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Service

검색결과 1,601건 처리시간 0.03초

SMIL 2.0 문서 재생을 위한 이벤트 처리기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vent Processor for Playing SMIL 2.0 Documents)

  • 김혜은;채진석;이재원;김성동;이종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51-263
    • /
    • 2004
  •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은 W3C에서 제안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에 관한 국제 표준 언어이다. 이것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수많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만들 수 있고, 기존의 웹 브라우저에서는 불가능했던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SMIL 기술을 이용하고 활성화하려면,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서버, SMIL 저작 도구, SMIL 재생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관련 도구의 개발을 위해서는 SMIL 문서 형태인 텍스트 파일을 읽어서 해석하고, 문서에 나타나는 여러 형태의 미디어 객체들을 시간적인 동기화 관계에 따라 재생할 수 있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간적인 동기화 관계에 따라 미디어들의 재생이 가능하고, 재생 중 이벤트 처리가 가능하여 SMIL 2.0시간 모델을 만족하는 이벤트 처리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고, 이 이벤트 처리기를 이용하여 SMIL Basic 프로파일을 만족하는 재생기를 개발하였다. 이것은 SMIL 컨텐츠들을 쉽게 재생할 수 있게 하여 SMIL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고 SMIL 표준안에 정의된 여러 종류의 프로파일에서 재 사용될 수 있어서 XHTML+SMTL이나 SMIL Animation과 같은 SMIL을 통합하는 다른 표준들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웹 영상을 활용한 "섬"앱 서비스에 관한 연구 (Application-Services, "Islands" utilizing web-picture)

  • 권오태;강효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712-2716
    • /
    • 2011
  • 시대의 변화에 따라 휴대폰의 발달도 크게 확산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전화만 받고, 거는 형식의 아날로그가 아닌 디지털 시대에 맞추어 휴대폰도 멀티서비스 기능이 부과되어, 다양하고도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스마트폰이 탄생하게 되었다. 새로운 디지털혁명 속에 스마트폰 가입자가 대중화의 기준점, 1,500만을 넘어선 것은 2011년 9월이다. 본격적인 스마트폰 대전의 1차전이라 할 수 있는 삼성전자의 '옴니아2'와 애플의 '아이폰'이 2009년 말에 출시되었던 것을 감안하면, 스마트폰은 가히 폭발적으로 성장했다고 할 만하다. 앞으로 스마트폰이 휴대폰 시장, 아니 우리들 실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렇듯 스마트폰은 날이 갈수록 우리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주 5일제 근무 등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여행과 여가를 즐기기 위하여 많은 여행 정보를 찾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바다의 섬 여행이라는 테마를 갖고 이에 따른 웹 영상을 활용한 섬의 앱 서비스에 관련하여 연구를 시작하고자 한다.

QoS에 민감한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응용을 위한 P2P 스트리밍 기법 (P2P Streaming Method for QoS-sensitive Multimedia Multicast Applications)

  • 박승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68-78
    • /
    • 2010
  • 확장성 문제와 도메인간 상호 동작성 문제 등으로 인해 인터넷에서 IP 멀티캐스트 기능의 지원이 지연되고 있음에 따라 IPTV와 같은 실시간 멀티미디어의 멀티캐스트 응용을 P2P(Peer-to-Peer) 방식으로 지원하는 P2P 스트리밍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참여자간 상호 작용이 보다 활발한 개인 IPTV와 비디오 컨퍼런스 등과 같이 QoS(Quality of Service)에 민감한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응용을 위한 P2P 스트리밍 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P2P 스트리밍 기법은 응용이 자신의 신뢰성 요구에 부합되도록 백업 피어(Backup Peer)가 배치된 P2P 스트리밍 트리를 구축함으로써 피어 이탈에 따른 재연결 지연(Reconnection Delay)을 축소하여 그에 따른 스트리밍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피어의 대역폭 정보와 종단간 지연시간 정보를 분산 방식으로 유지함으로써 참여 피어가 연결될 목표 피어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게 하여 피어의 참여 지연시간인 스타트업 지연시간(Startup Delay) 획기적으로 줄인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P2P 스트리밍 기법은 대역폭과 종단간 지연 시간에 따른 피어 수락 제어(Peer Admission Control)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멀티캐스트 응용의 종단간 지연 시간 요구사항에 부합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테레오 깊이영상의 변위증분을 이용한 중간시점 깊이영상 생성 (Intermediate Depth Image Generation using Disparity Increment of Stereo Depth Images)

