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ture Incubati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초

기술창업보육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Operating Technology Business Incubators: Forced on the Foreign Cases)

  • 강인선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3호
    • /
    • pp.19-42
    • /
    • 2011
  • 본 연구는 외국의 대학과 사이언스파크, 테크노파크 등에 소재한 기술창업보육기관의 운영에 대한 사례를 다루었다. 기술창업보육센터는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창출, 신 벤처산업의 육성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며 국내 센터운영과 비교하면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다. 외국은 기술창업보육센터 입지를 국가정책차원에서 경제적인 낙후성과 지역의 연관 산업을 고려하여 센터를 특성화하며 전문가 협력네트워크 구축과 운영을 활성화하고 있다. 입주기업은 산학협력을 통해 기술완성도를 높이며 대학과 연구소는 연구개발성과를 사업화로 연계하여 기술력 있는 벤처창업을 촉진함으로써 spin-offs를 통한 기술창업자들을 육성하고 있다. 외국사례를 통해 국내 기술창업센터 운영에 대한 시사점과 성공적인 센터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Effect of Technology Incubation Programme on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in Nigeria

  • NDAGI, Abdulmalik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7권1호
    • /
    • pp.15-43
    • /
    • 2018
  • The lack of appropriate performance appraisal and evaluation of incubatees of technology incubation programmes in relation to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in Nigeria is a major gap that needs to be bridge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elected technology incubation programme variables such as training, financing and marketing on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in Nigeria. A closed-end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from the quota-sampled population of the six (6) geo-political zones of Nigeria.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whil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echnology incubation train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ability in Nigeria; there i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f technology incubation financing on entrepreneurial funding portfolio; there is no significant impact of technology incubation marketing programme on entrepreneurial turnover; and technology incubation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entrepreneurial propensity. The study recommended that the National Board for Technology Incubation (NBTI) expand the training modules to capture pre, post and virtual incubatees; to facilitate access to risk funds, cheap capital and encourage establishment of venture capital; to improve on its marketing programme to encompass all marketing needs of incubatees beyond trade-fair participation. However, trade-fairs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but limited effect on entrepreneurial turnover, while a technology incubation programme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entrepreneurial propensity, as only six (6) out of the twenty-nine (29) respondents started new venture from the incubation centers which are industrial training students and staff of the incubatees.

New Venture Incubation Framework: An Indian Academic Model

  • Subrahmanya, MH Bala;Gopalaswamy, Arun Kumar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7권3호
    • /
    • pp.489-510
    • /
    • 2018
  • Institution-based Technology Business Incubators are on the rise in India, as a means of promoting innovation-based tech start-up ecosystems, due to increased policy initiatives. Against this background, we have traced the origin and process of building a start-up ecosystem in IIT Madras, Chennai of India, based on semistructured interviews held with the stakeholders of the ecosystem. Subsequently, we have ascertained the key components of IIT Madras start-up ecosystem, and the process of incubation comprising pre-incubation, incubation and post-incubation phases. Finally, we have derived the key lessons from the ecosystem development experience and incubation process which enable generation of start-ups from both students and faculty, apart from alumni and ex-industry executives. Though this ecosystem model has emerged over a period of time through learning and experience, the ecosystem is able to generate more than 100 start-ups, majority of them being from students and faculty. Thus, the evolved start-up ecosystem of IIT Madras is able to generate faculty-supported and student-led entrepreneurship successfully.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과 보육기업의 창업성과 : 액셀러레이터 창업가 열정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Accelerator Incubation Program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Portfolio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ccelerator Entrepreneur Passion)

  • 김상철;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3호
    • /
    • pp.1-17
    • /
    • 2022
  • 창업가는 본인의 열정이 창업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창업과 관련된 제3자의 열정이 본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이 보육기업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때 제3자인 액셀러레이터 창업가 열정이 보육기업의 창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두고 실증적으로 분석을 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을 수료한 전국의 보육기업 대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유효한 330개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 중 멘토링과 네트워크는 스타트업의 창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 중 교육과 초기투자는 스타트업의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액셀러레이터 창업가 열정이 보육프로그램 요소(교육, 멘토링, 네트워크, 초기투자)와 보육기업의 창업성과 간을 모두 유의하게 조절하고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스타트업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창업가 열정이 보육프로그램의 중요한 린치핀이며 성공의 열쇠라는 사실을 밝힌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스타트업이 시드 투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액셀러레이터의 키맨인 액셀러레이터 창업가와 그의 열정을 제대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The "open incubation model": deriving community-driven value and innovation in the incubation process

