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Elevation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3초

A Long-Runout Landslide Triggered by Extreme Rainfall in Gokseong, South Korea on 7 August 2020

  • Nam, Kounghoon;Wang, Fawu;Dai, Zili;Kim, Jongtae;Choo, Chang Oh;Jeong, Gyo-Cheol
    • 지질공학
    • /
    • 제32권4호
    • /
    • pp.571-583
    • /
    • 2022
  • On 7 August 2020, a large-scale catastrophic landslide was triggered by extreme rainfall at Osan village, Gokseong County, South Jeolla Province, South Korea. The initiation mechanism of the Gokseong landslide was different from those typical landslides that occurred in South Korea. Despite the relatively low elevation and slope degree, the landslide had a long runout distance of about 640 m over a total vertical distance of 90 m. A detailed field investigation and chem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ossible mechanisms for the high-speed and long-runout behavior of the landslide. The terrain controlled the motion behavior of the landslide and the seepage was observed at the whole landslide body. The clay-rich soils covered on granite bedrock of the landslide deposition area from the rice paddy field to the landslide cr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on the mechanisms for landslide initiation and propagation.

이중코어를 가진 경사진 형상 구조물의 코어 배치에 따른 역학적 거동 분석 (Analysis of the Static Behavior of Tilted Structure with Dual-Core by Core Location)

  • 김민석;이다혜;강주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71-78
    • /
    • 2023
  • Recently, Free-Form and Irregular Shape high-rise buildings are constructed by IT technology development. Tilted shaped high-rise building which is one of Irregular shape high-rise buildings can cause lateral displacement by gravity load and lateral load due to tilted elevation shap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behavior and structural aspects of the Tilted shape high-rise building by gravity load. In this paper,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tilted structure with a dual-core were analyzed with the core location as a design variable, and response behavior, vulnerable members, and vulnerable layers to earthquake load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the location of the core moved in an tilted direction, the eccentric distance and eccentric load decreased, reducing the axial force of the vertical members. However, the location of the core had little effect on the response.

nDSM 및 도로망 추출 기법을 적용한 도심지 건물 변화탐지 (Urban Building Change Detection Using nDSM and Road Extraction)

  • 장영재;오재홍;이창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7-246
    • /
    • 2020
  • 최근 고해상도 영상을 지원하는 위성들이 다양화되면서 도심지에 대한 DSM (Digital Surface Model) 생성 및 업데이트가 가능해지고 있다. 그에 따라 고해상도 DSM을 이용해 건물 단위의 변화탐지가 가능해지면서 DSM을 활용한 건물 변화탐지 기법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DSM을 활용한 건물 변화탐지를 위해서는 스테레오 위성영상을 이용한 두 시기에 대한 DSM의 생성이 필요하며, 생성된 DSM의 표고값 차이를 이용해 변화를 탐지하는 D-DSM (Differential DSM)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D-DSM을 이용하는 기법은 두 DSM 간의 수직오차가 클 경우 건물의 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최소 수직좌표의 임계치를 정밀하게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TM (Digital Terrain Model)의 높이를 기준표고로 지정하고 구조물의 높이만을 표현하는 nDSM (Normalized DSM)을 기반으로 D-nDSM (Differential nDSM)을 생성하고 모폴로지 필터링을 거쳐 변화탐지를 진행하여 표고 오차에 따른 변화탐지의 오류를 줄이고자 하였다. 또한 도로변 건물의 추출 정밀도 향상을 위해 nDSM에서 도심지의 도로망을 추출하는 방안을 제시해 D-nDSM기법에 적용하였다. 도시 변화지역을 대상으로 두 시기의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D-DSM을 이용한 변화탐지기법과 D-nDSM기법, 도로선형을 추출해 D-nDSM에 적용한 탐지방법 등을 비교하여 결과를 얻었다. 단순 D-DSM을 이용한 기법에서 수직 임계치에 따라 약 30~55%의 정확도를 얻어낼 수 있었다. 또한 D-nDSM 기법의 적용시 59%의 정확도를 얻었으며, 노이즈 필터링의 과정을 거쳐 77.9%의 정확도를 얻었다, 최종적으로 대상지의 도로 선형을 추출해 적용하여 87.2%의 전체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도시 배후 산 지형 스카이라인 경관의 조망 특성과 경관 대표성 평가 - 시점 위치에 따른 무등산 조망경관 분석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a Representative View of the Skyline; - Referring to Landscape Assessment of Mt. Mudeung from Various Viewpoints -)

