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tricular assist device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6초

Surgical Outcomes of Centrifugal Continuous-Flow Implantable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Heartmate 3 versus Heartware Ventricular Assist Device

  • Kinam Shin;Won Chul Cho;Nara Shin;Hong Rae Kim;Min-Seok Kim;Cheol Hyun Chung;Sung-Ho J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2호
    • /
    • pp.184-194
    • /
    • 2024
  • Background: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LVADs) are widely employed as a therapeutic option for end-stage heart failure. We evaluated the outcomes associated with centrifugal-flow LVAD implantation, comparing 2 device models: the Heartmate 3 (HM3) and the Heartware Ventricular Assist Device (HVA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who underwent LVAD implantation between June 1, 2015 and December 31, 2022. We analyzed overall survival, first rehospitalization, and early, late, and LVAD-related complications. Results: In total, 74 patients underwent LVAD implantation, with 42 receiving the HM3 and 32 the HVAD. A mild Interagency Registry for Mechanically Assisted Circulatory Support score was more common among HM3 than HVAD recipients (p=0.006), and patients receiving the HM3 exhibited lower rates of preoperative ventilator use (p=0.010) an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p=0.039). The overall early mortality rate was 5.4% (4 of 74 patient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Regarding early right ventricular (RV) failure, HM3 implantation was associated with a lower rate (13 of 42 [31.0%]) than HVAD implantation (18 of 32 [56.2%], p=0.051). The median rehospitalization-free period was longer for HM3 recipients (16.9 months) than HVAD recipients (5.3 months, p=0.013). Furthermore, HM3 recipients displayed a lower incidence of late hemorrhagic stroke (p=0.016). In the multivariable analysis, preoperative use of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odds ratio, 22.31; p=0.002)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postoperative RV failure. Conclusion: The LVAD models (HM3 and HVAD) demonstrated comparable overall survival rates. However, the HM3 wa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late hemorrhagic stroke.

Non-Surgical Resolution of Inflow Cannula Obstruction of a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A Case Report

  • Lee, Yoonseo;Sung, Kiick;Kim, Wook Sung;Jeong, Dong Seop;Shinn, Sung Ho;Cho, Yang 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6호
    • /
    • pp.543-546
    • /
    • 2021
  • A 55-year-old woman who had received an implantable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3 months earlier presented with dyspnea and a low-flow alarm of the device. Computed tomography and log-file analysis of the device system suggested inflow cannula obstruction. Since the patient had cardiogenic shock due to pump failure, veno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was initiated. With ECMO, surgical exchange of the pump was considered. However, the obstruction spontaneously resolved without surgical intervention. It turned out that an obstructive thrombus was washed out by rebooting the pump. Moreover, the thrombus was embolized in the patient's left subclavian artery. The patient underwent heart transplantation 4 months after the pump obstruction accident and continued to do well.

Wireless Magnetic Pump: Characteristics of Magnetic Impellers and Medical Application

  • Song, Moon Kyou;Kim, Sung Hoo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2권2호
    • /
    • pp.344-351
    • /
    • 2017
  • Wireless magnet pumps are used in medical applications and are particularly useful as artificial heart ventricular assist devices (VADs). To investigate wireless operation of magnetic pumps, we fabricated three types of magnetic impellers using bonded magnets by blending magnetic powders of SmFeN, NdFeB, and Sr-ferrite. We investigated the magnetic properties of the fabricated magnetic impellers, which are driven by the application of magnetic coupling with an external driving magnet or external coil system, without a driving motor, shaft, or mechanical bearings. The use of wireless magnetic pumps is therefore not complicated by critical issues of size, heat, and vibration, which are very important issues for blood pumps. The magnetic properties of the impellers, such as their rotational speed, driving torque and hydrodynamic performance, determine their wireless driving ranges. We conducted performance evaluations of the impeller's magnetic wireless manipulation, heat, and vibration. In addition, we carried out an animal test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the wireless magnetic pumps for use as biventricular assist devices (BiVADs).

좌심실보조장치 수술 환자의 드레싱 방법에 따른 드라이브라인 감염 실태 (Driveline Infections Incidence According to Dressing Methods for Patients with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Implantation)

  • 최남경;최수정;최지연;박선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8권2호
    • /
    • pp.167-176
    • /
    • 2022
  • Purpose: Driveline infection (DLI) is one of the major adverse events of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LVA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cidence of DLI according to the driveline dressing methods.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that investigated the medical records of 75 patients who implanted LVAD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20 at a hospital in Seoul, Korea. Traditionally, sandwich dressing method was applied until October 2019, after which newly winded dressing method was adopted for driveline dressing to LVAD patients. The outcome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sandwich dressing method applied group (n=41) and winded dressing method applied group (n=34). The follow-up period for DLI was 1 year. Results: When compared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the type of LVAD device. The incidence of DLI was 17.1% in sandwich dressing group, while no infection was found in winded dressing group (p=.011). Conclusion: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 in the LVAD devices, it is considered that winded dressing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DLI. Further research on standardized dressing methods was required for DLI prevention in Korea.

