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bal abuse experienc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중 언어폭력경험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Verbal Abus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during Clinical Practicum of Nursing Students)

  • 양승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1-40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중 경험하는 언어폭력, 감정반응,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4년제 간호대학 4학년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 106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언어폭력, 감정반응,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언어폭력, 감정반응,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스트레스 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언어폭력, 감정반응,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상실습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언어폭력, 감정반응과 유의한 정적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683, r=.573).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언어폭력(𝛽=.487), 감정반응(𝛽=.240)순으로 임상실습스트레스의 49%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이 임상실습중 언어폭력에 대처하고 임상실습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전략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과잉 가산자료(Zero-inflated Count Data) 분석 방법을 이용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노인학대 발생과 심각성에 미치는 위험요인 분석 (Risk Factors Influencing Probability and Severity of Elder Abus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pplying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ing of Abuse Count Data)

  • 장미희;박창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19-832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isk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bability and severity of elder abus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community-dwelling Koreans, 65 and older (N=416). Logistic regression,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d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for abuse count data were utilized to determine risk factors for elder abuse. Results: The rate of older adults who experienced any one category of abuse was 32.5%. By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the experience of verbal-psychological abuse was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and family support, while the experience of physical abuse was associated with self-esteem, perceived economic stress and family support. Family support was found to be a salient risk factor of probability of abuse in both verbal-psychological and physical abuse. Self-esteem was found to be a salient risk factor of probability and severity of abuse in physical abuse alone.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ailor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considering both types of elder abuse and target populations might be beneficial for preventative efficiency of elder abuse.

병원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감정노동, 감성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 among Experience of Verbal Abuse,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 박안나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29-4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정도를 파악하고 감정노동, 감성지능 및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S시 소재 일개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89명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17일부터 2015년 11월 2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각 병동과 외래, 특수부서들을 직접 방문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ical Packageds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18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감정노동, 감성지능, 사회적 지지 및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호사의 이직 의도는 의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간호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환자·보호자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과 감정노동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성지능과 사회적 지지와는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감정노동으로 나타났고, 근무부서에서 응급실이 내과계 병동에 비해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트휴먼 시대 청소년의 정신 건강: 비대면 대화 매체 사용과 언어폭력 관련성 연구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 the Post-Human Era: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n Face-To-Face Communication Media and Verbal Violence)

  • 이유미;오미영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3-134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verbal violence that adolescents face in the post-human age, when the non-face-to-face media is increasing.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5 adolescents, aged 14 to 16 year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5.0. Results: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type of conversation that affects verbal abuse of adolescents, a model with a conversation with family, conversation with other people, messenger conversation such as KakaoTalk, and video chat conversation was selected. The amount of explanation was 11.4%. (R2 = .114) Of these, non-face-to-face conversations have been shown to increase verbal violence, and face-to-face conversations with family have, in turn, lowered the risk. As a result of t-testing to examine the effect of verbal abuse experience on the verbal violence index, the damage experience was significant in depression (p = .042) and impulsive aggression (p = .021). (P = .000). Conclusion: This study reiterates the importance of family dialogue along with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 of various non-face-to-face medi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adolescent mental health.

중소병원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감정노동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Verbal Abuse Experience, Emotional Labor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조진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11-219
    • /
    • 2021
  • 본 연구 목적은 중소병원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대상자는 138명의 간호사로 2개 중소병원에서 모집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언어폭력은 82.7%가 경험하였고, 성별(p=.032), 부서(p=.009)에 따라 건강증진행위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감정노동은 건강증진행위(p=.039)와 관련이 있고 감정노동은 건강증진행위의 하부요인인 영적 성장(p=<.01)과 스트레스 관리(p=.028)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을 감소시키고 건강증진 활동을 높이는 전략 및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간호 인력의 안정적 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선수의 언어폭력 경험 실태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Verbal abuse among Athletes)

  • 유현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70-578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현장에서 발생하는 지도자의 언어폭력 실태를 조사하여 선수들이 겪는 피해의 심각성을 알리고, 사회적 관심과 개입의 출발점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도자의 언어폭력을 경험한 선수 7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언어폭력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위해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그 결과 14개의 세부영역,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선수들이 경험하는 지도자의 언어폭력은 모호하고, 반복적이며, 폐쇄적인 상황에서 일어나며 소극적인 대처를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언어폭력은 외상이나 가해자에게 불리한 증거를 남기지 않으면서 피해자의 개인적, 사회적 문제에 영향을 미치므로 현장의 분위기와 환경의 면밀한 파악은 근본적 대책의 마련에 필수로 생각된다. 이러한 사례연구 결과를 근거로 은밀하게 이루어지는 언어적 폭력에 대한 이해를 통해 관심과 개입을 촉구하며, 언어폭력의 사각지대를 보완하는 면밀한 정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119 구급대원의 노인학대 인식, 신고 및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Perception, report, and education of elder abuse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Korea)

