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cholerae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5초

지방산 조성에 의한 vibrio cholerae non-O1의 화학분류학적 관계 (The Chemotoxonoic Relationship of Vibrio cholerae non-O1 by Fatty Acid Compositions)

  • 성희경;이원재;장동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9-154
    • /
    • 1998
  • Vibrio cholerae non-O1 49균주와 V. Vibrio cholerae non-O1, V. mimicus, V. vulnificus와 V. parahaemolyticus의 균체 지방산(fatty acid methyl ester; FAME)을 gas liquid chromatogrphy로 분석하였다. 이들 분석자료를 통계학적으로 처리하여 Vibrio 종과 V. cholerae의 혈청형별 유연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검출된 지방산은 모두 41종이었고 분포량이 많은 것은 16:0, 16:1 cis 9, 18:1 trans 9/16/cis 11과 15:0 iso 2 OH/16:1 cis 9였다. 검출된 지방산 중에서 35종은 V. cholerae를 동정하는데 주요한 인자로 작용되었다 지방산분포를 UPGMA(비가중수리분석)으로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V. cholerae non-O!은 V. cholerae O1보다 V. choleare non-O1 중에서 O2, O5, O8, O10, O14, O27, O37, O39, O45와 O69의 총 10종류 혈청을 대상으로 지방산 조성에 의한 유사성을 검토한 결과 유사도가 92% 이상 수준에서 7개의 아종을 형성하여 혈청형과 지방산 조성간에는 유의할 만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V. cholerae non-O1의 동정 및 역학적인 조사시 지방산 분석은 유용하게 활용될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최근 경북지역 설사환자 검체에서 분리된 Vibrio cholerae O1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Molecular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brio cholerae O1 Isolated from Diarrheal patients in the Gyeongbuk province.)

  • 이상조;이복권;이건주;이희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34-341
    • /
    • 2003
  • 2001년 경북지역 콜레라 유행시 설사환자에서 V. cholerae O1 El Tor형 90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을 대상으로 ctxA, tcpA, hlyA gene에 대한 multiplex-PCR 시험에서는 분리균 모두에서 302, 223, 471 bps크기의 DNA 증폭산물 band를 확인하였다. ctxA 및 ctxB gene 부위의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에서 분리균과 GenBank에 수록된 균간의 유형의 차이를 보였다. PFGE typing 실험에서는 분리균 모두에서 동일한 amplicon 단편을 나타내었다. 또한, 2002년 8월부터 10월까지 콜레라균 서식가능성 규명을 위해 경북 동해안 일대에서 plankton 시료채취 및 V. cholerae O1 및 V. cholerae O139의 rfb 및 CT gene 검출을 위한 multiplex-PCR 확인실험에서는 ctxA gene의 DNA band는 일부 검출되었으나, V. cholerae O1 및 V. cholerae O139는 분리되지 않았다. 험에서 ctxA gene DNA band는 검출되었으나, V. cholerae O1 및 V. cholerae O1는 분리되지 않았다.

냉장광어에서 Vibrio cholerae에 대한 아세트산, Lauric acid 및 Monolaurine의 영향 (Influences of Acetic Acid, Lauric Acid and Monolurine Treatments on Survival of Vibrio cholerae in Refrigerated Flatfish)

  • 이재일;정병철;김창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662-666
    • /
    • 1998
  • The effects of 0.5∼1.0% acetic acid, 0.5% laurice acid, or 0.5% monolaurine against Vibrio cholerae non 01 in flatfish strips stored at 15$^{\circ}C$ were assessed. Control strips were dipped in diatilled water only for 3 min. All treatments significantly (P<0.05) reduced the levels of V. cholerae at initial day. The counts of V. cholerae in flatifish treated with either lauric acid or monolurine were a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from those of acetic acid treatment after 2 days of storage. The counts of V. cholerae in treatments of 0.5% laurice acid after dipping in 1.0% acetic acid for 3 min were lower than those of treatments with 0.5% luarice acid for 3 min after dipping in 0.5% acetic acid for 3 min. Treatments with 0.5% monolurine for 3 min were not effective in lowering (P<0.05) the counts of V. cholerae after 3 days compared to the control.

