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skeletal pattern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7초

골격성 3급 부정교합자시 악교정 수술후 골격이동량에 따른 설골의 위치와 상기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 of position of hyoidbone and upper airway dimensional change according to chin movement in persons with skeletal class III facial pattern after orthognathic surgery)

  • 조세종;김여갑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3호
    • /
    • pp.343-350
    • /
    • 2000
  • The goal of this study is the comparison of upper airway size and change of skeletal Class I group and skeletal Class III group (before operation, within 2 weeks after operation, 6 months after operation) respectively. At first, we measured the lines between selected upper air way landmarks on lateral cephalometric x-ray film of skeletal Class I 40 persons whoes age were 23-26 years old, ,and did the same lines of landmarks of skeletal Class III 44 persons who had not been operated yet, were within 2 weeks after operation, were 6 months after operation. And we compared it respectively and analyzed it with paired t-test. We studied the relationship of those on produced data. 1. Skeletal Class III group was narrower in nasopharyngeal air way space than that of skeletal Class I group, and increased in thickness of oropharyngeal, hypopharyngeal wall within 2 weeks after operation, and reduced in nasopharyngeal, oropharyngeal air way space, and did in thickness of nasopharngeal, hypopharyngeal wall 6 months after operation. 2. Skeletal Class III group reduced in nasopharyngeal, oropharyngeal air way space, and increased in thickness of nasopharyngeal, oropharyngeal, hypopharyngeal wall within 2 weeks after operation, restored the thickness of nasopharyngeal, oropharyngeal wall, but did not restored nasopharyngeal, oropharyngeal, hypopharyngeal air way space. 3. Vertical length from hyoid bone to mandibular plane did not have signifacant difference from Class I group but after operation, it increased more than Class I group significantly. 4. The size of airway reduced after operation. Among this, oropharyngeal airway most reduced.

  • PDF

정상골격군에서의 연령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 두께의 차이 (Differences in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bone thickness according to age in a normal skeletal group)

  • 최해리윤;박원;전종국;김연환;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0-230
    • /
    • 2007
  • 골격성 I급이면서 수직적으로 정상인 환자 160명(남자 80명, 여자 80명)의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대상으로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협설측 두께를 치축을 기준으로 계측하여 연령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하악전치부 치조골의 협설측 두께와 하악 전치부 설측 치조골의 두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여자의 CEJ 하방 2 mm 부위를 제외하고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하악 전치부 협측 치조골의 두께와 하악 이부 최대 풍융부의 두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한국인에 있어서 수평적으로 I급의 골격형태이면서 수직적으로 정상인 환자에서는 성인보다는 성장기환자에서 하악 전치의 설측 치조골의 두께가 더 두꺼워 발치치료에서와 같은 하악 전치의 설측이동이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성인 환자에서 구치부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치료와 유지 (Non-surgical treatment and retention of open bite in adult patients with orthodontic mini-implants)

  • 문철현;이주신;이현선;최진휴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02-419
    • /
    • 2009
  • 성장이 종료된 치성 또는 골격성 개방교합 환자를 치료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전치부 개방교합 환자는 증가된 전안면고경, 상악 구치부의 과도한 수직성장, 큰 하악각 등의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증례에서 구치의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해소는 좋은 치료전략이다. 본 연구는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개방교합을 치료하고 성공적인 유지를 얻은 두 명의 환자에 대한 보고이다. 적절한 진단이 시행되고 교정용 미니임플란트 등의 장치를 이용한 치료기법을 적용하면 수술치료 없이 교정치료만으로 개방교합의 치료가 가능하며, 하악구치부에 posterior bite block을 추가한 가철식 유지장치 및 SFR이 개교환자를 위한 유지장치 또는 보조유지장치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수직적 안면골격형태와 교합평면과의 관계 (Interrelationships between occlusal plane angle and vertical skeletal pattern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dividuals)

  • 정우준;손우성;김용덕;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60-271
    • /
    • 2007
  • 본 연구는 악교정 수술을 필요로 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형태와 교합평면이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기로 계획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90명의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계측사진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전치부 피개량에 따라서 positive overbite (PO) group, edge to edge bite (EO) group, negative overbite (NO) group의 세 군으로 분류를 하였으며, 각 군의 골격관계와 상하악 제1소구치와 제1대구치의 교두의 접촉점을 연결한 기능교합평면과의 관계에 대한 항목을 계측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군 간의 분류와 상관없이 전치부 피개 교합의 변화에 대해서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Y axis, AFH, SN-FH, SN-Mn, FH-Mn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상악 전치부는 기능교합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하악 전치부는 FH 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각 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안면 골격 계측 항목과 상하악골에 대한 기능교합평면의 각도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상하악골의 이개 정도를 나타내는 Mx-Mn 항목이 모든 군에서 유사한 정도로 기능교합평면 각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이용하여 Mx-Mn 항목의 변화에 따라서 FH-Occ, Mx-Occ, Mn-Occ 항목이 어느 정도의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결정계수가 각각 0.714, 0.560, 0.677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기능교합평면의 형성은 상하악골의 골격적인 수직이개 정도와 깊은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안면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교합평면의 재구성 (INDIVIDUALIZED RECONSTRUCTION OF THE LOWER OCCLUSAL PLANE ACCORDING TO SKELETAL PATTERN)