  • 구자명;서영호;최현준;유지상;김동욱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63-37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자유시점 또는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나 홀로그래픽 비디오 서비스 등을 목표로 중간시점 깊이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서 좌/우 깊이영상이 주어졌다고 가정하고, 이 깊이영상들은 카메라 보정과 영상보정이 수행되었다고 가정한다. 제안한 방법은 깊이 당 변위증분을 계산하여 사용하며, 이 변위증분은 일반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좌/우 깊이영상을 스테레오 정합하여 계산한다. 계산된 변위증분을 사용하여 해당 깊이값의 위치를 원하는 중간시점 깊이영상에서 찾는다. 중간시점 깊이영상은 좌영상과 우영상으로부터 각각 생성하며, 잡음을 제거하고 홀 필링을 수행한 후 두 영상을 결합하여 최종 중간시점 깊이영상을 생성한다. 제안한 방법을 구현하여 여러 테스트 시퀀스에 적용한 결과, 생성된 중간시점 깊이영상의 화질은 평균 PSNR 33.84dB이었으며, HD급 중간시점 깊이영상을 초당 한 프레임 정도 생성하는 속도를 보였다. 이 화질은 테스트 시퀀스들의 비균질성을 고려할 때 상당히 좋은 화질이라 판단되며, 향후 수행속도를 더욱 향상시키면 제안한 방법은 중간시점 깊이영상을 생성하는 좋은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N-/멀티스크린 및 OTT 서비스시대의 미디어 생태계 변환의 여섯 가지 특징과 함의: 미국 사례 (Six Major Shifts and Implications of the Video Distribution Ecosystem in the Era of N-screen and OTT Services: A case of US media industry)

  • 한광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42-364
    • /
    • 2014
  • 본 논문의 목적은 N- 혹은 멀티스크린 기술의 발전 및 OTT서비스 환경에서 TV서비스 중심의 미디어 생태계 변화의 특징과 함의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체재/보완제의 위협 및 신규사업자의 위협에 초점을 맞추되, 현행의 복잡한 경쟁 관계를 매체간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이해하려고 시도하였다. 분석의 틀로 한광접의 TPC모델을 이용해 연구관점과 연구범위를 크게 기술/산업(Technology), 정책(Policy) 및 소비자(Consumer)의 세 분야로 구분했다. 이 세 부분의 균형잡힌 연계성의 필요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초점은 시장분석에 맞추었다. 비디오 분배서비스시장을 새로운 인터넷/컴퓨터기반 신규사업자들의 시장진입과, 이에 대응하는 기존 미디어사업자들의 대응전략을 기존의 유료TV사업자들(IPTV/케이블TV/위성TV사업자)과 무료(공중파)TV네트워크사업자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전환의 특징을 통신부분의 파워쉬프트, 방송부분의 파워쉬프트, 통신망사업자와 OTT사업자의 전략적 제휴, 타임 쉬프트, 플레이스 쉬프트 및 비즈니스모델 쉬프트 등 여섯 가지로 정리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TSC-M/H 기반의 융합형 3DTV를 위한 양안시차 고속 추정 알고리즘 (Fast Algorithm for Disparity Estimation in ATSC-M/H based Hybrid 3DTV)

  • 이동희;김성훈;이주영;강동욱;정경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21-532
    • /
    • 2014
  • 3D 방송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가운데 ATSC-M/H 기반의 융합형 3DTV 방식은 HD 화질의 좌영상과 모바일 화질의 우영상을 결합하는 서비스 호환 3DTV 시스템으로서 이 방식에서는 좌우 영상 사이에 상대적인 화질 차이가 존재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건부 대체 알고리즘(Conditional Replenishment Algorithm)이 제안되었다. 조건부 대체 알고리즘에서는 좌우영상 사이의 양안시차 벡터를 추정하고 양안시차 보상된 HD 좌영상과 단순 확장된 모바일 우영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우영상의 화질을 개선한다. 그러나 이 알고리즘은 여러 계층의 양안시차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매우 많은 계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실제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속 알고리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양안시차 벡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역 탐색 대신에 SDSP(Small Diamond Search Pattern) 탐색 방법을 사용하고 탐색의 초기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특정 조건 하에서 양안시차 벡터 추정을 생략하는 조기종료 모드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복원 영상의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조건부 대체 알고리즘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이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중환자실 흡인간호 및 인공호흡기관리 표준화를 통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발생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tandardized Suction and Ventilator Management Protocol on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the Intensive Care Unit)

  • 송경자;유정숙;권은옥;정은자;신현주;박옥향;옥순옥;유미;윤선희;이복남;최진아;황정해;오향순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4-55
    • /
    • 2001
  • Background :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 of the standardized protocol on lowering the incidence of the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VAP). Methods : The standard protocol focusing on decreasing VAP was made and applied at 5 ICUs (Medical ICU, surgical ICU, Respiratory ICU, Neonatal ICU, Pediatric ICU) in a university affiliated tertiary hospital, from April 1, 2000 to Oct 31, 2000. The protocol involved 3 parts : hand washing, the suctioning method and ventilator circuit management. All the nursing personnel received intensive education which was consisted of lecture, video film and demonstration. 176 nurses reported the performance of handwashing pre and post intervention. And randomly selected 15 nurses were observed by charge nurse and the handwashing practice was analyzed pre and post intervention. The incidence of VAP was compared with the former year incidence. Results : The self reported frequency of hand washing increased. In the direct observation of handwashing, the frequency, time, thoroughness of hand washing during 8 hours day duty was found to be improved. The frequency was increased from 1.1 time to 4.1 times; the time was improved from 1.7 seconds to 5.7 seconds and the thoroughness of the washing practice was from 0.2 times to 3.0 times respectively (p<0.001). The incidence of VAP decreased from at a rate of 15.63 number of case per 1,000 ventilator-day (April 1~August 31, 1999) to 7.23 number of case per 1,000 ventilator-days(April 1~Oct 31, 2000)(P<0.001). Conclusion : We developed the protocols which included hand washing, the suctioning method, and ventilator circuit managemen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tocol, the performance of hand washing improved and the VAP incidence rate in ICU was decreased.

