대하여 각각을 따로 계산한 히스토그램의 차이 값을 측정하여 검출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엘리베이터 내에서의 폭행 장면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컬러히스토그램의 장점과 $X^2$ 히스토그램의 장점을 결합한 컬러-$X^2$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컬러-$X^2$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키프레임을 찾아내기 위해 임계값을 찾아낼 때, 실제 폭행 장면 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확률을 높이기 위해 20개의 샘플영상을 이용하여 통계적인 판단을 이용하였다.

Wiener 필터링에 기반하는 센서 패턴 노이즈를 활용한 영상 장치 식별 기술 연구 (Imaging Device Identification using Sensor Pattern Noise Based on Wiener Filtering)

  • 이해연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12호
    • /
    • pp.2153-2158
    • /
    • 2016
  • Multimedia such as image, audio, and video is easy to create and distribute with the advance of IT. Since novice uses them for illegal purposes, multimedia forensics are required to protect contents and block illegal usage. This paper presents a multimedia forensic algorithm for video to identify the device used for acquiring unknown video files. First, the way to calculate a sensor pattern noise using Wiener filter (W-SPN) is presented, which comes from the imperfection of photon detectors against light. Then, the way to identify the device is explained after estimating W-SPNs from the reference device and the unknown video. For the experiment, 30 devices including DSLR, compact camera, smartphone, and camcorder are test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Based on the results, the presented algorithm can achieve the 96.0% identification accuracy.

이차 보간에 따른 ENF 기반의 위변조 디지털 파일 탐지 기법 (ENF based Detection of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igital Files due to Quadratic Interpolation)

  • 박세진;윤지원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5권3호
    • /
    • pp.311-320
    • /
    • 2018
  • 최근 형사 및 모든 분야의 소송에서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를 증거로써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디지털 포렌식 기법을 이용한 과학 수사가 발전하고 있다. 컴퓨팅 기능과 파일 편집 기술의 발달로 누구나 간단하게 비디오 파일을 조작할 수 있게 되면서 디지털 데이터를 조작하는 사례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감정을 통해 증거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일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포렌식 기법 중 하나로 전력 공급에 대한 지리적 환경에 따른 전력망 그리드를 통해 전력망 주파수 신호(Electrical Network Frequency: ENF)를 추출하고 QIFFT를 이용해 peak 검출을 위한 신호처리 과정을 거치는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그리고 표준편차를 이용한 탐지 알고리즘을 통해 73%의 정확도로 비디오 파일의 위변조 여부 확인 및 위변조 지점을 찾는 실험을 진행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HEVC 기반의 실감형 콘텐츠 실시간 저작권 보호 기법 (Real-Time Copyright Security Scheme of Immersive Content based on HEVC)

  • 윤창섭;전재현;김승호;김대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7-3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기반의 실감형 콘텐츠에 대한 실시간 스트리밍 저작권 보호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연구는 저작권 사전 보호와 저작권 사후 보호를 위해 암호화와 모듈러 연산을 사용하기 때문에 초고해상도의 영상에서 지연이 발생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HEVC의 CABAC 코덱만으로 스레드풀 기반에서 DRM 패키징을 하고 GPU 기반에서 고속 비트 연산(XOR)을 사용하여 병렬화를 극대화하므로 실시간 저작권 보호가 가능하다. 이 기법은 세 가지의 해상도에서 기존 연구와 비교한 결과 PSNR은 평균 8배 높은 성능을 보였고, 프로세스 속도는 평균 18배의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포렌식마크의 강인성을 비교한 결과 재압축 공격에서 27배 차이를 보이며, 필터 및 노이즈 공격에서는 8배 차이를 보였다.

압수 수색된 안드로이드와 윈도우모바일 스마트폰의 포렌식 증거 자료 (Forensic Evidence of Search and Seized Android and Windows Mobile Smart Phone)

  • 윤경배;천우성;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23-331
    • /
    • 2013
  • 휴대폰에서 포렌식 증거 자료를 추출하는 방법은 SYN, JTAG, Revolving 3가지 방법이 있다. 하지만 휴대폰과 스마트폰의 기술과 사용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포렌식 증거 자료를 추출하는 방법도 달라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압수 수색된 스마트폰에서의 포렌식 증거 자료의 추출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압수 수색된 스마트폰에서 많이 사용되는 구글 안드로이드와 윈도우모바일 스마트폰의 분석을 위하여 스마트폰의 사양과 운영체제, 백업 분석, 증거 자료를 분석 한다. 또한 구글 안드로이드와 윈도우모바일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부, SMS, 사진, 동영상에 관한 포렌식 증거 자료를 추출하여 법적인 증거자료와 포렌식 보고서를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 실험된 스마트폰 포렌식 기술 연구는 모바일 포렌식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차량용 블랙박스 데이터 저장구조 분석을 통한 포렌식 분석도구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ar Blackbox Forensic Analysis Tool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Structure)

  • 차인환;이국헌;이상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11호
    • /
    • pp.427-438
    • /
    • 2016
  •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운행기록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장치이다.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면서 다양한 장소, 시간, 다방면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수사 과정에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블랙박스는 제조사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 상이하여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조사가 제공하는 전용분석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전용분석도구는 특정 모델에 대해 의존적이며 기능이 상이하다는 단점과 제조사가 폐업할 경우 전용분석도구를 구할 수 없다는 문제로 인하여 디지털 포렌식 수사 과정에서 어려움이 발생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판매되고 있는 블랙박스를 선정하여 모델별 데이터 저장 구조를 분석하고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전용분석 도구의 기능과 한계점을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포렌식 분석도구에 요구되는 기능을 도출하고 포렌식 분석도구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적대적 생성 신경망을 통한 얼굴 비디오 스타일 합성 연구 (Style Synthesis of Speech Videos Through Generative Adversarial Neural Networks)

  • 최희조;박구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11호
    • /
    • pp.465-47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동영상 합성 네트워크에 스타일 합성 네트워크를 접목시켜 동영상에 대한 스타일 합성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네트워크에서는 동영상 합성을 위해 스타일갠 학습을 통한 스타일 합성과 동영상 합성 네트워크를 통해 스타일 합성된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학습시킨다. 인물의 시선이나 표정 등이 안정적으로 전이되기 어려운 점을 개선하기 위해 3차원 얼굴 복원기술을 적용하여 3차원 얼굴 정보를 이용하여 머리의 포즈와 시선, 표정 등의 중요한 특징을 제어한다. 더불어, 헤드투헤드++ 네트워크의 역동성, 입 모양, 이미지, 시선 처리에 대한 판별기를 각각 학습시켜 개연성과 일관성이 더욱 유지되는 안정적인 스타일 합성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다. 페이스 포렌식 데이터셋과 메트로폴리탄 얼굴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대상 얼굴의 일관된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대상 비디오로 변환하여, 자기 얼굴에 대한 3차원 얼굴 정보를 이용한 비디오 합성을 통해 자연스러운 데이터를 생성하여 성능을 증가시킴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