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us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19초

상호매체성의 이론과 그 적용 - 피터 그리너웨이의 <프로스페로의 서재>를 중심으로 (A Theory of Intermediality and its Application in Peter Greenaway's )

  • 박기현
    • 비교문화연구
    • /
    • 제19권
    • /
    • pp.39-77
    • /
    • 2010
  • The cinema of Peter Greenaway has consistently engaged ques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s and particularly the relations of image and writing to cinema. When different types of images are correlated and merged with each other on the borders of painting, photography, film, video and computer animation,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distinct elements cause a shift in the notion of the whole image. This analysis proposes to articulate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rtial' dimension and the 'intermedial' dimension in Peter Greenaway's film, (1991). If the interartiality is interest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various arts, including the transition from one to another, the intermediality articulates the same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media. The interactional relationship is the same on both sides; on the contrar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edia does not show the same symmetry. All art is based on one or more media - the media is a condition existence of art - but no art can't be reduced to the status of media. This suggests that if the interartiality always involves the intermediality, this proposal may not be reversed. First, we analyse a self-conscious investigation into digital art and technology. Prosospero's Books can be read as a daring visual essay that self-consciously investigates the technical and philosophical functions of letters, books, images, animated paintings, digital arts, and the other magical illusions, which have been modern or will be post-modern media to represent the world. Greenaway uses both conventional film techniques and the resources of high-definition television to layer image upon image, superimposing a second or third frame within his frame. Greenaway uses the frame-within-frame as the cinematic equivalent of Shakespeare's paly-within-play : it offer him the possibility to analyse the work of art/artist/spectator relationship. Secondly, we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ten word, oral word and the books. Like the written word, the oral word changes into a visual image: The linguistic richness and nuances of Shakeaspeare's characters turn into the powerful and authoritative, but monotone, voices of Gielgud-Prospero, who speaks the Shakespearean lines aloud, shaping the characters so powerfully through his worlds that they are conjured before us. Specially each book is placed over the frame of the play's action, only partially covering the image, so that it gives virtually every frame at least two space-time orientations. Thirdly, we try to show how Peter Greenaway uses pictorial references in order to illustrate the context of the Renaissance as well as pictorial techniques and language in order to question the nature of artistic representation. For exemple, The storm is visualised through reference to Botticelli's : the storm of papers swirling around the library is constructed to look like a facsimili copy of Michelangelo's Laurentiana Library in Florence. Greenaway's modern mannerism consists in imposing his own aesthetic vision and his questioning of art beyond the play's meta-theatricality: in other words, Shakespeare''s text has been adapted without being betrayed.

그리핑 성능 향상을 위한 가변강성 소프트 로봇 핸드 개발 (Development of Variable Stiffness Soft Robot Hand for Improving Gripping Performance)

  • 함기범;전종균;박용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7-53
    • /
    • 2018
  • 산업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로봇팔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생산방식의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한 그리퍼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 기반을 두어 본 연구진은 기존에 연성재질의 비선형성을 이용하여 강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강성 메커니즘 그리퍼를 연구하였다. 시제품을 제작하고 실험을 통해 강성의 변화와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세 개의 가변강성 메커니즘을 배치하여 그리퍼를 설계 및 제작함으로써 물체를 파지하는 상황에 따라 파지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그리퍼 간의 균형이 맞지 않아 물체 파지 시에 파지할 물체가 회전하면서 미끄러지는 경우가 드물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그리퍼가 필요하게 되었다. 새로운 형태의 그리퍼를 설계하기 위하여 생체모사기술을 적용하였다. 사람의 손바닥과 파리지옥의 움직임을 통해 영감을 얻어 새롭게 가변강성 소프트 로봇 핸드를 설계하였다. 손바닥이 접히는 메커니즘을 가변강성 그리퍼에 장착된 텐던을 당기는 것과 연동하여 파지 성능을 높일 수 있었다. 가변강성 메커니즘에 파리지옥과 손바닥 형태의 메커니즘을 결합하여 파지 안전성을 높인 소프트 로봇 핸드는 기존의 가변강성 메커니즘 그리퍼보다 다양한 형태와 무게를 가진 물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였다.

