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ssel Traffic Management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8초

관제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개념 설계 (Conceptual Design of the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for VTS Operator)

  • 김선영;오재용;김혜진;손남선;이문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4-145
    • /
    • 2010
  • IMO에서 개발 중인 e-Navigation 전략 이행 계획에는 VTM(Vessel Traffic Management)을 핵심 요소들 중 하나로 포함시키고 있다. E-Navigation이 지향하는 VTM은 현재 VTS보다 다양하고 정확한 항행 정보를 선박에 제공하고 적극적 관제를 통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해상교통 흐름을 유지시키는 개념을 갖고 있다. IMO에서 계획하고 있는 VTM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VTS 운용 요원인 관제사들의 역할 및 능력이 VTM의 성공 여부를 좌우한다. 따라서, VTM의 구현을 위해서는 VTM에 있어서 관제사들의 역할과 관제사들의 VTM 수행을 위한 자질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훈련 방안이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e-Navigation 환경 하에서 VTS 관제사가 안전하고 효율적인 VTM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제사를 지원하는 관제사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에 대한 개념 설계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관제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개념, 주요 기능, 구성 요소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요소 기술들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

Data Fusion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선박 내 효율적 데이터 전송 방안 (Efficient Data Transmission Scheme with Data Fusion inside a Smart Vessel)

  • 김연근;이성로;정민아;김범무;민상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11호
    • /
    • pp.1146-1150
    • /
    • 2014
  • 최근 스마트선박 기술 관련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선박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가 sensor node들에 의해 수집되면서 전송횟수의 증가로 인해 network의 과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선박 내부의 sensor node에 대한 data 전송횟수에 대한 빈도수를 줄이기 위해 data fusion를 이용하여 data를 가공 처리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스마트선박 내부에서 수집되는 data는 의미 있는 data 가공하여 센터로 전송되어 network의 부하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data를 전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I와 AR기반의 스마트 해상교통안전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rt Maritime Traffic Safe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AI & AR)

  • 김원욱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42-648
    • /
    • 2019
  • 선박은 충돌방지를 위해 해상충돌예방규칙에 의해 운항한다. 하지만 다수의 선박이 동시에 운항하는 특수상황 시에는 해상충돌예방규칙을 적용하기 곤란하며 이때는 운항자의 개인능력에 의한다. 이러한 경우 해상교통관제를 통한 교통상황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VTS(Vessel Traffic Services)를 통해 해상교통이 관리되고 있으며 운용 방법은 관제요원이 VTS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험상황을 판단하고 통신시설을 이용하여 선박들에게 안전운항을 권고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방법에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법을 추가하여 운항자의 관점에서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또한, 관제 효율성 증대를 위해 AR(Augmented Reality)기법을 추가한 해상교통안전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시스템은 위험상황 및 위험 우선순위 예측이 정량적으로 가능하여 복잡한 교통상황시 실제 운항자가 충돌회피하는 방법과 동일한 순차적 위험상황 해소가 가능하다. 특히, 위험상황을 관제요원의 관점뿐만 아니라 각 선박의 운항자의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어 기존의 방법보다 실제적이다. 또한, 분석결과를 통해 정량적인 위험수역 파악이 가능하여 충돌회피를 위한 권고항로 지원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이 시스템은 해상교통상황이 복잡한 해역에서의 선박간 충돌방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해양분야 제4차 산업혁명에 주요한 분야를 차지하는 자율운항선박에 충돌방지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수광양항 해상교통량의 장기변동 및 통항 특성 (Analysis of Long-Term Variation in Marine Traffic Volume and Characteristics of Ship Traffic Routes in Yeosu Gwangyang Port)

  • 김대진;신형호;장덕종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1-38
    • /
    • 2020
  • 지난 22년 동안의 선박 통항자료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동안 매년 72시간씩 실시간 선박 통항량 조사를 통해 여수광양항의 해상교통량의 장기변동과 출입항로에 대한 통항특성을 분석하였다. 2017년도 기준으로, 여수광양항의 선박 통항척수는 약 66,000척이며, 선복량은 약 804,564천톤으로 1996년도 189,906천톤에 비해 400 % 이상 증가하였고 위험화물 물동량은 140,000천톤으로 1996년에 비해 250 %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선박 통항량 조사결과, 1일 평균 통항 선박은 357척이며 통항로 이용율은 낙포해역이 28.1 %, 특정해역이 43.8 %, 연안통항로와 돌산연안 및 금오도 수역이 6.8 %로 동일하였다. 다수의 항로가 만나는 낙포해역은 선박간의 병항 및 교차항행이 가장 빈번했으며, 특정해역도 주변의 연안통항로에서 소형 작업선들이 다수 진출입하여 대형 선박과 교차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화물선박의 묘박지 투묘 대기율은 약 24 % 정도였으며, 케미컬선, 유조선 등의 위험화물 선박의 야간 통항율은 약 20 %에 달하였다. 여수광양항의 선박 통항량은 매년 증가하지만 선박 통항로는 과거와 큰 차이가 없기에 사고의 위험이 상존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항로가 중첩되어 통항 선박간의 사고 위험이 높은 제1항로 ~ 제4항로의 준설 및 항로 확장, 항로 부근 암초 제거, 항로표지 보강 등 항로 여건을 우선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위험성이 높은 항만의 진출입 시간과 위험화물 선박의 통항시간을 일부 제한할 수 있도록 항행규칙을 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연안통항로를 이용하는 소형 선박들의 통항관리를 적극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VTS체계의 고도화가 요구된다.