  • 조동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84-96
    • /
    • 2008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skyline an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Mt. Mudeung (1,186m) from various viewpoints. Mt. Mudeung,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of Gwangju City, has been recognized as a natural landmark and theme of paintings. By analyzing the perspective from 32 points with a digital terrain model, some landscape indices of the skyline were derived and the relationships are discussed. Assessment of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ith 21 adjective variables and representativeness to 15 landscape photographs of the mountain were accomplished. 1.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the skyline indices,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m the angle from the visual axis and number of skyline jumps, the vertical angle fluctuation and number of jumps per degree, the visual depth fluctuation and vertical angle fluctuation of skyline, and between the vertical angle mean and number of jumps per degree. Meaningful 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number of jumps of skyline to number of jumps per degree and the angle from visual axis to visual distance. However, in the representative assessment no difference was found on the angle from visual axis of viewpoints. On the other hand, it seemed to relate representativeness with visual clarity based on visual distance. 2. We found 4 factors "familiarity", "fluctuation of skylines", "openness", and "feeling of texture" i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f semantic differential assessment. When considering the results of assessment for representativeness, adjective words for familiarity and openness seemed to have a close assessment. Specifically,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landscape representation was highly assessed in a view which could be seen from the higher parts to the lower part of hill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management of viewpoints which could get a scene from intermediate to distant, and locating a high elevation is important. 3. In the picturesque expression of Mt. Mudeung, various impressions from the different points, a skyline based on the top of Mt. Mudeung and a mono structure by overlapping hills were common characteristics. These common characteristics were also partially found through the analysis of topographical landscape indices and landscape images. Therefore, the viewpoints for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management should be selected in natural or open spaces.

악교정 수술을 위한 한국인 하악지의 해부학적 위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NDIBULAR ANATOMY FOR ORTHOGNATHIC SURGERY IN KOREANS)

  • 우순섭;조정연;박원희;유임학;이영수;심광섭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8권2호
    • /
    • pp.126-131
    • /
    • 2002
  • Anatomical shape of the mandibular ramus, which includes the area from the rear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to the mandibular posterior border and from the mandibular sigmoid notch to the inferior mandibular border,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to perform orthognathic surgery. The locations of the lingula and mandibular foramen in medial side of mandibular ramu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cide the location of the horizontal medial osteotomy in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nd to select the line of vertical osteotomy in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Sixty-five different Korean human dry mandibles were surveyed. All mandible have permanent dentition including complete eruption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The locations of the lingula and mandibular foramen in medial side of the ramus were identified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nterior ramal horizontal distance from lingula was $16.13{\pm}3.53mm(range:8.6{\sim}24.3mm)$, anterior ramal horizontal distance from mandibular foramen was $23.91{\pm}4.79mm(range: 14.1{\sim}39.7mm)$, horizontal width of mandibular foramen was $2.79{\pm}0.95mm(range:1.5{\sim}6.1mm)$, height of lingula was $10.51{\pm}3.84mm(range:3.1{\sim}22.4mm)$, vertical distance from sigmoid notch to lingula was $19.82{\pm}5.11mm(range:9.1{\sim}35.3mm)$. From this study, the result could be used to select the location of osteotomy lines and to decide amount of periosteal elevation to avoid injury of neurovascular bundle, and to accomplish the appropriate split in Korean patients in mandibular orthognathic surgery.

FEM에 의한 필댐의 응력해석(應力解析) (Stress Analysis of Fill Dam by FEM)