  • Xenia, Ziouvelou;Eri, Giannaka;Raimund, Brochler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4권1호
    • /
    • pp.11-22
    • /
    • 2015
  • Globalization, increasing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dynamic knowledge diffusion are moving our world closer together at a unique scale and pace. At the same time, our rapidly changing society is confronted with major challenges ranging from demographic to economic ones; challenges that necessitate highly innovative solutions, forcing us to reconsider the way that we actually innovate and create shared value. As such the linear, centralized innovation models of the past need to be replaced with new approaches; approaches that are based upon an open and collaborative, global network perspective where all innovation actors strategically network and collaborate, openly distribute their ideas and co-innovate/co-create in a global context utilizing our society's full innovation potential (Innovation 4.0 - Open Innovation 2.0). These emerging innovation paradigms create "an opportunity for a new entrepreneurial renaissance which can drive a Cambrian like explosion of sustainable wealth creation" (Curley 2013). Thus, in order to materialize this entrepreneurial renaissance, it is critical not only to value but also to actively employ this new innovation paradigms so as to derive community-driven shared value that stems from global innovation networks.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is a gap in existing business incubation model that needs to be filled, in that the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community cannot afford to ignore the emerging innovation paradigms and rely upon closed incubation models but has to adopt an "open incubation" (Ziouvelou 2013). The open incubation model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open innovation, crowdsourcing and co-creation of shared value and enables individual users and innovation stakeholders to strategically network, find collaborators and partners, co-create ideas and prototypes, share their ideas/prototypes and utilize the wisdom of the crowd to assess the value of these project ideas/prototypes, while at the same time find connections/partners, business and technical information, knowledge on start-up related topics, online tools, online content, open data and open educational material and most importantly access to capital and crowd-funding. By introducing a new incubation phase, namely the "interest phase", open incubation bridges the gap between entrepreneurial need and action and addresses the wantpreneurial needs during the innovation conception phase. In this context one such ecosystem that aligns fully with the open incubation model and theoretical approach, is the VOICE ecosystem. VOICE is an international, community-driven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ecosystem based on open innovation, crowdsourcing and co-creation principles that has no physical location as opposed to traditional business incubators. VOICE aims to tap into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the crowd and turn their entrepreneurial interest or need into a collaborative project that will result into a prototype and to a successful "crowd-venture".

Economic Evaluation of the IT SoC Industry Infrastructure Program

  • Oh, Wan-Keun;Min, Wan-Ke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9-99
    • /
    • 2007
  • This paper evaluates the economic effect of the IT SoC Industrial Foundation Composition Project. The evaluation was done in three steps. The first step was to estimate the contribution effect of the fabless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sales. The step includes interview with all the CEOs of the firms under the support of the Enterprise Incubation System, The second step was to apply input-output analysis and then estimate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The last step was to compare the results of estimation with the costs of the project. We have concluded this project had achieved 6.3 times greater economic effect compared to the budget. The reason for the large economic effect is that the project provided various infrastructures to the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es.

  • PDF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과 창업자기효능감이 경쟁우위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혁신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Accelerator Incubation Program and Entrepreneur Self-Efficacy on Competitive Advantage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on Competence)