해양교통시설 운영관리 시스템 구축 및 합리화 방안 (Development and Rationalization of Maritime Traffic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 전민수;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87-595
    • /
    • 2013
  • 항만건설 및 운영에서 해양교통시설의 설치와 운영은 해상충돌방지 및 안전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그리고, 해상교통시설의 설치 및 운영은 IMO SOLAS 5장 제13조에 의하여 당국의 의무사항으로 규정되어 있다. 해양교통시설은 과거의 시각적(광학, 형상) 시설에서 AIS, DGPS 및 기타 전파표지 등을 활용한 e-Navigation의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양교통시설의 자동화 흐름에도 불구하고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한 광파표지 및 형상표지의 역할은 여전히 절대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표지의 운영관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해양교통시설 서비스수준의 결정방법으로 해상교통관련 전체 시설을 하나의 관리시스템으로 조합하고 더욱 효율적인 시스템 관리방안으로서 항로표지 운영율을 제안하였다. 해외의 서비스 수준에 대한 비교와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고, 제안된 서비스수준을 인천해역에 실제 적용하여 항로의 안전성을 평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외상 후 대퇴-오금 혈관손상의 치료: 수술 성적 (Management of Femoropopliteal Vascular Injuries after Trauma: Surgical Outcomes)

  • 장성욱;한선;류경민;류재욱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8권1호
    • /
    • pp.15-20
    • /
    • 2015
  • Purpose: Vascular injuries caused by traffic, industrial accidents and by outside activities have increased in Korea. Especially, vascular injuries to the extremities can lead to limb loss and even mortality if they are not appropriately treated.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gical outcomes of femoropopliteal vascular management after traum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2 patients with femoropopliteal vascular injuries who were treated at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2011 to 2013 were reviewed. Iatrogenic vascular injuries were excluded. The clinical data including the causes of injury, associated injuries and surgical outcome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All patients were male, with a mean age of $46.8{\pm}16.3years$ (range: 26~69 years). The causes of vascular injuries were four traffic accidents, three industrial accidents, two iron plates, one outside activity, one glass injury and one knife injury. The average transit time between the place of the accident place and the emergency department was $3.0{\pm}2.1$ (0.5~12.5) hours, and the average preparation time for surgery was $8.0{\pm}6.7$ (1.7~23.3) hours. The anatomic injuries included the popliteal vessel in seven cases and the femoral vessel in five cases. The average Injury Severity Score (ISS) was $12.0{\pm}5.0$ (5~17), and the average Mangled Extremity Severity Score (MESS) was $5.7{\pm}2.1$ (2~9). The operation methods were four interposition grafts, three end-to-end anastomoses, two direct repairs and three patch angioplasties. One case required amputation of the injured extremity. Conclusion: Early recognition and revascularization of the injured vessel are mandatory to reduce limb loss and to obtain satisfactory outcomes. Therefore, careful/rapid evaluation of the vascular injuries and timely/successful surgical treatment are the keys to salvaging an injured limb.

  • PDF

항해수로 능력산정 모형 검토 (Navigational Channel Capacity Models)

  • 임진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15
    • /
    • 1990
  • As a result of the lack of methodology for the determination of navigational channel capacity and the consequence lack of effective management of traffic, navigational channels are often grossly underutilized or highly congested. The traditional rule of first-come-first-served admission of vessels to channels is not efficient as it assumes equal time intervals between entrance of consecutive vessels. A new vessel traffic management system is developed in this research and methodologies to measure the improvement in the channel capacity are developed. Methodology to measure the channel performances for three queue disciplines are developed. The effects of changes in major factors on the channel capacity model such as channel length, fleet mix and arrival rate, as well as changes in strategy are analyzed. Under given channel conditions, best strategy are recommended. Also, a method for effective stochastic channel capacity simulation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analysis and as ertions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simulation runs to prove their applicability.

  • PDF

한국연안의 해상교통류분석(I) (Macroscopic Analysis of Traffic Flow in the Korean Coastal Waterway)