  • 현성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5-485
    • /
    • 1995
  • 본 연구는 개별적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교합평면의 적절한 위치를 찾아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Vertical dimension ratio(VDR)와 Lower occlusomandibular plane angle(LOM)과의 적절한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군 234명, 부정교합군 358명, 치료군 358명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연구 분석하였다. 대조군은 연령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14세 이하인 군이 121명이고 평균 연령은 10.82세였다. 18세가 넘는 군은 113명이고 평균연령은 23.76세였다. 부정교합군은 연령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14세 이하인 군은 274명이고 평균연령은 11.36세였다. 14세에서 18세 이하인 군은 54명이고 평균 연령은 15.4세였다. 18세가 넘는 군은 30명이고 평균연령은 21.35세였다. 치료군도 연령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14세 이하인 군은 145명이고 평균연령은 12.91세였고, 14세에서 18세 이하인 군은 166명이고, 평균연령은 15.64세였다. 18세가 넘는 군은 47명이고 평균연령은 21.61 세였다. 상기 표본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였고 그 결과는 본 연구를 위해 작성된 program을 이용하여 각도, 거리, 백분율항목을 각각 $0.01^{\circl}$, 0.01mm, 0.01%까지 계측하여 486 DX.P.C에 기록되었다. 모든 계측항목에 대하여 군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관심있는 항목간의 상관계수 및 그 상관계수에 대한 유의성 검정 및 변수 간, 군간 one-way ANOVA 및 t-test를 시행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골격 형태에 따른 교합평면의 적절한 위치를 심도 있게 연구하기 위하여 대조군과 치료군 중에서 overbite 1-3mm, overjet 1-3mm, curve of Spee 1.75mm 이하를 만족시키는 표본을 선택하여 Optimal occlusion group이라 명명하였다. 이 군의 표본의 수는 187명이었고 대조군에서 83명, 치료군에서 104명이 선택되었다. 이 군을 다시 연령, 전후방적 골격 형태에 따라서 군을 세분화 시키고 각 군별로 VDR과 LOM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직적 골격 형태를 표현하는 여러 계측항목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으나 수직적 골격 형태를 표현하는 어떠한 단일 계측항목도 전치부 수직피개정도를 정확히 표현하지는 않았다. 2. 수직적 골격 형태를 표현하는 여러 계측항목중에서 LOM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항목은 VDR이었다. 3. 전체 표본에서 VDR의 수치에 관계없이 정상범위의 수직피개량을 갖고있는 표본의 분포는 80% 이상이었다. 4. Optimal occlusion group을 연령과 전후방적 골격 형태에 따라 9개 subgroup으로 나누고 각 군의 VDR과 LOM간의 상관계수 및 결정계수를 구하였는데 전 군에서 상관계수는 0.8 이상, 결정계수는 0.7 이상이었다. 5. 각 Subgroup마다 VDR에 따라 알맞은 LOM을 구하기 위한 회귀방정식을 유도하였다. 6. 진단과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교합평면 경사도의 평균치 자체는 큰 의미가 없으며 골격 형태에 적합한 개별적인 교합평면의 위치설정이 중요하다.

  • PDF

유치열기 3급 부정교합 환아에서 facemask의 효과와 재발 양상 (THE EFFECT AND RELAPSE PATTERN OF FACEMASK THERAPY FOR CLASS III MALOCCLUSION CHILDREN)

  • 김지연;유승은;이지현;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20-42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열기 3급 부정 교합 환아에서 facemask를 이용한 악정형 치료 후 골격적 변화와 치료 후 나타나는 재발 양상을 평가하는 것이다. 유치열기 3급 부정교합 환아 15명을 대상으로 구내장치로 bonded expander, 구외장치로 facemask를 이용한 악정형 치료를 평균 12 개월 동안 시행하였으며, 1년 간의 follow-up 기간 동안 유지 장치는 사용되지 않았다. 치료 시작 전, 치료 직후, 치료 1년 후에 측면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고 전후방 및 수직적 골격관계와 연조직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치료 직후, 유의할 만한 골격적 전후방 관계의 변화를 보였고 1년 간의 follow-up 기간 동안 재발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치료 시작 전과 비교하여 치료 효과는 유지되었다. 수직적 골격적 변화는 치료 직후 증가되었으나 1년 간의 follow-up 기간 동안 다시 감소하여 치료 시작 전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조직의 변화는 facial convexity 및 상순의 위치가 치료 직후 개선됨을 보였고 1년 간의 follow-up 기간 동안에도 치료 전과 비교하여 치료효과는 유지되었다. 하순의 위치는 치료 직후에 유의할 만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Facemask는 유치열기 3급 부정교합에 있어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며, 안정적인 치료 결과를 위해서는 적절한 형태의 유지장치가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유치열기 정상교합아동의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연구 (STUDY ON LATERAL CEPHALOGRAM OF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IN THE PRIMARY DENTITION)