삼내자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from Kaempferia Galanga L)

  • 진정원비너스;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18-22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삼내자(Kaempferia Galanga)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세포독성, 항염 효능을 조사하여 화장품 성분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 평가를 위해 DPPH, ABTS 라디컬 소거능 활성, FRAP 환원력, 총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대상으로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항염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NO), $TNF-{\alpha}$ 분비 및 iNOS, $TNF-{\alpha}$ mRNA 발현 수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다. FRAP 값은 5 mg/mL에서 24.5 uM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폴리페놀 함량은 $1.28{\pm}0.064mg\;GAE/g$로 나타났다. KG 추출물 농도 0.625~2.5 mg/mL에서 세포독성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RAW264.7 세포에서 LPS 유도에 의한 NO, $TNF-{\alpha}$ 분비 그리고 iNOS, $TNF-{\alpha}$의 mRNA 발현이 KG 추출물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삼내자 열수추출물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화장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예산 정동호가옥의 입지와 공간배치에 대한 연구 - 풍수 형세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ocation and Space Layout of Traditional House of Jeong Dong-Ho - Focused on the Hyungsei-ron of Pungsu(Fengshui) -)

  • 한종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9-26
    • /
    • 2019
  • Pungsu theory is important one in the site selection and lay-out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 and house. In this aspect, Study with a view of Pungsu theory might be used as a proper method for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in Korea.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Jeong, Dong-Ho's house which is designated no. 19 as an important folk cultural heritage, located in Jigok Ochu-gil 133-62, Godeok-myon, Yesan-gun, Chungnam province. The analysis of the site and space lay-out is carried out by Yong(Dragon), Hyoel(Auspicious Spot), Sa(Sands), Su(Water) aspects of the Pungsu(Fengshui) Hyungsei-ron. The house is depending upon soft dragon vein connecting with a earth type rear mountain. It looks southeast direction, Gonjwasonhyang(乾坐巽向). The hyeolseong(穴星) has classical venus shape, and there is no faults relatively. The Sasinsa condition is almost perfect that right blue dragon and left white tiger surround the hyeol with 3-4 layers and the facing mountain covers the front open area. The water flowing from inside of left and right mountain is joined in front of the house so it could stop flowing out of vital energy. Bibo forest(裨補樹) is placed properly to protect the easy disclose of water outlet. The house is well organized western house(西四宅) by analysis of Dongseosataek-ron(東西四宅論). Through the analysis, I found that the house has good Pungsu(Fengshui) environment fitted with Pungsu Hyungsei-ron. The house composed of small thatched roof is enclosed several times by low hills of back, left and right side. So it is believed that the site might be carefully evaluated by Yong, Hyoel, Sa, Su of Hyeongsei-ron for knowing whether the site condition could minimize the demage by strong winds and protect from the winter cold wind and secure water for drinking and farming and then selected. The method of Pungsu for evaluating the geographical condition of surrounding of a site is used as a traditional site analysis metho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long-term well and safe residence.

언어네트워크를 이용한 과학전람회 지구과학 부문 탐구주제 분석: 최근 21년(2000-2020년)을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in Earth Science at the Science Fair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Focus on the Last 21 Years (2000-2020))

  • 조규성;정덕호;정동권;강천지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2-78
    • /
    • 2023
  • 본 연구는 과학전람회에 출품된 지구과학 부문 탐구주제를 분석하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지구과학 탐구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지구과학 출품작 중 주제 특성을 파악하는 데 기여하는 데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과학전람회 누리집에 게시된 지구과학 부문 출품작 중 2000년부터 2020년까지 21년 동안 다루어진 자료 총 566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틀을 기준으로 언어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구과학 출품 작품으로 지질과학이 가장 활발하게 탐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층서/퇴적/화석/지사학 영역과 관련된 중생대 백악기 시대의 화석이 주를 이루었다. 이들과 함께 천문 및 우주과학, 대기과학 영역에 해당하는 핵심어가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었다. 천문 및 우주과학은 주로 태양과 달, 지구를 주제로 갖는 태양 흑점, 달 위상 등 탐구활동에서 소행성, 금성과 목성과 같은 태양계 구성 천체의 역학적 특징에 대해 다루고 있었다. 대기과학은 대기물리를 중심으로 대기 관측/분석기술, 대기역학, 대기질감시 등에 대해 다루어졌으며, 해양과학은 물리해양학과 지질해양학 등에 관해 탐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지구과학 탐구주제를 선정하고 탐구활동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