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terinary Science

검색결과 7,096건 처리시간 0.033초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지방간 마우스에서 기장 첨가식이가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g Millet Supplementation on Hepatic 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in Mice Fed a High-fat Diet)

  • 박미영;장환희;이진영;이영민;김재현;박재학;박동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01-509
    • /
    • 2012
  •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인슐린저항성을 근간으로 하는 대사증후군의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최근 그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진은 기장 열수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 고지방식에 의해 인위적으로 지방간을 유도한 마우스에게 섭취시킨 후 혈청 내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를 통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식이섭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간조직 무게가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간조직 내 지방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의 경우 고지방식 대조군에 비해 혈청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고(p<0.05), HDL과 HDL-/총 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p<0.05) 혈액의 지질 조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HOMA-IR 및 포도당 내성 검사 결과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군의 경우 이들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고지방식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및 당흡수 부전을 기장 열수추출물이 완화시켰다(p<0.05). 한편 간조직에서 지방산 대사와 관련된 인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결과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L-FABP와 SCD1은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지방산 산화와 관련된 $PPAR{\alpha}$는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혈청 및 조직의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 식이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유 혹은 예방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초기 임신우의 공란우 활용이 초음파 유도 난자 채취 및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arly Pregnant Heifer as Donor on the Ovum Pick-Up Derived Oocyte Aspiration and Embryo Production)

  • 진종인;권태현;최병현;김성수;조현태;방재일;김삼철;조규완;이정규;공일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전적 가치가 높은 가축을 OPU 기술을 이용하여 단기간에 반복적이고 연속적으로 생체 내 난포란을 채란하여 수정란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연구한 것으로써, 수정란의 안정적인 생산 및 이식으로 가축 개량의 세대 간격을 단축하기 위해 우수한 유전력을 가진 염선된 개체의 임신 초기 3개월 동안에 반복적인 수정란 생산 가능 여부를 조사하였다. 1. 비임신우 및 임신 초기우에 2회/주 채란으로 비인신우에서는 68회 채란으로 생성된 난포수는 721개($10.6{\pm}3.9$)의 난포를 흡입하여 364개($5.4{\pm}3.4$)의 난자를 회수하여 50.5%의 회수율을 보였으나, 임신 초기우에서는 34회 채란으로 441개($13.0{\pm}4.3$) 생성된 난포를 흡입하여 그중 261개($7.7{\pm}3.6$)의 난자가 회수되어 회수율이 59.2%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초기임신우와 비임신우간의 회수된 난자의 등급은 비임신우 및 임신우에서 평균 $5.4{\pm}3.4$개 및 $7.7{\pm}3.6$개 회수된 난자에서 Grade II(평균 $2.1{\pm}2.1$개 및 $2.4{\pm}2.2$개)와 Grade IV(평균 $0.8{\pm}1.3$$1.2{\pm}1.5$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Grade I(평균 $1.6{\pm}1.2$$2.4{\pm}1.3$개)과 Grade III(평균 $0.9{\pm}1.4$$1.6{\pm}1.9$개)은 유의차가 있었으며, Grade I, II 등급 출현율는 각각 $3.7{\pm}2.7$개 및 $4.9{\pm}2.6$개로 채취한 임선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 임신 초기우 및 비임신우로부터 채취한 난포란을 각 개체별 체외성숙 및 체외수정 후 배반포의 발생률은 수정 및 분할률에서 평균 $3.3{\pm}2.4$개, 임신우에서는 평균 $4.8{\pm}2.3$개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이식가능한 배반포 발달은 93개 및 58개, 발달률은 25.5% 및 22.2%로 임신우에서 낮았으며, 또한 채란회수당 평균 배반포 발달에서는 $1.4{\pm}1.1$개 및 $1.7{\pm}0.9$개로 임신우의 평균 수가 많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이상의 본 연구의 결과에서 가축의 임신 초기 개체에서도 1주일에 2회 반복적으로 OPU를 실시한 후 체외성숙 및 체외 배양을 통해 반복적으로 이식 가능한 수정란을 생산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가축의 초기 임신우로부터 채란이 가능하므로 개체의 임신에 대한 불안삼을 해소할 수 있으며, 유전적으로 아주 우수한 고능력우를 임신 기간 중에도 공란우로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수정란의 생산이 가능하므로 그 이용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Bulnesia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의 혈당 및 혈장 지질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lnesia sarmienti Ethanol Extract on Plasma Levels of Glucose and Lipid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박창호;김대익;신은지;이기동;김정옥;김길수;홍주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55-459
    • /
    • 2008
  • STZ 투여로 제 1형 당뇨를 유발시킨 다음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을 8주간 급여 후 혈당 및 혈중지질 변화를 알아보았다. 시험기간 동안 당뇨대조군 및 당뇨실험군의 체중증가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 급여가 당뇨실험군에서의 체중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분섭취량, 사료섭취량, 혈당 모두 정상군과 비교하여 당뇨대조군 및 당뇨실험군에서 8주 동안 유의적으로 높게 지속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과 비교할 때 당뇨대조군에서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유의적인 감소현상과 함께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 하였다. 특히,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인한 혈중 총 콜레스테롤 변화는 BE0 29.1%, BE1 26.1%, BE2 23.6%로 평균 26.2%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중 중성지방 변화는 BE0 55.6%, BE1 64.1%, BE2 68.4%로 평균 62.7%의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 투여의 농도 의존적 감소현상은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혈중지질 개선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는 제 1형 당뇨모델에서 8주 동안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하면서 혈당조절 효과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혈중지질 성분인 triglycerides, 총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 투여가 고혈당을 중심으로한 지질대사 이상과 함께 많은 합병증 유발이 문제시 되고 있는 당뇨병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prague-Dawley Rats을 이용한 결명자 물 추출물의 26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및 4주 회복시험 (A 26-Week Repeated Oral Dose Toxicity Test and a 4-Week Recovery Test of Cassia tora L. Water Extract in Sprague-Dawley Rats)