  • PDF

금강 하구의 Vibrio cholerae non-O1과 Vibrio mimicus의 선택 (Ecology of Vibrio cholerae non-O1 and Vibrio mimicus in Estuary of Kum River, Korea)

  • 장수현;송대진;양송주;신일식;김영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2
    • /
    • 1995
  • 새로운 식중독 원인균으로 알려지고 있는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의 분포와 서식 조건을 밝히고자 금강 하구에서 1993년 3월 26일부터 1994년 2월 22일까지 수질 환경과 V cholerae non-O1 및 V mimicus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V cholerae non-O1은 해수 54개 시료에서 $16.7\%$, 뻘 49개 시료에서 $6.1\%$, 전체 $11.7\%$가 검출되었으며 V mimicus는 해수 54개 시료에서 $11.1\%$, 뻘 49개 시료에서 $10.2\%$, 전체 $10.7\%$가 검출되었다. 2.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는 수온 $24^{\circ}C$이상, 염도 $10\%o$ 이하의 기수에서 주로 검출되었으나, 수온이 $3.5^{\circ}C$인 1월에 뻘에서 검출되었다. 3.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의 서식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는 온도, 염도 및 유기물질의 오염이며, V. cholerae non-O1은 V. mimicus보다 염도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더 높았다.

  • PDF

Drosophila melanogaster Is Susceptible to Vibrio cholerae Infection

  • Park, Shin-Young;Heo, Yun-Jeong;Kim, Kun-Soo;Cho, You-Hee
    • Molecules and Cells
    • /
    • 제20권3호
    • /
    • pp.409-415
    • /
    • 2005
  • Infection of Drosophila melanogaster adults with 6 Vibrio species revealed that V. cholerae was lethal (100% mortality) within 20 h as a result of systemic infection. Avirulent infection by V. vulnificus restricted the subsequent virulent infection by V. cholerae. The immediate transcrip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AMPs), most notably Attacin A, was delayed in V. cholerae infection compared to V. vulnificus infection. Ectopic expression of Attacin A and Metchnikowin enhanced the survival of D. melanogaster upon V. cholerae inf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Ps are important in the response to infections by Vibrio species and that the signaling pathways governing their expression may be targeted by V. cholerae virulence factors to elude the innate immunity of Drosophila.

수입냉동 어패류에 오염되어 있는 Vibrio속 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Vibrio Species Contaminated in Imported Frozen Seafoods)

  • 윤영준;김도연;이실한;이우윤;고영환;김승곤;김정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8-136
    • /
    • 2000
  • 수입 냉동어패류에서 24주의 Vibiro 균주를 순수 분리하여 그들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에 따라 동정한 결과 V. cholerae non-O1과 V. diazotrophicus가 각 2주, V. hollisae 1주, V. natriegens 5주, V. fluvialis 8주, V. nereis 4주인 것으로 밝혀졌고 2주는 Vibirio속 균주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 균주들을 API-2OE kit로 동정한 결과는 위의 결과와 매우 달라, V. cholerae로 동정된 2주와 fluvialis로 동정된 5균주의 경우에만 결과가 일치하였고 나머지는 Vibrio속이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품류에서 V. cholerae가 검출된 점에 주목하여 이 분리균들의 동정을 보다 정확히 하기 위하여 분리균들의 165 rRNA를 증폭시켜 이들의 RFLP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r cholerae로 동정된 두 균주는 동일한 RFLP양상을 갖고 있었으며, V. cholerae보다는 V. proteolyticus의 RFLP에 보다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류의 병원균 검색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검색 방법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 PDF

Risk assessment of vibriosis by Vibrio cholerae and Vibrio vulnificus in whip-arm octopus consumption in South Korea

  • Oh, Hyemin;Yoon, Yohan;Ha, Jimyeong;Lee, Jeeyeon;Shin, Il-Shik;Kim, Young-Mog;Park, Kwon-Sam;Kim, Seje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6호
    • /
    • pp.207-218
    • /
    • 2021
  • This study evaluated the risk of foodborne illness from highly pathogenic Vibrio spp. (Vibrio vulnificus and V. cholerae) by raw whip-arm octopus (Octopus minor) consumption. In total 180 samples of raw whip-arm octopus were collected from markets and examined for the prevalence of V. vulnificus and V. cholerae. Predictive models describing the kinetic behavior of Vibrio spp. in raw whip-arm octopus were developed, and the data on amounts and frequency of raw whip-arm octopus consumption were collected. Using the collected data, a risk assessment simulation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foodborne illness raw whip-arm octopus consumption using @RISK. Initial contamination levels of Vibrio spp. in raw whip-arm octopus were -3.9 Log colony-forming unit/g, as estimated by beta distribution fitting. The developed predictive models were appropriate to describe Vibrio spp. in raw whip-arm octopus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with R2 values of 0.946-0.964. The consumption frequency and daily consumption amounts of raw whip-arm octopus per person were 0.47% and 57.65 g, respectively. The probability of foodborne illness from raw whip-arm octopus consumption was estimated to be 8.71 × 10-15 for V. vulnificus and 7.08 × 10-13 for V. cholera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isk of Vibrio spp. infection from raw whip-arm octopus consumption is low in South Korea.