Unexpected Restart Failure of Durable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A Report of Two Cases

  • Hyo Won Seo;Ga Hee Jeong;Sung Min Kim;Minjung Bak;Darae Kim;Jin-Oh Choi;Kiick Sung;Yang Hyun C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3호
    • /
    • pp.315-318
    • /
    • 2024
  • The HeartWare Ventricular Assist Device (HVAD) was widely used for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in patients with end-stage heart failure. However, there have been reports of a critical issue with HVAD pumps failing to restart, or experiencing delays in restarting, after being stopped. This case report describes 2 instances of HVAD failure-to-restart during heart transplantation surgery and routine outpatient care. Despite multiple attempts to restart the pump using various controllers and extensions, the HVAD failed to restart, triggering a hazard alarm for pump stoppage. In one case, the patient survived after receiving a heart transplantation, while in the other, the patient died immediately following the controller exchange. These cases highlight the rare but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of HVAD failure-to-restart,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awareness among clinicians, patients, and caregivers, and adherence to the manufacturer's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for HVAD management.

Outcome of Extracorporeal Ventricular Assist Device for Cardiogenic Shock as a Bridge to Transplantation

  • Kim, Hyo-Hyun;Shin, Jung-Hoon;Kim, Jung-Hwan;Youn, Young-Na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6호
    • /
    • pp.368-374
    • /
    • 2020
  • Background: The extracorporeal ventricular assist device (e-VAD) system is designed for left ventricular support using a permanent life support consol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emporary e-VAD implantation bridging on posttransplant outcomes.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6 patients with the Interagency Registry for Mechanically Assisted Circulatory Support (INTERMACS) profile 1, awaiting heart transplantation, who were provided with temporary e-VAD from 2018 to 2019. The circuit comprised a single centrifugal pump without an oxygenator. The e-VAD inflow cannula was inserted into the apex of the left ventricle, and the outflow cannula was positioned in the ascending aorta.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8.4±6.9 months. Results: After e-VAD implantation, lactate dehydrogenase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scores significantly improved. Bedside rehabilitation was possible in 5 patients. After a mean e-VAD support duration of 14.5±17.3 days, all patients were successfully bridged to transplantation. After transplantation, 5 patients survived for at least 6 months. Conclusion: e-VAD may reverse end-organ dysfunction and improve outcomes in INTERMACS I heart transplant patients.

고분자판막의 동물실험 및 생체내 혈액적합성 연구 (Animal Experiment and Blood Biocompatibility Study of Polymer Valve)

  • 김상현;홍유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357-362
    • /
    • 1997
  • 심실보조장치 등의 단기간 사용을 위하고 경제적이고 항혈전성이 높은 판막을 개발하기 위해 고분자 판막을 연구 중인데 판막의 혈액적합성을 시험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시행하였다. 고분자판막은 외경이 각각 22 mm, 18 mm, 16 mm인 단엽식 판막이다. 열림판과 프레 임 모두 재질을 폴리우레탄 계로 제작하 여 유연하고 완전한 접착이 되도록 하였다. 총 7 마리의 황견에 이식하였는데 이식 위치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는 심실보조장치의 유입구에 삽입하였고,두 번째는 대동맥에,세 번째는우심실과 우심방사이에 인조혈관을 이용하여 이식하였다. 가장 긴 생존 기간은 20일 이었다. 판막의 항혈전성 및 용혈현상을 입증하기 위 해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적혈구수, 백혈구수, LDH, 혈색소 등을 검사하였 다. 본 연구는 좀 더 개선하면 고분자판막이 심실보조장치에 단기간 사용 가능한 판막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골격근 심실의 역학 (Skeletal Muscle Ventricle Mechanics)

  • 오중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28-432
    • /
    • 1999
  • 배경: 전기적인 자극에 의하여 골격근의 피로현상이 극복됨으로써 골격근을 심장보조장치에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인공심장이나 심실보조기구는 에너지원의 전원장치가 크고 거추장스러운 단점이 있어 아직 해결해야될 문제이다. 반면 골격근을 이용한 심실보조장치는 에너지원으로 환자 자신의 골격근 수축력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이의 임상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8예의 광배근을 이용하여 골격근 심실의 모형을 만들었다. 물이 담긴 라텍스 주머니를 골격근이 한바퀴 반 감싸도록 고안하였고 골격근의 수축압력은 연결된 관을 통하여 변환기에 기록되도록 하였다. 전극은 흉배신경 주위에 설치한 후 Itrel 7420 박동기에 연결하였다. 프로그래머로 박동기를 조절하였으며 3.0Volt, cyclic burst, 0.31초 on time, 6.0초 off time의 자극을 주었다. 라텍스 주머니 내에 액체의 양을 25cc 씩 증가시키면서 전부하의 변화에 따른 골격근 심실의 박출량과 압력 및 수축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골격근 심실의 전부하가 0인 경우 일회박출량은 76.3ml 이고, 전부하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일회박출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부하가 75cc 이상이 되면 일회박출량은 70ml 이하로 감소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압력을 측정한 결과도 전부하가 75cc 이하인 경우 정상의 혈압과 비슷한 107mmHg 이상의 혈압을 보이고 있으나 전부하가 100cc 이상 증가하는 경우 혈압이 100mmHg 이하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최대의 골격근 수축력은 50cc의 전부하에서 16.6 W/kg의 힘을 분출하였다. 결론: 골격근 심실은 전부하의 변화에 따라 정상 심장보다도 강한 박출량과 압력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임상 응용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 PDF