  • 노종현;이무진;정호경;장지훈;심미옥;장민철;용주현;서형식;안병관;김종춘;조현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7-169
    • /
    • 2018
  • Background: Cassia tora L., an annual or perennial plant of the Fabaceae family, is traditional medicine with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constipation and, anti-inflammation. Chemical compounds such as anthraquinone glycoside and naphthalene derivatives have been isolated from this plant. Cassia tora L. is a common contaminant of agricultural commodities, but is toxic to cattle and poultry. Methods and Result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toxicity, Cassia tora L. aqueous extract (CO) was administered orally to rats for 26 weeks at 0 (control), 300, 1,500 and 3,000 mg/kg/day (n = 10 for male rats for each dose). The positive control comprised animals orally administered anthraquinone 100 mg/kg/day. There was no treatment-related mortality. An increase in the kidney weight was observed at 3,000 mg/kg/day of CO and anthraquinone 100 mg/kg/day. Macrophage infiltration in the colon was observed at CO 1,500 and 3,000 mg/kg/day and anthraquinone 100 mg/kg/da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toxicological changes in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the finding. Conclusions: The oral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NOAEL) of CO was 3,000 mg/kg/day in male rats and no target organ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300 mg/kg was found to be the no-observed-effect level (NOEL) for systemic toxicity under the conditions of the study.

Characteristics of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and their effects on the silage quality

  • Wang, Siran;Yuan, Xianjun;Dong, Zhihao;Li, Junfeng;Guo, Gang;Bai, Yunfeng;Zhang, Junyu;Shao, Ta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6호
    • /
    • pp.819-827
    • /
    • 2017
  • Objective: Four lactic acid bacteria (LAB) strains isolated from common vetch, tall fescue and perennial ryegrass on the Tibetan Plateau were characterized, and their effects on the fermentation quali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silage were studied. Methods: The four isolated strains and one commercial inoculant (G, Lactobacillus plantarum MTD-1) were evaluated using the acid production ability test, morphological observation, Gram staining,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acid tolerance tests. The five LAB strains were added to Italian ryegrass for ensiling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10^{\circ}C$, $15^{\circ}C$, and $25^{\circ}C$). Results: All isolated strains (LCG3, LTG7, I5, and LI3) could grow at $5^{\circ}C$ to $20^{\circ}C$, pH 3.0 to 8.0 and NaCl (3.0%, 6.5%). Strains LCG3, LTG7, I5, and LI3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acidilactici, Lactobacillus paraplantarum, and Lactobacillus casei by sequencing 16S rDNA, respectively. All LAB inoculant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lactic acid (LA) contents and ratios of lactic acid to acetic acid, and reduced pH and ammonia nitrogen/total nitrogen (AN/TN) compared with uninoculated silages at various temperatures ($10^{\circ}C$, $15^{\circ}C$, and $25^{\circ}C$). Compared to the commercial inoculant G, I5, and LI3 showed similar effects on improving the silage quality of Italian ryegrass at $10^{\circ}C$ and $15^{\circ}C$, indicated by similar pH, LA content and AN/TN. Conclusion: All inoculants could improve the silage fermentation quality at various temperatures ($10^{\circ}C$, $15^{\circ}C$, and $25^{\circ}C$). At the temperature of $10^{\circ}C$ and $15^{\circ}C$, strain I5 and LI3 had similar effects with the commercial inoculant G on improving the silage quality of Italian ryegrass.