  • 장석조;현병환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3호
    • /
    • pp.1-20
    • /
    • 2023
  • 본 연구는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을 경험한 스타트업 대표자를 대상으로,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멘토링, 초기투자)와 창업자기효능감이 경쟁우위성과에 영향을 주는지 실증분석을 하였고, 이때 혁신역량의 매개효과도 함께 살펴보았다. 표본의 수집은 전국 액셀러레이터,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이 보육한 스타트업 대표자 대상으로 수집한 334건의 표본을 Smart PLS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은 경쟁우위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초기투자와 창업자기효능감은 경쟁우위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 초기투자, 창업자기효능감은 혁신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역량은 경쟁우위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혁신역량은 멘토링, 초기투자, 창업자기효능감과 경쟁우위성과 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멘토링은 경쟁우위성과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지만, 혁신역량을 매개로 하여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되었으며, 초기투자, 창업자기효능감, 혁신역량은 경쟁우위성과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혁신역량이 매개 작용으로 경쟁우위성과에 영향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타트업의 경쟁우위성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주요대학들의 창업 프로그램 분석: 한국 대학의 창업생태계 구축의 시사점 연구 (An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Programs at U.S. College and Universities: Focusing on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ship Ecosystem of Korean Universities)

  • 이태현;김휘택;김윤경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1호
    • /
    • pp.175-185
    • /
    • 2015
  • 본고는 미국의 창업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한 구성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미국 주요대학들의 창업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프로그램은 MIT의 Martin Trust Center for MIT Entrepreneurship, 하버드 대학의 Harvard Innovation Lab에서 수행하는 Venture Incubation program(VIP), 시카고 대학의 Polsky Center for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스탠포드 대학의 Center for Entrepreneurial Studies(CES)이다. 이 프로그램들의 대학 내 주요 역할, 커리큘럼, 특징을 파악하고, 관련 선행 분석을 참고하여 미국 대학의 창업 지원 프로그램이 지닌 세 가지 유형의 구성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첫 번째는 역동적 교육중심형으로, 창업 경진 대회를 통해 학생들이 기업가정신 교육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이 이 분류에 포함되었다. 두 번째는 지역밀착형으로 대학이 위치한 지역의 산업 기반과 형태를 고려하여 지역의 창업 열풍을 주도하는 대학들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은 창업 지원 유도형으로 교육과 실제 창업이 연결과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학생들의 창업에 대학이 직접적인 자본을 투자하는 프로그램들이다. 이러한 분류에 의거하여 학생들의 창업을 장려하고 성공적인 창업을 돕기 위한 주요 요인들을 제안하였다.

  • PDF

PCII 모델에 근거한 창업보육생태계 국제 비교 연구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n Start-up Incubation Ecosystem Based on PCII Model)

  • 정무섭;하도우 압테놀;장지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2호
    • /
    • pp.27-38
    • /
    • 2018
  • 한국은 경제 발전 과정 자체가 다른 여느 나라와는 달리 독특하기 때문에 한국 특유의 창업보육생태계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침체된 경제 역동성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도전정신으로 무장한 창업 벤처가 글로벌 무대로 성장해 나아갈 수 있는 창업보육생태계 구축이 정책우선순위로 제고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에게 독특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는 국가들 중 미국, 이스라엘, 핀란드 그리고 일본을 비교국으로 선정하여 사례 비교를 통해 창업 보육 생태계와 기반 조성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업보육생태계를 설명하는 여러 모델 중 한국에 가장 적합한 모델로서 창업주체보육, 창업자금지원, 창업과정보육, 창업인프라구축으로 큰 틀을 잡고, 창업주체보육을 중심으로 확장해 가는 거시적 창업보육생태계모델을 통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가는 총 12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서 부문별로 정성적,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창업보육육성정책의 비교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창업보육육성정책은 창업생태계 구축의 측면에서 볼 때 여전히 초기 단계로 나타났다. 특히 민 관 학 협력체계와 클러스터, 그리고 대기업과 창업 기업의 협력이 요구되는 창업 인프라와 창업기업에 투자하는 민간펀드와 회수시장의 활성화가 비교국에 비해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기적 보육정책 위주에서 벗어나 생태계 모델에 기반한 체계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며 창업주체보육, 창업자금지원, 창업과정보육 그리고 창업 인프라구축이 동시에 병행되도록 정책 방향이 바람직스럽다. 또한 기존의 성공 및 실패 사례들에서 정책의 성과를 점검해 수정해 나가는 현장중심 바텀업(bottom-up) 접근방식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