  • 강예묵;조성섭;양해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79-90
    • /
    • 1992
  • 화강토가 축조재료(築造材料)인 안동(安東)댐에 대하여 FEM에 의한 침하(沈下) 및 응력(應力)을 고찰(考察)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안동다목적(安東多目的)댐의 층별(層別) 수직침하는 FEM에 의한 값과 실측치(實測値)가 잘 일치하며, 최대침하(最大沈下)는 중앙부분(中央部分)인 표고(標高) 130m 부근에서 40cm가 발생(發生)했으며 해석치(解析値)는 42cm를 나타냈다. 2. 중심(中心)부근에서의 침하(沈下)크기도 해석결과(解析結果)와 계측치(計測値)가 대체로 일치하며, 심벽부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는 투과부(透過部), 안정부(安定部), 석괴부 순으로 나타났다. 3. 수평방향(水平方向)의 변위(變位)는 상류측(上流側)보다 하류측(下流側)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상류(上流) 가물막이와 저수위(貯水位)의 영향(影響)으로 인한 결과(結果)로서 하류측(下流側)은 최대(最大) 21cm, 상류측은 17cm 정도가 일어났다. 4. 안동(安東)댐의 응력(應力)은 강성도(剛性度) 차이에 의해서 역(逆)아아칭작용이 발생했으며 이는 여과부(濾過部)의 강성(剛性)이 심벽부(心壁部)의 강성(剛性)보다 적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5. Zone별(別) 주응력(主應力)값의 비(比)인 Load Transfer Ratio는 1.06 수준(水準)으로 역 아아칭작용이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 PDF

옥외광고물 설치를 고려한 복합상업건물 입면개선 - 창원시 일반상업지구를 중심으로 - (The Facade Improvement of Complexed Commercial Building Considering Open Signboard - Focused on Commercial district in Chnagwon -)

  • 유진상;서유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191-202
    • /
    • 2007
  • 최근 들어 옥외광고물에 대한 행정적 규제나 방침이 적용되고 있고 광고물 자체의 디자인이 향상되고 있으나 건축물 유형과 관련한 현실적인 옥외광고물의 상관성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양자간의 정량적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도심 가로변 복합상업건축물의 디자인 시 옥외광고물의 패턴과 량을 미리 고려하여 입면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매스계획 시에는 첫째, 전면공지형이 바로인접형 보다 옥외광고물 밀도를 낮추는 수단이 된다. 둘째, 전면적이 유사하면 높이차이가 있어도 광고물 수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4층 이상 건물의 가로형광고물도 허가 시 총량을 제어하는 방안이 도입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동일레벨보다 상승진입형으로 가로와 접하는 건물 옥외광고물의 밀도가 더 낮으므로 입면계획 시 이를 반영하되 가로특성별로 입면레벨 제어가 필요하다. 넷째, 스팬드럴이나 베란다 세장비를 옥외광고물 부착이 어려운 형태로 줄이고 매스 측면모서리에 돌출세로형광고물의 위치를 미리 배려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섯째, 중층부에는 세로형 돌출옥외광고물을, 중 고충부는 광고물이 작은 단위로 분산되지 않도록 큰 면적을 할애해야한다. 입면계획 시에는 첫째, 수직형보다 수평형 벽면과 횡연창이 많으므로 건물의 스팬드럴 위치와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이후 정렬된 광고물 설치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불규칙형 벽면형태가 단일주조형에 비해 오히려 광고물 총량 제어에 유리하다. 셋째, 횡연창이 광고물 총량을 가장 제어하기 힘들며, 복합창의 경우 횡연+종연창 복합형의 광고물이 격자+횡연창이나 격자+전면창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이를 입면계획에 반영해야 한다. 넷째, 전면창복합형>격자창복합형>횡연창 복합형 순으로 광고물 제어에 유리하다. 그러므로 복합상업건축물 입면계획 시 일방적인 수평요소의 반복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 모서리계획 시에는, 첫째, 2개 이상의 가로와 접하는 건물의 경우 모서리부 광고 효과가 지배적이며 대부분 곡선돌출형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모서리 저층부를 필로티로 계획하여 보행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대신 입면을 투명하게 하여 간접광고(내부전시)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특히 원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저사양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소규모 경사지역의 정사영상 및 수치표고모델 제작 (Orthophoto and DEM Generation in Small Slope Areas Using Low Specification UAV)