신생흰쥐의 Streptozotocin 당뇨 유발에서 Bulnesia sarmienti 열수추출물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lnesia sarmienti Water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Neonatally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박창호;이기동;김정옥;김길수;이원영;홍주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99-1004
    • /
    • 2008
  • 인슐린 저항성에 기인하여 발병되는 제 2형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로부터 8주간 B. sarmienti 열수추출물 급여 후 혈당 및 혈중지질 변화를 알아보았다. 시험기간 동안 음수량, 사료 섭취량, 혈당 모두 정상군과 비교하여 당뇨실험군에서 8주동안 유의적으로 높게 지속되었다. 따라서 제 2형 당뇨모델에서 B. sarmienti 열수추출물의 혈당개선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과 비교할 때 당뇨대조군에서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B. sarmienti 열수추출물 급여로 유의적인 감소현상과 함께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하였다. 특히 B. sarmienti 열수추출물 급여에 따른 혈중 총콜레스테롤 변화는 BW1 34.3%, BW2 43.8%로 평균 39.0%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중 중성지방 변화는 BW1 48.5%, BW2 47.2%로 평균 47.9%의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B. sarmienti 열수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혈중 지질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 2형 당뇨모델에서 8주 동안 B. sarmienti 열수 추출물을 투여하면서 당뇨병의 주요증세인 다갈(polydipsia), 다뇨(polyuria), 다식(polyphagia), 고형당의 혈당조절 효과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고혈당을 중심으로 지질대사 이상과 함께 합병증 유발이 문제시 되고 있는 당뇨환자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에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면이 균형조절과 시각적 자극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leep on Balance Control and Reaction Time to Visual Stimuli)

  • 박수경;박정아;박강희;김주헌;홍용근
    • 수면정신생리
    • /
    • 제23권2호
    • /
    • pp.68-76
    • /
    • 2016
  • 목 적 : 수면은 신체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인체의 필수적인 생리작용으로, 수면의 질 저하는 전반적인 건강문제를 야기 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면과 균형조절능력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기 위하여, 수면이 균형조절과 시각적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서면 동의한 건강한 20대 남녀 58명을 대상으로 PSQI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을 평가한 다음, PSQI 점수에 따라 대상자를 A군(PSQI <5)과 B군($PSQI{\geq}5$)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대상자들의 체성분과 신체특성, 균형조절, 시각적 반응시간 및 오류횟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결 과 : 수면의 질이 양호한 A군에 비해 수면의 질이 낮은 B군에서 아침기상 시 졸린 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이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두 실험군의 신체조성을 비교한 결과, 수면의 질이 낮은 여자 대상자들의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수면상태에 따른 균형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각적 반응시간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확인되었다. 특히 수면의 질이 낮은 B군에서 반응시간은 선형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오차횟수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수면의 질 저하는 반응속도를 지연시키고, 반응의 정확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선택적 주의력의 저하는 균형조절에 영향을 끼칠 수 있고, 이로 인해 예상하지 못한 순간에 낙상 등의 손상을 입을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생쥐 정소내 Zonular Occludens-1 발현 (Expression of Zonular Occludens-1 in Mouse Testis)