  • PDF

CNN 기반 공조 덕트 청소 로봇의 교차점 검출 알고리듬 개발 (Development of a CNN-based Cross Point Detection Algorithm for an Air Duct Cleaning Robot)

  • 이사랑;노은솔;홍석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8
    • /
    • 2020
  • 건물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공조 덕트는 장기간 사용 시 오염물질이 내부에 쌓여 인력 또는 로봇이 투입되어 청소가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청소는 작업시간과 인건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원격 조정으로 로봇을 작동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완전 자동화가 아니라 인력 의존적이며 청소 시간 단축에도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공조 덕트 청소 로봇 자율 주행을 위해 교차점 검출 알고리듬 개발에 대한 것이다. 자율 주행은 청소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 영상에서 교차점 검출 알고리듬을 통해 추출된 점과 중심점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계산하여 로봇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교차점 검출을 위한 데이터는 3D CAD 프로그램을 이용한 공조 덕트 내부 이미지를 Python을 이용해 교차점 좌표 및 두 경계선 각도를 추출하여 생성했다. 검출 알고리듬은 딥러닝 중 CNN 모델이 학습에 사용됐으며 학습 모델은 입력이미지에서 교차점 정보를 추출하며 학습 모델 정확도는 면적과 거리를 이용해 판단했다. 알고리듬 검증을 위해 청소 로봇을 제작했으며 로봇은 몸체, Raspberry Pi, 카메라 및 초음파 센서를 포함한 제어부, 모터와 바퀴를 포함한 구동부로 구성된다. 알고리듬을 탑재한 로봇 청소기 주행 영상을 통해 알고리듬을 검증했다. 향후 공조 덕트뿐만 아니라 에스컬레이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TV서비스를 위한 부산지역 전파환경 분석 (Analysis of Radio Propagation Environment in Busan Area for DTV Service)

  • 성태경;원영수;조형래;김기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869-874
    • /
    • 2004
  • 디지털 TV 방송은 기존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해상도나 음질 등이 매우 뛰어나고 홈쇼핑, 홈뱅킹, 인터넷 검색, 재택근무 및 VOD(video on demand)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TV 서비스 전에 본질적인 지역적 전파환경의 분석이 필요하며, ETRI 모델을 적용하여 부산지역에 대한 전파모델을 적용하여 그 제한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TV 신호가 고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산악지역과 고층빌딩이 많은 부산지역의 전계강도를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TV 전파모델을 기준으로 전반적으로 기준모델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보다. 낮은 결과를 갖지만 분포 패턴은 비슷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론치와 실측치를 비교한 결과 평탄한 지형에 대해서는 비슷한 결과를 가지지만 도심 밀집지역 및 산악 지형에 대해서는 상당한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TRI 전파모델 및 자유공간에 대한 전파전파의 이론적 모델링이 부산 지역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위한 피어-투-피어 전송모델 (Peer-to-Peer Transfer Scheme for Multimedia Partial Stream using Client Initiated with Prefetching)

  • 신광식;윤완오;정진하;최상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7B호
    • /
    • pp.598-612
    • /
    • 2004
  • DSL 이나 케이블 모뎀 등과 같은 광 대역 접속기술이 보급됨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반 컨텐츠를 선호하는 사용자 수가 증가되었다. 반면 서버 네트워크 자원은 늘어나는 사용자의 요청 수에 맞춰 끊임없이 확충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서버 네트워크 자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가는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논문은 클라이언트 자원을 이용하여 서버자원이용을 줄여주는 CIWP (Client Initiated With Prefetching) 모델을 기본으로 부분 스트림에 대해서는 P2P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멀티캐스트 채널 이외의 추가적인 서버자원소비를 줄이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특히 threshold based multicas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모든 사용자는 서버로부터 대부분의 데이터를 전송받고 일부 앞부분의 데이터에 대해서만 다른 사용자를 통하여 받게 된다. 또한 사용자간의 데이터 전송은 선행 사용자의 서비스 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간의 Peer-to-Peer전송은 데이터전송 주체간의 네트워크 자원에 제한을 덜 받도록 ISP 단위로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 내에서만 데이터 전송을 허용한다. 해석적 방법을 사용하여 추가로 요구되는 클라이언트 측 자원과 이를 통해 절감되는 서버 네트워크 자원을 분석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지연시간과 전체 요청자중 지연 비율을 통해 성능 향상을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시된 모델은 서버 네트워크 자원이용을 비교할 때 35%의 대역폭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