  • 박진환;이원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83-290
    • /
    • 2016
  • 정사영상 제작에 주로 사용되는 기존의 항공사진측량 방법은 대규모 지역에 대해서는 효과적이나 소규모 지역에서는 비경제적이며, 지형지물의 지속적인 변화관측과 짧은 주기의 제작에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 다양한 센서들이 탑재된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가 급격한 속도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인항공기는 공간정보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무인항공기는 소규모지역에 대해서 신속하게 영상 자료 취득이 가능하며 적은 비용으로 영상자료들을 수시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지역을 제외한 특정지역에 대해서만 공간정보 자료 취득이 가능함으로써 공간정보자료의 중복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도가 낮은 소규모 경사지역을 대상으로 일반용 저사양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정사영상과 수치표고모델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생성하였으며, 검사점에 의한 평면 및 수직 좌표 성분의 RMSE는 σH = ±0.12 m, σV = ±0.09 m 의 정확도를 보였다. 그 결과 1/500 축척의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도 기준 표준편차와 최대오차의 허용범위를 만족하였다. 이를 통하여 고가의 측량용 무인항공기가 아닌 일반용 저사양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소규모 경사지역의 정사영상 제작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기술처치에 의한 철봉 Tkatchev stretched 동작의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katchev stretched Motion by Technical Feedback in Horizontal Bars)

  • 백진호;손원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77-87
    • /
    • 2008
  • 본 연구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철봉종목의 국가대표 K선수를 대상으로 기술분석을 통해 고난도 기술인 Tkatrhev skekhed 동작의 완성도를 높임으로서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Tkatchev stretched 동작의 1차 분석을 통해 기술훈련방법의 피드백을 8주간 제공 한 후 반복적인 분석을 통해 기술의 완성도를 평가하였다. K선수의 1차 Tkatchev stretched 동작은 비행높이가 낮고, 비행 중 신체가 굴곡되어 있으며, 봉잡기 시 신체중심의 위치가 바로 부터 너무 멀고 낮아 낙히의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후속기술을 위한 역동성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노출되었다. 이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준비국면인 크게 휘돌기의 하강 시 견관절 각을 빠르게 신전시키고, 고관절의 각운동을 이용한 Tap 동작을 짧고 간결하게 하게 하였다. 또한 몸을 접어주는 Tap 타이밍을 조금 늦추며, 다리를 차내며 신체를 역회전시킬 때 견관절의 각운동을 크게 사용하면서 신체를 충분히 끌어 올리는 연습을 주 5회(오전/오후) 총 7시간의 연습 시간 중 20분씩 8주간(총 800분)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록 봉 이탈 순간 수직상승속도의 증가를 이루지는 못하였지만 비행높이가 증가되어 고관절을 신전시키고도 철봉에 다리가 걸리지 않으며 뛰어넘을 수 있게 되어 동작의 웅대함을 제공함으로서 감점요소를 0.2점 제거할 수 있었다.

레일리파 분산을 역산하여 구한 횡파속도를 이용한 원주시의 부지특성 (Site Characterization using Shear-Wave Velocities Inverted from Rayleigh-Wave Dispersion in Wonju, Korea)

  • 김충호;알리 아비드;김기영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7권1호
    • /
    • pp.11-20
    • /
    • 2014
  • 원주시 저고도 지역에서의 천부 횡파속도($v_s$) 및 부지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2월부터 2013년 9월 사이의 20일간 4.5 Hz 수직 지오폰 12 ~ 24개를 이용하여 원주시계 내의 78 지점에서 레일리파를 기록하였다. 레일리파 분산곡선은 확장된 공간자기상관함수법으로 구하였고, $v_s$를 구하기 위하여 감소최소자승법으로 역산하였다. 이들 1-D 모델로부터 구한 풍화암질 기반암의 깊이($D_b$), 기반암의 횡파속도($v_s^b$), 토양층의 평균 횡파속도($\bar{v}_s^s$), 30 m까지 평균 횡파속도($v_s30$)는 95% 신뢰구간에서 각각 $16.3{\pm}0.7m$, $576{\pm}8m/s$, $290{\pm}7m/s$, $418{\pm}13m/s$로 산출되었다. $v_s30$의 적절한 지시자를 결정하기 위해서 $v_s30$과 지표면 경사도(r = 0.46) 및 고도(r = 0.43)와의 상관계수를 계산하였고, 개별적으로 평가한 $v_s30$과의 상관성을 종합하여 지표면 경사도, 고도, 암상의 가중치를 각각 0.45, 0.45, 0.1으로 하는 선형 경험식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경험식과 역산으로 구한 $v_s30$의 상관성이 미약하여(r = 0.50), 적용시에는 상대적으로 큰 오차범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