  • Gye, Myung-Chan;Lee, Yang-Han;Kim, Chang-gyem;Kim, Moon-Kyoo;Lee, Ha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37-43
    • /
    • 2000
  • 생쥐 정소에서 밀착결합단백질의 일종인 zonular occludens-1 (ZO-1)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RT-PCR결과 ZO-1의 2가지 isoform인 ZO-1$\alpha$+, ZO-1$\alph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생쥐 신생 및 성체의 정소에서 분자량 225 및 2001 KDa의 2종의 ZO-1의 단백질항원의 발현을 확인되어 RT-PCR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ZO-l$\alpha$+에 대한 ZO-l$\alpha$-의 상대적 발현량은 성숙에 따라 증가하였다. 2종의 ZO-1항원을 동시에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한 면역염색을 통해 세정관 외곽의 Sertoli세포 사이의 접촉부위 및 Sertoli 세포와 생식세포 접촉부위에서 ZO-1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ZO-1은 세정관내 세포들 사이의 결합부위 및 세포질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지만 성숙에 따라 Sertoli 세포의 결합부위에서 강한 신호가 검출되었다. 2종의 ZO-1 항원의 상대적 발현량의 변화 및 세정관 외곽의 분포의 강화는 기능적 혈액정소장벽의 출현 및 정자형성의 진행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MDA투여에 의한 transcription factor (Egr-1, C-Jun, JunB, FosB)의 발현 변화 양상 (NMDA (n-methyl-d-aspartate) Change Expression Level of Transcription Factors (Egr-1, c-jun, Junb, Fosb) mRNA in the Cerebellum Tissue of Balb/c Mouse)

  • 하종수;김재화;송재찬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43-1050
    • /
    • 2015
  • 신경과흥분은 신경세포의 수지돌기 말단부에 있는 흥분성 수용체에 대한 과도한 자극에 의해서 신경세포가 손상을 받는 현상으로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유도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자극, 학습, 발작, 흥분, 신경변성, 저산소성 국소빈혈, 뇌신경손상, 신경절제, 약제내성 등의 원인이 된다. 신경과흥분은 정상농도 이상의 NMDA에 의해서도 유발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mouse의 복강으로 과량의 NMDA를 투여하여 소뇌에서 RT-PCR 방법으로 Inducible transcription factors (Egr-1, c-jun, JunB, FosB) mRNAs의 상대적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NMDA를 투여한 군에서 inducible transcription factors (Egr-1, C-Jun, JunB, FosB)가 투여량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양한 발현의 변화를 보였으며, NMDA투여 후 일정한 시간에서 투여한 양에 대한 변화는 체중 g 당 5 μg의 NMDA투여한 경우에 현저한 변화가 나타났다. 조사한 transcription factor 중에서 JunB의 발현 변화가 다른 transcription factor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NMDA 투여량이 일정할 때 투여 후 경과 시간에 따른 발현양상은 투여 후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발현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대부분 이 48시간 경과 후 발현이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흥분이 유도된 소뇌에서의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2D-gel 또는 microarray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내의 전체 단백질 혹은 유전자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NMDA 수용체의 과흥분에 의한 뇌세포의 사멸에 관련된 기전을 밝힐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돼지호흡기복합증후군(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PRDC)에 대한 발생상황의 분석 및 cytokine의 변화 (Prevalence and Expression Pattern of Cytokines in 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PRDC))

  • 이경현;송재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118-1124
    • /
    • 2014
  • 국내에서 발생하는 돼지호흡기복합증후군(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PRDC)의 발생 상황 및 원인체의 검출 방법의 비교와 PRDC에서 cytokine의 발현변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481건의 시료에 대해 PRDC 발생상황을 조사하였다. 총 481건 중 단독감염은 113건(23.5%), 2종 이상의 원인체에 의한 발병이 348(72.3%)건으로 나타났다. PRDC 발생상황을 주령별로 분석한 결과, 총 348건에서 3주령에서 10주령미만의 돼지에서 258건(74.1%)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PRDC의 주 원인체로 알려진 PRRSV, PCV2, SIV에 대한 감별진단을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법(IHC)과 PCR에 의한 검출을 원인체 검출을 비교한 결과, 결과 PCR 방법이 IHC보다 원인균인 PRRSV, PCV-2의 검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PRDC를 유발하는 원인체에 대해서는 임상적으로는 PCV-2는 감염되더라도 병리소견을 발현하지 않는 예가 있어 임상증상을 나타내는 PRDC의 주요 원인체는 PRRSV로 확인되었다. PRDC로 진단된 시료 중 2종 및 3종의 혼합감염군을 대상으로 폐와 림프절에서 cytokine의 발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IL-6을 제외한 조사된 모든 cytokine들이 2종 및 3종 복합 감염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