퍼지 subtractive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좌심실보조장치 모델링 및 흡입현상 검출 (Modeling of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and Suction Detection Using Fuzzy Subtractive Clustering Method)

  • 박승규;최성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00-506
    • /
    • 2012
  • 좌심실보조장치의 모델과 안전한 장치 구동을 위한 흡입현상 검출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좌심실보조장치인 축류혈액펌프는 심장에 문제가 있는 환자를 보조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축류혈액펌프는 비맥동성 펌프이며, 맥동성 펌프에 비하여 작은 크기와 효율성과 같은 장점이 있으나, 안전한 펌프 운전 조건을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축류혈액펌프는 정상상태와 흡입상태와 같은 상이한 펌프 동작 상태를 가지며, 이는 좌심실에서 흡입현상 발생여부에 좌우된다. 퍼지 subtractive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이와 같은 동작 특성을 가지는 축류혈액펌프 모델을 개발하며, 개발한 펌프 모델을 이용하여 흡입현상 발생 전후의 펌프 혈류량을 추정한다. 또한 퍼지 subtractive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좌심실에서 흡입현상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흡입현상 검출 모델을 개발한다.

돼지의 급성 심인성 쇼크 모델에서 DKUH-75 좌심실보조키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The Feasibility of the DKUH-75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for Acute Cardiogenic Shock in Pigs)

  • 박성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168-179
    • /
    • 2007
  • 배경: 최근 관상동맥 질환의 증가로 심근경색으로 인하여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급성 심인성 쇼크 및 만성 울혈성 심부전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개심술 후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공심폐기로부터의 이탈이 불가능한 경우도 상당수에 이르고 있어서 이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한국인의 체형에 맞고 경제적인 심실보조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돼지에서 허혈성 전처치의 개념을 이용하여 관상동맥 결찰을 통한 급성 심인성 쇼크 상태를 유발시키고, 여기에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과 흉부외과학교실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DKUH-75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기를 구동시켜, 실제 생명을 위협하는 심한 심근경색 상태와 유사한 환경에서 심실보조기 구동이 실험동물의 혈역학적 수치 및, 심초음파도 상 심기능 수치 등 급성 심인성 쇼크 상태에서 악화되는 지표들을 호전 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 DKUH-75 좌심실보조기의 유용성에 대하여 평가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0마리의 몸무게 50 kg 전후의 잡종돼지를 사용하여 허혈성 전처치의 개념을 이용한 관상동맥 좌전하행지 결찰을 통해 급성 심인성 쇼크 상태를 유발하고, 이들 중 5마리의 실험동물에 DKUH-75 좌심실 보조기를 장착하였다. 10마리의 실험동물 모두에서 관상동맥 결찰 전, 결찰 후 1시간에 혈역학적 수치와 심초음파도상 심기능 수치를 측정하였고 심실보조기를 장착한 5마리의 실험동물에서는 심실보조기 구동 후 1시간에 동일한 수치들을 추가 측정하였다. 결과: 관상동맥 결찰을 통하여 급성 심인성 쇼크를 유발한 10마리의 실험동물에서 관상동맥 결찰 전, 결찰 후 1시간의 혈역학적 측정결과 체동맥압(수축기, 이완기, 평균)은 결찰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하강하였다. 페동맥압도 수축기, 이완기, 평균 모두 상승하였고 좌심실 이완기 말기압도 결찰 후 상승하였으며, 심박출 지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심외막 심초음파도로 측정한 좌심실 수축기말 내경도 결찰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분획단축 및 좌심실구혈률은 감소하였다. 심실보조기를 장착한 5마리의 실험동물에서 관상동맥 결찰 1시간 후와 심실보조기 작동 1시간 후의 혈역학적 측정치를 비교하였을 때 수축기 체동맥압과 평균 체동맥압이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폐동맥압은 수축기, 이완기, 평균 모두에서 하강하였고 좌심실 이완기 말기압도 심실보조기 구동 후 유의하게 하강하였다. 심박출 지수는 심실보조기 구동 후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심외막 심초음파도로 측정한 좌심실 수축기말 내경은 심실보조기 구동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분획단축 및 좌심실구혈률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결론: DKUH-75 심실보조기는 관상동맥 결찰을 통한 심근경색으로 유발시킨 급성 심인성 쇼크 상태의 실험동물에 장착하여 단기간 구동한 결과 각종 혈역학 수치 및 심초음파도 상 심기능 수치를 개선시키고 이를 통하여 심근 기능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는 광범위한 심근경색으로 인한 급성 심인성 쇼크 상태에서 DKUH-75 심실보조기의 단기적 유용성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