  • 김지연;권장혁;김경호;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49-656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열기 부정교합의 진단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정상 계측치를 알아보는 것이다. 4세에서 6세 사이 유치열기 정상교합아동 32명의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사진 및 안모사진을 이용하여 악골 및 연조직의 전후방적, 수직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수평적인 골격성 계측항목 중 SNA는 $83^{\circ}$, SNB는 $78.72^{\circ}$, ANB는 $5.28^{\circ}$를 나타내어 하악골이 상악골에 비해 후방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수직적인 골격성 계측항목 중 Gonial angle은 $127^{\circ}$를 나타내어 성인에 비하여 High angle pattern을 보였다 연조직 분석에서는 성인에 비해 convex한 soft tissue profile이 관찰되었다. 치성 계측항목 중 U1 to SN은 $91.04^{\circ}$, IMPA는 $86.57^{\circ}$를 나타내어 성인에 비해 retroclination된 상하악 유중절치가 관찰되었다. 정상교합아동의 골격성 분석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하여 평균 나이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linear measurement는 전제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큰 수치를 보였다.

  • PDF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저작운동형태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Chewing Movement in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성기혁;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01-813
    • /
    • 1997
  •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저작운동형태를 비교연구하기위해서 30명의 정상교합자와 20명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츄잉검을 사용하고 BioPAK system을 이용하여 전두면상에서 저작운동을 기록, 분석하였다. 각 개체마다 대표하는 저작경로를 정하여 저작폭경, 개구거리, 개구각, 페구각, 최대개구속도, 최대폐구속도를 알아보았다. 또 저작경로의 형태에 따라 특징적인 7가지 패턴으로 분류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좀 더 다양하고 수직적인 저작양상을 나타내었다. 2. 저작폭경의 비교에서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이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더 좁게 나타났다(p<0.01) 3. 개구거리에서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이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더 작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05). 4. 개구각과 폐구각에서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정상교합자군보다 더욱 예각으로 나타났다(p<0.01). 5. 최대개구속도, 최대폐구속도에서는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느리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05). 6. 저작운동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정상교합자군에서는 Type II가 73.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Type III가 35.0%, Type II가 30.0%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7. 저작운동형 태에 따른 분류에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Type IV(chopping type)가 25.0%로 정상교합자군 3.3%에 비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계측학적 특징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정송우;홍성규;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7-325
    • /
    • 1999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분석에 있어서 삼차원적인 골격부조화의 양상이나 안면부조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계측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정상교합자 60명과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한 III급 부정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측모와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안면폭경, 고경, 각각의 비율, 측모계측치에 대응되는 정모계측치의 비율을 구하였고, 각각의 계측치와 비율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는 정상군보다 상악골길이(Cd-A)가 짧은 것보다는 하악골길이(Cd-Gn)가 긴 것에 기인하였다.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정상교합자보다 긴 안모를 가지는데, 이는 상안면고경(Cg-ANS)보다는 하안면 고경(ANS-Me), 특히 하악골 고경(Cd-Me)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폭경은 단지 여자의 상$\cdot$하악 대구치간 폭경(U6-U6, L6-L6)과, 하악폭경(Ag-Ag)만 정상교합자보다 컸을 뿐, 이외 어떤 폭경항목도 정상과 차이가 없었다. 4.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길이의 증가는 안모의 고경 특히 하안면 고경의 증가로 나타나지만, 하악골 폭경에서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악안면 두개골격의 수직${\cdot}$수평적 부조화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VERTICAL AND ANTEROPOSTERIOR DYSPLASIA OF THE CRANIOFACIAL SKELETON)

  • 배근욱;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5-188
    • /
    • 1988
  •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scribe the vortical and anteroposterior facial dysplasia, and to identify morphologic differences associated with various facial patterns. Anteroposterior dysplasia was classified by traditional Angle's malocclusion classification and according to vertic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SN-MP angle, facial pattern was subclassified to 3 vertical groups in each malocclusion group. Each vertical group composed of 20 samples and total 180 samples aged from 9 to 14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keletal differences that lead to disportionate lower facial height in vortical and anteroposterior facial dysplasia were closely related to mandibular morphology. 2. Hyperdivergent group, compared with hypodivergent group, demonstrated decrease of SNA and SNB and linguoversion of maxillary and mandibular central incisors in all malocclusion groups. 3. Irrespective of rotation of the jaws, Wits appraisal was a useful measurement in evaluation of relative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maxilla and mandible. 4. As SN-MP angle increased, anterior facial height, especially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 and intermaxillary space also tended to increase. 5.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N-MP angle and PTFH/ATFH demonstrated the highest value in all malocclusion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