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stress increment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8초

체인 보강재의 현장 인발저항력 평가 (An Evaluation of In-situ the Pullout Resistance of Chain Reinforcement)

  • 김상수;유찬;이봉직;신방웅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39-347
    • /
    • 2002
  • 보강토 옹벽에 체인을 보강재로 사용한 경우의 인발저항력 평가를 위한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는 횡방향 부재로 강봉이나 L-형 강재앵글을 고려하였으며, 체인의 길이(20m, 2.5m 그리고 3.0m), 보강재의 조합(체인단독, 체인+강봉 그리고 체인+앵글) 그리고 설치위치 등을 다르게 하여 총 80개소에 대해서 인발실험을 실시하였다. 체인 또는 체인+강봉의 경우, 최대 변위는 평균 150mm였으며, 인발하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체인의 극한강도에 도달하면 파단(인장파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체인에 L-형 앵글을 조합한 경우에는 최대변위가 평균 100mm정도로서 변위 억제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서 측정된 항복 인발하중값을 이론값과 비교했을 때는 보강 방법 또는 연직응력에 따라서 현장 측정값이 이론값 보다 약 1.2~3배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인의 길이, 연직하중의 크기, 횡방향 부재의 조합에 따라서 항복 인발하중의 크기는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강봉과 L-형 앵글사이에 차이는 현저하지 않았다. 체인을 보강재로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이론식을 적용한 설계나 시공은 안전측으로 나타났으나, 체인의 인발 저항력이 너무 과소 평가되어 있다고 판단되었다.

기초판 보강형 PC 암거의 시공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PC-Culvert Construction with Foundation Plate)

  • 유준;최창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3-19
    • /
    • 2011
  • PC 암거는 터파기, 하부지반 처리, 암거 거치, 상호접합면에 누수방지용 패킹재 부착, PS 강선의 긴장을 통한 상호박스 접합, 되메우기 등의 일련의 과정으로 시공되어진다. 이 때 부적절한 하부지반 처리는 박스간 상호 부등침하를 야기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지하수의 와류 및 내부유수의 누수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부지반이 연약한 경우 PC 암거 접합부의 부등침하를 저감하기 위하여 개발된 PC 기초판과 일체화된 암거의 거동을 현장 시험시공을 통해 분석하였다. 암거의 거동은 접합부에서 암거간의 벌어짐, 하부지반에 작용하는 토압 증가량, 암거 상부의 침하량 계측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분석결과로부터 PC 기초판과 일체화된 암거가 일반적인 시공방법인 PS 강선의 인장으로 체결된 암거에 비하여 침하 및 접합부에서 벌어짐이 적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havior of F shape non-persistent joint under experimental and numerical uniaxial compression test

  • Sarfarazi, Vahab;Asgari, Kaveh;Zarei, Meisam;Ghalam, Erfan Zarrin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13권 2호
    • /
    • pp.199-213
    • /
    • 2022
  • Experimental and discrete element approaches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 shape non-persistent joints on the failure behaviour of concrete under uniaxial compressive test. concrete specimens with dimensions of 200 cm×200 cm×50 cm were provided. Within the specimen, F shape non-persistent joint consisting three joints were provided. The large joint length was 6 cm, and the length of two small joints were 2 cm. Vertical distance between two small joints change from 1.5 cm to 4.5 cm with increment of 1.5 cm. In constant joint lengths, the angle of large joint change from 0° to 90° with increments of 30°. Totally 12 different models were tested under compression test. The axial load rate on the model was 0.05 mm/min. Concurrent with experimental tests, numerical simulation (Particle flow code in two dimension) were performed on the models containing F shape non-persistent joint. Distance between small joints and joint angles were similar to experimental on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ilure process was mostly governed by both of the Distance between small joints and joint angles. The axial loading rate on the model was 0.05 mm/min.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samples were related to the fracture pattern and failure mechanism of the discontinuities. Furthermore, it was shown that the compressive behaviour of discontinuities is related to the number of the induced tensile cracks which ar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joint angle. In the first, there were only a few acoustic emission (AE) hits in the initial stage of loading, and then AE hits rapidly grow before the applied stress reached its peak. Furthermore, a large number of AE hits accompanied every stress drop. Finally, the failure pattern and failure strength are similar in both approaches i.e., the experimental testing and the numerical simulation approaches.

직접전단실험 시 구속조건에 따른 모래의 전단거동 평가 (Evaluation of Shear Behavior on Sands According to Confinement Condition in Direct Shear Test)

  • 변용훈;김영호;송명준;이종섭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5-13
    • /
    • 2013
  • 사질토 지반에 근입된 말뚝의 주변부에서는 말뚝의 수직하중에 의한 전단변형 시, 반경방향으로의 변위가 구속된다. 이러한 연직변위 구속상태에서의 전단강도는 기존의 직접전단실험으로는 모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접전단동안 연직변위를 허용하는 연직변위 허용조건(Free Normal Displacement: FND)의 직접전단실험과 연직변위를 허용하지 않는 연직변위 구속조건(Constrained Normal Displacement: CND)의 직접전단실험을 통하여 연직변위 구속여부가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하는 것이다. 직접전단실험은 균등한 입도분포를 갖는 주문진 표준사를 사용하여, 연직변위의 구속여부에 따라 다양한 상대밀도와 초기응력조건 상태에서 수행되었다. 실험결과, CND 직접전단실험에서 얻은 전단강도는 FND 직접전단실험에서 얻은 전단강도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상대밀도가 클수록 연직변위의 구속효과로 인한 전단강도의 증분이 더욱 늘어남을 보여주었다. 반면, 초기 연직응력의 증가는 구속효과로 인한 전단강도 증분의 감소로 나타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계부가 구속된 사질토지반의 안정성 평가 시, 전단강도에 대한 연직변위의 구속효과를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기초의 강성과 상재하중이 보강토 옹벽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undation Stiffness and Surface Loading on the Behavior of Soil-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s)

  • 유충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13-2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기초지반의 강성과 상재하중이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기초지반의 강성과 상재하중의 위치를 변화시키며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해석결과에서는 벽체의 변위와 보강재의 유발인장력은 기초지반의 강성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해석결과에 따르면 현재 설계기준에서 적용되고 있는 상재하중 처리 방법은 경우에 따라서 상재하중의 영향을 지나치게 과대평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재하중이 보강영역에 근접하여 작용할 경우 외적안정성 검토시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가 실무적 측면에서 의미하는 바를 심도 있게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