Vibrio cholerae non-O1과 Vibrio mimicus의 생잔에 대한 염도와 온도의 영향 (Effects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n the Survival of Vibrio cholerae non-O1 and Vibrio mimicus)

  • 장수현;송대진;양송주;신일식;김영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0-66
    • /
    • 1995
  • 새로운 식중독 원인균으로 주목을 받고 있고 수권에서 잘 검출된다고 알려져 있는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를 대상으로 민물, 기수 및 해수에서 염도와 온도의 변화에 따른 균수의 증감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민물에서 V. cholerae non-O1은 $26\pm1^{\circ}C$보다 4와 $15^{\circ}C$에서 생잔기간이 길었으며 V. mimius는 4와 $26\pm1^{\circ}C$보다 $15^{\circ}C$에서 생잔기간이 길었다. 2. 기수에서는 두 균주 모두 15, 4, $26\pm1^{\circ}C$으로 생잔기간이 길었다. 3. 해수에서는 두 균주 공히 온도가 높을수록 생잔기간이 짧았으며, $4^{\circ}C$에서 실험조건 중 생잔기간이 가장 길었다. 4. 민물에서는 V. mimicus보다 V. cholerae non-O1의 안정성이 높았고, 기수에서는 V. cholerae non-O1보다 V. mimicus의 안정성이 높았으며 해수에서는 두 균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5. 염도와 온도의 변화는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의 생잔에 중요한 인자이다.

  • PDF

NAG Vibrio의 검사에 관한 소고 (Study on the Identification Methods of the Non-agglutinating Vibrio)

  • 이명원
    • 환경위생공학
    • /
    • 제2권2호
    • /
    • pp.61-67
    • /
    • 1987
  • The genus Vibrio contains some of the most important intestinal pathogens of humans, including Vibrio cholerae, the cause of epidemic Asiatic cholera. A group of organisms which have been reffered to as the non-agglutinating vibrio (NAG) do not agglutinate in the Vibrio cholerae 0 group 1 antisera, but are indistinguishable from the 0-1 group both chemically and genetically. Non-O-l Vibrio cholerae can cause isolated as well as focal outbreaks of diarrhea, but the volume of fluid loss does not approach that of classic cholera, and the disease is usually self-limiting. These free-living organisms are found world-widely distributed in the environment including sewage, contaminated water, estuaries, seafood and animals. These strains involved in several cases were isolated from the environment and some patients of diarrhea, and a few epidemiologic reports indicated the wide distribution of the strains throughout the country, giving an attention to the role the organisms may play in an outbreak of diarrhea in Korea. More research on the epidemiology, serologic typing and virulence of the group of organisms, should be, therefore, done to obtain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ir role in human disease.

  • PDF

병원성 세균에 대한 탱자즙의 항균효과 (Antibacterial Activity of Poncirus trifoliata Juic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이영근;차인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54-560
    • /
    • 2001
  •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하여 탱자즙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탱자즙은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Coryne-bacterium zerosis, Listeria monocytobenes, Micrococcus luteus, Rhodococcus equi 등의 그림양성세균 6종,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 Vibrio alginolytics, Vibrio chloerae, Vibrio parahameolyticus, Vibrio vulnificus, Yersinia enterocolitica 등의 그람음성세균 7종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Bacillus subtilis, Coryne-bacterium zerosis, Listeria monocytobenes, Micrococcus luteus, Rhodococcus equi,Staphylococcus epidermidis, Citrobacter freundil및 Pseudomonas aeruginosa 등의 세균들에 대한 탱자즙의 최소억제농도는 2.5%였으며, Vibrio cholerae, Vibrio parahemoly-ticus, Vibrio vulnificus 및 Yersinia entero-colitica 등의 세균들에 대한 탱자즙의 최소 억제 농도는 1.25%이었다. 또한 최고 121$^{\circ}C$에서 15분간 각각 열처리한 탱자즙의 항균성은 열처리하지 않은 탱자즙의 항균성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어 열에 대하여 매우 안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