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population distribu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부산 광안 해수욕장 해수의 Vibrio vulnificus 분포 (Distribution of Vibrio vulnificus in Sea Water of Kwangan beach Pusan, Korea)

  • 김영만;이병호;이상훈;이태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85-390
    • /
    • 1990
  • 광안 해수욕장 해수에 대한 Vibrio 패혈증 균의 분포와 해수 환경의 변화에 따른 Vibrio 패혈증 균의 오염도 변화를 측정하여 생선회 식중독의 위생대책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얻고저 1989년 2월부터 11월까지 실험한 결과 8월에만 Vibrio 패혈증균이 검출되었고, 균수는 $2.0\~.0/100ml$6이었다. 이때 해수는 다른 달에 비하여 염도와 pH가 낮았으며 수온과 COD가 높게 나타났다.

  • PDF

가덕도 연안 해수에서 Vibrio vulnificus의 분포 및 분리균주의 병원성 유전자 특성 (Distribution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Seawater Along the Gadeok Island Coast)

  • 오희경;정희진;김영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688-693
    • /
    • 2020
  • Vibrio vulnificus is a Gram-negative marine bacterium known to cause septicemi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 vulnificus along the coast of Gadeok Island in Korea and to determine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isolated strains sampled between March and November 2019 from seawater. The strains were mostly detected between July and September, when the average water temperature and average salinity were 22.2-26.2℃ and 14.2-29.9 psu, respectively. V. vulnificus was not detected in seawater below 15℃. In September, the highest population of V. vulnificus was observed at 2,100 MPN (most probable number)/100 mL, attributable to decreased salinity from heavy rains. In addition, the detection rate of V. vulnificus was higher at the sampling station near the Nakdong River. Virulence-related genes were also identified among the isolates, such as vvhA (97.1%), viuB (44.1%), and vcgC (57.4%). In particular, viuB and vcgC were only observed in V. vulnificus isolated from June to September, when the detection rate was high and water temperature was above 20℃, suggesting the role of seasonal characteristics.

Identification of Vibrio species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eju Island, South Korea

  • Sohn, Hanchang;Kim, Jeongeun;Jin, Changnam;Lee, Jehe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2권7호
    • /
    • pp.14.1-14.8
    • /
    • 2019
  •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s the major species developed for aquaculture in South Korea. Over the long history of olive flounder aquaculture, complex and diverse diseases have been a major problem, negatively impacting industrial production. Vibriosis is a prolific disease which continuously damages olive flounder aquaculture. A bacterial disease survey was performed from January to June 2017 on 20 olive flounder farms on Jeju Island. A total of 1710 fish were sampled, and bacteria from the external and internal organs of 560 fish were collected. Bacterial strains were identified using 16 s rRNA sequencing. Twenty-seven species and 184 strains of Vibrio were isolated during this survey, and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Bacterial isolates were investigated for the distribution of pathogenic and non-pathogenic species, as well as bacterial presence in tested organs was characterized. V. gigantis and V. scophthalmi were the dominant non-pathogenic and pathogenic strains isolated during this survey, respectively. This study provides data on specific Vibrio spp.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in an effort to provid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nd inform aquaculture management practices.

전남 다도해 바다목장 비브리오속 세균의 계절적 분포 (Seasonal Distribution of Vibrio spp. in the Jeonam Archipelago Marine Ranching Ground)

  • 김말남;이한웅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9-235
    • /
    • 2007
  • 2006~2007년 전남 다도해 바다목장 내 9개 정점을 대상으로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비브리오속 세균의 개체수를 측정하고, 군집의 종조성 및 우점종을 분석하였다. 계절별 비브리오속 세균의 개체수는 여름(2007년 6월) 표층수에서 5.4~93.2 cfu㎖-1, 저층수에서 1.0~53.1 cfu㎖-1로 4계절 중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해수온도가 낮은 겨울(2007년 1월)의 경우에는 1개 정점의 표층수에서만 0.2 cfu㎖-1의 비브리오속 세균이 검출되었다. 봄(2007년 4월) 조사에서 표층수는 0~11.9 cfu㎖-1, 저층수에서 0~8.3 cfu㎖-1, 가을(2006년 11월) 조사의 표층수는 0.1~21.4 cfu㎖-1, 저층수에서는 0~2.9 cfu㎖-1의 비브리오속 세균이 검출되었다. 비브리오속 세균 군집의 종조성은 V. parahaemolyticus, V. alginolyticus 및 V. cholerae non-01으로 조사되었으며, V. parahaemolyticus와 V. alginolyticus가 4계절 모두 분리되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V. alginolyticus는 수온이 낮은 겨울에도 대부분의 정점에서 분리되어 다른 비브리오속 세균에 비하여 온도에 덜 민감한 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군산인근해역에서 분리동정된 Vibrio 속의 특성과 해수에서의 생존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of Genus Vibrio Isolated in the Intertidal Zone of the Yellow Sea near Kunsan)