  • 채명정;윤종근;김보영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9-88
    • /
    • 2017
  •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report, and education of elder abuse in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in Korea.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10 EMTs in K city, and 100 answers were collected from June 1 to 10, 2015. The study instrument was perception regarding elder abuse and education inventory developed by Kim and Kim.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8.0 version. Results: The elder abuse perception score was 3.81 on a Likert 4-point scale. Physical abuse was the most common type, followed by verbal, financial, negligence, and emotional abuse. Most EMTs recognized that is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of elder abuse, but most of them had no experience in reporting abuse. A majority of the EMTs had attended an elder abuse program and recognized the importsnce of such program.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more targeted education of elder abuse prevention combined with family counseling methods and practical approach toward awareness of elder abuse.

월경전기 증후군과 해리증상 및 과거 학대 경험과의 연관성 (Premenstrual Syndrome and its Relationship with Previous Abuse History and Dissociative Symptoms)

  • 김종인;최태규;윤재항;서신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16권2호
    • /
    • pp.112-119
    • /
    • 2008
  • 연구목적 : 월경전기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 PMS)은 가임기 여성의 약 80% 이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월경 주기와 일치하는 질환의 특성 상 여성 호르몬의 변화가 질환과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특징적인 생물학적 원인에 대한 일관된 보고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질환의 심리학적 원인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들도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심리적 외상 경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은 과거의 심리적 외상이 클수록 월경전기 증후군의 증상이 심해진다는 흥미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한편 과거의 심리적 외상은 해리 증상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사실들로부터 월경전기 증후군과 해리증상의 연관성에 대한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월경전기 증후군의 정도와 해리증상 경험의 정도, 과거 학대 경험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서울 경기 경북에 근무하는 377명의 간호사들 중 설문과 기록을 충실하게 수행한 1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월경전기 증후군의 존재 여부와 증상의 정도는 Daily Record of Severity of Problems(DRSP),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SPAF)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해리 증상의 정도는 Dissociation Experience Scale(DES-K)을 사용하였고 과거의 신체/언어적 학대 경험, 성적 학대 경험, 부모의 배우자 학대 경험은 각각 부모의 신체적 언어적 학대 방임 척도, 성적 학대 척도, 배우자 학대 척도를 이용하였다. 결과 : SPAF 점수를 기준으로 대상자들을 월경전기 증후군이 없는 군(No PMS), 경도에서 중등도의 증상을 경험하는 군(mild to moderate PMS), 중증의 증상을 경험하는 군(severe PMS)으로 나누었을 때 신체적 언어적 학대 방임 척도($x^2=14.397$, df=2, p=0.001), 성적 학대 척도($x^2=8.376$, df=2, p=0.015), 부모의 배우자 학대 척도($x^2=9.322$, df=2, p=0.009)에서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찬가지로 DES 점수에서도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2=14.966$, df=2, p=0.001). SPAF를 사용하여 측정한 월경전기 증후군의 증상 정도와 과거의 학대 경험 정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해리 증상의 경험 정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결론 : 상기 결과는 월경전기 증후군의 증상과 해리증상, 과거 외상경험이 연관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간호대학생의 언어폭력 경험이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Verbal Abuse on Major Satusfaction, Practice Satisfac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 권영채;김영희;허현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57-365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언어폭력 경험이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 간호전문직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시와 P시에 소재한 2개 간호대학생 3,4학년 237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전공만족도는 성(F=1,50, p<.001), 학년(F=-2.38, p<.001), 간호학 선택동기(t=6.79,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 경험은 전공만족도(r=-.298, p<.001), 실습만족도(r=.-.348, p<.001), 전문직관(r=.-.407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언어폭력경험은 전문직관(β=.305, p<.001), 전공만족도(β=259, p<.001), 실습만족도(β=142, p=.003)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낫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5.9%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언어폭력에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응급실 내 1급 응급구조사의 폭력경험과 대처 및 반응 (Violence experiences, coping, and response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 한승은;이경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1-6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riences of violence with patients or family members by paramedics working at emergency room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from June 1 to 31, 2017 to 225 paramedics working at 27 emergency medical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s ver 24.0 program. Results: Within the past year, 208(92.9%) of 224 participants experienced violence among whom 202(90.2%) experienced verbal abuse, 193(86.2%) experienced physical threat, 89(39.7%) experienced physical violence, and 52(23.2%) experienced sexual violence. The level of violence response depending on the overlapping experience of violence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emotional response (p= .001), social response (p= .001), physical response (p= .004), and overall violence response (p= .001). Conclusion: In conclusion, paramedics are frequently exposed to violence in the emergency rooms, of which they mostly experience verbal abuse. In addition, because the reporting system in the event of violence and the coping process are not well-informed, paramedics are unable to sufficiently utilize the reporting system and programs established within the institution. Therefore, the support of the legal system is needed to create a safe working environment for the medical staff who work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