  • 이철영;문성혁;최종화;박양기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1-55
    • /
    • 1986
  • Generally, the development of shipping is characterized by the amount of traffic flow (traffic volume) and seaborne cargo in the sea. Movement of ships is an essential element of constructing the traffic flow which is represented the dynamic movement of ships in the sea, but on the other band the numbers of arriving and departing the port is the basic factor consisting of the static movement of ships. The amount of cargoes by coastal vessels and ocean trade vessels have increased tremendously with the great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these days. This increase of the seaborne cargoes has made the Korean coastal traffic flow so congested that this can be a cause of large pollution as well as great marine casualities such as a loss of human lives and properties . And also the future coastal traffic is expected to increase considerably according to our economic development and high dependence upon foreign trade. Under the circumstance, to devise the safety of coastal traffic flow and to take a proper step of a efficient navigation, there is a necessity for analyzing and surveying the coastal traffic tre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cargo movement. In order to grasp the dynamic movement of ships in the Korean coast, O/D analysis is executed. This paper aims to secur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a comprehensive plan and estimation of vessel traffic management system for the enhancement of safety, order and efficiency of vessel traffic in the Korean coast. The analyzed results of the traffic flow and seaborne cargoes of the Korean coast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congestion by the vessels occurred around the ports such as-in proportion of ship's number (proportion of tonnage) -Incheon 18.5%(14.8%), Pohang 5.9% (9.9%), Samil 5.2%(8.3%), Mokpo 8.6%(0.8%), Pusan 13.5%(36.4%), Ulsan 9.1%(16.2%). 2) It is found that the area adjacent to Incheon, Pusan, Ulsan, Channel of Hanryu and South-western area are heavily congested. 3) It is confirmed thatthe area adjacent to Incheon, Pusan, Ulsan, Channel of Hanryu and South-western area are heavily congested. 3) It is confirmed that the coastal vessels ar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coastal traffic and that there are much traffic flow among five ports as following through the precise O/D analysis of ship's coastal movement. Incheon-Samil, Ulsan, Pusan, Jeju Pusan -Samil, Ulsan, Incheon, Jeju Pohang -Samil, Inchoen, Jeju Pohang -Samil, Incheon, Jeju Ulsan -Samil, Incheon, Jeju Samil -Ulsan, Pusan, Incheon 4) The amount of cargoes to abroad are in proportion about 81% of total and the amount of coastal cargoes are about 19%. Of those, cargoes in and out to Japan are about 26% and to South-east Asia are about 27%. 5) The chief items of foreign cargoes are oil(38.33%), iron ore(13.98%), bituminoous coal(12.74%), grain(8.02%), lumber(6.45%) in the import cargoes and steel material(21.96%), cement(17.16%), oil(6.81%), fertilizer(3.80%) in the export cargoes. 6) The 80.5% of total export cargoes and 92.4% of total import cargoes are flowed in five main ports. 7) The chief items of coastal cargoes are oil (42.45%), cement(16.86%), steel material (6.49%), anthracite(6.31%), mineral product(4.3%), grain, and fertilizer. Almost 92.24% of total import and export oil cargoes in Korea is loaded and unloaded at the port of Samil & Ulsan.

  • PDF

해양안전 집행업무의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 -선박안전 관리를 중심으로- (Study on Effective Operational Plan of Maritime Safety Enforcement Task : Focus on Vessel Safety Management)

  • 윤병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1169-1178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안전을 위해 해양수산부와 KCG 등에 분산되어 있는 해양안전 집행업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사고는 세월호 사고, 서해훼리호 사고, 태안 허베이 스피리트 오염사고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인명, 재산, 해양환경 등에 막대한 피해는 물론 재난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있어 사고를 예방하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대형사고가 발생하면 단편적인 땜질식 처방만 해 왔으며, 세월호 사고 이후에도 관계자 처벌을 위한 후속조치에만 치중하고, 주요 해양선진국에서는 당연시 되고 있는 '해양안전 집행업무 일원화' 같은 근본적인 대책은 거론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이에 크고 작은 후진성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으며, 선박의 대형화·고속화·노후화, 선원의 자질저하, 선박통항량의 증가, 해양레저의 발달, 해양안전업무의 이원화로 인한 비효율성 등으로 대형 해양사고, 후진성 사고의 개연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해양안전 관련 선행연구 검토, 주요 해양선진국의 사례 및 VTS의 일원화 사례 등을 토대로 해양안전과 직결되는 내항선 안전관리·PSC·항로표지관리 등의 해양안전 집행업무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한다.

부산 북항에서 VTS 시스템에 의한 출입항 선박의 접이안 작업과정의 실시간 모니터링 (Real-time monitoring of berthing/deberthing operations process for entering/leaving vessels using VTS system in Busan northern harbor, Korea)

  • 이대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5권3호
    • /
    • pp.165-176
    • /
    • 2009
  • The process of berthing/deberthing operations for entering/leaving vessels in Busan northern harbor was analyzed and evaluated by using an integrated VTS(vessel traffic service) system installed in the ship training center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The integrated VTS system used in this study was consisted of ARPA radar,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backup(recording) system,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gyro-compass, differential GPS receiver, anemometer,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VHF(very high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etc. The network of these systems was design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utomatically and to exchange the critical information about the course, speed, position and intended routes of other traffic vessels in the navigational channel and Busan northern harbor. To evaluate quantitatively the overall dynamic situation such as maneuvering motions for target vessel and its tugboats while in transit to and from the berth structure inside a harbor, all traffic information in Busan northern harbor was automatically acquired, displayed, evaluated and recorde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al-time tracking information of traffic vessels acquired by using an integrated VTS system can be used as a useful reference data in evaluating and analyzing exactly the dynamic situation such as the collision between ship and berth structure, in the process of berthing/deberthing operations for entering/leaving vessels in the confined waters and harb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