  • 왕혜영;이건형
    • 환경생물
    • /
    • 제17권4호
    • /
    • pp.439-448
    • /
    • 1999
  • 1997년 1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총 4회에 걸쳐 군산인근 해역을 대상으로 Vibrio 속의 분포와 특성을 조사하였고, 분리동정된 Vibrio 속 3종(V. anguillarum, V. vulnificus, V, metschnikovii)을 대상으로 해수에서 수온 변화에 따른 생존을 관찰하였다. 조사 기간 중 총 해양 종속영양 세균의 분포는 평판도말법으로는 1.2$\pm$0.6$\times$$10^3$~2.0$\pm$1.5$\times$$10^4$CFU ml­$^1$을 나타냈으며, 형광현미경에 의한 직접측정법으로는 6.0$\pm$4.0$\times$$10^{5}$ ~1.9$\pm$1.5$\times$$10^{7}$ cells ml­$^1$의 범주에서 변화하여 측정방법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해양 Vibrio의 분포는 1$\times$10~6$\pm$2.2$\times$$10^2$CFU ml­$^1$의 범주에서 변화하여 전반적으로 총 해양종속영양 세균의 수에 대하여 차지하는 비율은 0.l~6%였다. 최종 분리된 51균주를 Biolog Identification System$^{TM}$에 의해서 동정한 결과 V. mediterranei(11균주), V. anguillarum(13균주), V. netschnikovii(5균주), V. parahaemolyticus(5균주)등이 우점속으로 밝혀졌다. 분리 동정된 51균주들 간의 통계학적 유사도를 70%이상을 기준으로 grouping한 결과 26 group으로 나뉘어 본 조사해역에서 Vibrio 속의 다양성을 간접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동정된 균주들에서 plasmid의 존재를 확인한 결과 65%에 해당하는 33균주가 plasmid를 갖고 있었으며 그 크기는 12kb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리된51균주들에 대하여 7종의 항생제 (gentamicin, ampicillin, chlorarnphenicol, streptomycin, kanamycin, tetracycline, carbenicillin)에 대한 내성을 측정한 결과 51균주들 중 96%가 한 종류 이상의 항세균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냈다. 분리 동정된 균주들 중 V. angulliarum, V. vulnificus, V. metschnikovii를 대상으로 여과된 해수에 접종시켜 생존율을 4, 15, $25^{\circ}C$에서 30일간 측정한 결과 15$^{\circ}C$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 PDF

군산 내만의 해양수에서 분리되는 세균의 분포 (The Distribution of Bacterial Flora in Kunsan bay)

  • 최민순;심현빈;정경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7-73
    • /
    • 2000
  • 군산내만 해역의 해양생태계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금강 하구둑부터 외항까지 5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종속영양 세균상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으로부터 123개의 집락을 분리-동정한 결과 Vibrio spp.(44주, 35.7%), 및 Pseudomonas spp.(42주, 34.1%), 균종이 비교적 높게 출현하였고 Aeromonas spp.(11주, 8.9%), Moraxella spp.(9주, 7.3%), Escherichia coli.(6주, 4.8%), Bordetella spp.(3주, 2.4%), Alkaligenesis spp.(3주, 2.4%), Flavobacterium spp.(2주, 1.6%), and Staphylococcus spp.(3주, 2.4%)등은 낮은 출현율을 나타냈다. 한편, 각 총 정점의 생균수는 $5{\times}10^3\sim1{\times}10^5$ CFU/ml이었으며, 생활 하수가 많이 유입되는 지역(정점 2.3)이 강 하구 및 외항지역보다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의 생활 오.하수 및 산업 부산물 등의 유입으로 내만의 수질 악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양식사업에 있어서 문제시 되고 있는 어류의 세균성 질병의 발생이 증가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PDF

제주 차귀도 연안해역 미생물 분포 및 이화학적 특성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Chagwi-Do Coastal Waters, Jeju Island)

  • 문영건;김만철;이준백;송춘복;여인규;김종만;박근태;손홍주;최우봉;허문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1-278
    • /
    • 2006
  •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factors and microbial population, in ten stations at water region of coastal area of Chagwi-Do, Nutritive salts, water temperature, transparency, suspended solid, salinity, COD, DO, pH, heterotrophic bacteria, coliform group and Vibrio spp. were analysed three times in September, November in 2004 and February in 2005. Heterotrophic bacteria in surface water was $3.5X10^1{\sim}1.16X10^3cfu/ml,\;1.0X10^2{\sim}5.2X10^1cfu/ml\;2.0X10^1{\sim}7.6X10^1cfu/ml$ and bottom water counted $7.0X10^2{\sim}1.0X10^3cfu/ml,\;1.4X10^1{\sim}2.5X10^2cfu/ml\;2.0X10^2{\sim}4.2X10^1cfu/ml$ in September, November in 2004 and February in 2005, respectively. The cell number of total coliform bacteria in the surface water amounted to $0{\sim}4.3X10^2cfu/ml,\;0{\sim}6.0X10^1cfu/ml,\;0{\sim}1.0X10^1cfu/ml$ and bottom water amounted $0{\sim}2.2X10^2cfu/ml,\;0{\sim}5.4X0^2cfu/ml,\;0{\sim}2.0X10^1cfu/ml$ in September, November in 2004 and February in 2005, respectively. As for Vibrio spp., the cell number in the surface water was $1.0X10^1{\sim}2.5X10^2cfu/ml,\;1.0X10^1{\sim}2.0X10^1cfu/ml,\;0cfu/ml$ and bottom water counted $1.0X10^1{\sim}5.2X10^2cfu/ml,\;0cfu/ml,\;2.0X10^1cfu/ml$ in September, November in 2004 and February in 2005, respectively.

제주 차귀도 연안해역의 종속영양세균 분포 및 이화학적 특성 (Distribution of Heterotropic Bacteria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Chagwi-Do Coastal Waters, Jeju Island)

  • 문영건;여인규;허문수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36-341
    • /
    • 2007
  • 2004년 9월, 11월 그리고 2005년 2월 총 3회에 걸쳐 제주 차귀도 연안해역 10개 정점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를 조사하였고, 또한 해당 해역 수질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2004년 9월, 11월 그리고 2005년 2월에 종속영양세균의 수는 각각 표층수에서는 $3.5\times10^1\sim1.16\times10^3\;cfu\;mL^{-1}$, $0.4\times10^1\sim5.6\times10^1\;cfu\;mL^{-1}$, $0.4\times10^1\sim7.8\times10^1$ 그리고 저층수에서는 $4.5\times10^1\sim1.0\times10^3\;cfu\;mL^{-1}$, $1.2\times10^1\sim1.5\times10^2\;cfu\;mL^{-1}$, $0.4\times10^1\sim4.4\times10^1\;cfu\;mL^{-1}$가 검출 되었다. 또한 조사해역의 수온, pH, 염분 및 COD, DO, 총 인, 총 질소, 투명도 그리고 부유물질을 분석하여 보았는데 수온이 높은 2004년 9월에 그 수치가 조금 높았을 뿐 해역수질 환경기준에 있어 1등급에 만족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2004년 9월, 11월, 2005년 2월 각 정점별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우점적으로 자란 colony를 순수 분리하여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종속영양세균의 우점종을 비롯한 종속영양세균 군집을 분석한 결과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Vibrio spp.와 Pseudoalteromonas spp.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Psuedomonas spp, Bacillus spp., Alteromonas spp., Aeromonas spp., Psychrobacter spp., Flavobacterium spp.가 조사 되었다.

2010년 한국 연근해 자연산과 양식산 넙치, 참돔, 감성돔, 조피볼락의 병원체 비교 (Comparison of pathogen detection from wild and cultured olive flounder, red sea bream, black sea bream and black rockfish in the coastal area of Korea in 2010)

  • 박명애;도정완;김명석;김석렬;권문경;서정수;송준영;최혜승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3-270
    • /
    • 2012
  • 본 연구는 자연산 어류와 양식어류 사이의 병원체 존재에 대한 상관관계구명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서, 우리나라의 자연산과 양식산 넙치, 참돔, 감성돔, 조피볼락의 병원체 감염 현황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기생충성 질병의 조사 결과, 자연산 넙치와 참돔에서 가장 높게 검출 된 Anisakis sp. (각 58.6%, 41.7%) 는 양식 넙치와 참돔에서 검출되지 않아 자연산과 양식산 어류에서 아주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배합 사료를 공급하는 양식산 어류에 비해, 자연산 어류는 아니사키스에 오염된 갑각류나 작은 물고기 등을 먹이원으로 섭취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세균성 질병의 조사 결과, 자연산 어류에 비해 양식산 어류에서 세균이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양식 넙치에서 Vibrio sp.가 18%로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비브리오병은 주로 스트레스 등에 의한 2차적 세균성 질병으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부터, 양식 넙치가 다른 병원체의 감염, 이동이나 선별, 빈번한 항생제 사용 등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바이러스의 조사 결과, 자연산 어류와 양식어에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양식 넙치에서 LCDV (3.9%) 가 가장 높은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자연산과 양식산에서 동시에 검출되는 병원체도 있었으나, 동일 수역에 존재하는 같은 어종이라도, 먹이나 환경에 따라 분리되는 병원체가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