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tricular Tachycardia(VT)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9초

심실빈맥/심실세동 분류를 위한 NEWFM 기반의 퍼지규칙 추출 (Extracting Fuzzy Rules for Classifying Ventricular Tachycardia/Ventricular Fibrillation Based on NEWFM)

  • 신동근;이상홍;임준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79-186
    • /
    • 2009
  • 본 논문은 가중 퍼지소속함수 기반 신경망(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tions, NEWFM)을 이용하여 Creighton University Ventricular Tachyarrhythmia DataBase(CUDB)의 심전도(ECG) 신호로부터 정상리듬(Normal Sinus Rhythm, NSR)과 심실빈맥/심실세동(Ventricular Tachycardia/Ventricular Fibrillation, VT/VF)을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NEWFM에서 사용할 특징입력을 추출하기 위해서 첫 번째 단계에서는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 WT)을 이용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생성된 웨이블릿 계수들을 위상공간 재구성(Phase Space Reconstruction, PSR)과 첨단(Peak) 추출 기법의 입력 값으로 이용하여 2개의 특징입력을 추출하였다. NEWFM은 이들 2개의 특징입력을 이용하여 정상리듬과 심실빈맥/심실세동을 분류하였고 그 결과로 90.13%의 분류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심장질환 치료를 위한 체내삽입형 저전력 Pacemaker에 관한 연구 (Implantable low-power Pacemaker for Heart Disease Therapy)

  • 김교석;이상원;조준동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73-474
    • /
    • 2007
  • 본 연구는 체내 이식형 Pacemaker를 연구하면서 심장 질환을 Therapy 해 주는 방법에 대해 저전력 및 성능향상에 중점을 두고 연구 및 실험을 하였다. 우선적으로 심장의 심박동을 연산량이 적은 Peak_detection에서 체크하여 전력소모를 줄이고 나오는 각 심실 및 심방의 Interval을 Disease_episode 에서 받는다. 여기서 5가지 심실 및 심방에 관한 질환들 (VF : Ventricular Fibrillation, VT : Ventricular Tachycardia, FVT : Fast Ventricular Tachycardia, FAT_AF : Fast Atrial Tachycardia/Atrial Fibrillation, AT_AF : Atrial Tachycardia AT_AF : Atrial Fibrillation)을 판별한 후 각 병증에 맞는 Therapy 값을 출력하게 하였다. 그 외에 남아있는 병증에 대해서도 Therapy가 저전력 및 성능향상 되도록 설계하였다. 기존에 적용되어 있는 Detection 기법에서는 각각의 병증에 대해서 각 Detection이 있어 VF와 VT 사이에 있는 FVT와 같은 병증을 치료할 때 FVT 같은 경우에는 VF와 VT사이에 있는 질병이기 때문에 FVT_VF 및 FVT_VT와 같이 각각의 Detection을 두어 전력 소모가 있었다. 심장에서는 여러 질병이 한번에 나을 수 없다는 것에 착안하여 (심박동 Interval에 의해 질병이 판단되므로) 다른 병증이지만 같은 진단 기준을 쓰는 Detection을 통합함으로써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Gate수를 줄이고 저전력을 구현하였다. 또한 병증을 판별하는 진단 기준 모듈 중 Onset_Criterion 재설계하여 좀더 성능 향상에 중점을 두었다.

  • PDF

가중 퍼지소속함수 기반 신경망과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심실 빈맥/세동 검출 (Detecting Ventricular Tachycardia/Fibrillation Using 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tions and Wavelet Transforms)

  • 신동근;장진흥;이상홍;임준식;이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9-26
    • /
    • 2009
  • 본 논문은 가중 퍼지소속함수 기반 신경망(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tions, NEWFM)과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s, WT)을 이용하여 Creighton University Ventricular Tachyarrhythmia Database(CUBD)의 심전도 신호로부터 정상리듬(normal sinus rhythm, NSR)과 심실 빈맥/세동(Ventricular tachycardia/fibrillation VT/VF)을 검출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NEWFM에서 사용할 특정입력을 추출하기 위해서 첫 번째 단계에서는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하여 스케일 레벨 3과 레벨 4의 주파수 대역에서 d3과 d4의 계수들을 각각 선택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d3과 d4의 계수들에 대한 구간별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8개의 특징입력을 추출하였다. NEWFM은 이들 8개의 특정입력을 이용하여 정상리듬과 심실 빈맥/세동을 검출하였고 그 결과로 90.1%의 검출성능을 나타내었다.

Meta-analysis on risk stratification of malignant ventricular tachyarrhythmic events in arrhythmogenic right ventricular cardiomyopathy

  • Roh, Young-Eun;Jang, Hyun Ji;Cho, Min-Ju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08-215
    • /
    • 2017
  • Background: Arrhythmogenic right ventricular cardiomyopathy (ARVC) is a cardiomyopathy characterized by predominant right ventricular fibro-fatty replacement, right ventricular dysfunction and ventricular arrhythmias. It is a rare but important cause of sudden cardiac death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A meta-analysis on risk stratification of major ventricular tachyarrhythmic events indicating the need for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therapy in ARVC was performed. Methods: The pubmed database was searched from its inception to May 2015. Of the 433 citations identified, 12 were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Data regarding major ventricular tachyarrhythmic events were retrieved in 817 subjects from the studies. For the variables, a combined odds ratio (OR) was calculated using a fixed-effects meta-analysis. Results: Extensive right ventricular dysfunction (OR, 2.44), ventricular late potential (OR, 1.66), inducible ventricular tachyarrhythmia during electrophysiology study (OR, 3.67), non-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OR, 3.78), and history of fatal event/sustained VT (OR, 5.66) identified as significant risk factors (p<0.0001). Conclusion: This meta-analysis shows that extensive right ventricular dysfunction, ventricular late potential, inducible ventricular tachyarrhythmia during electrophysiological study, non-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and history of 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fibrillation are consistently reported risk factors of major ventricular tachyarrhythmic events indicating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therapy in patients with ARVC.

다중 클래스 SVM을 이용한 EMD 기반의 부정맥 신호 분류 (EMD based Cardiac Arrhythmia Classification using Multi-class SVM)

  • 이금분;조범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6-22
    • /
    • 2010
  • 심전도 신호 분석 및 부정맥 분류는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정맥은 맥박이 불규칙한 상태로 심실빈맥(VT)이나 심실세동(VF) 환자에게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심방조기수축(APC)과 상심실성빈맥(SVT), 심실조기수축(PVC)은 심실빈맥(VT)만큼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심장질환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부정맥이다. 본 논문은 2~3개의 부정맥 분류만을 고려한 기존의 방법을 극복하고 다양한 부정맥을 분류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심전도 신호의 특징 추출을 위해서 EMD 방법으로 신호를 분해하여 IMFs를 얻는다. 입력 데이터의 양은 분류기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신호 데이터의 차원을 감소시키기 위해 Burg 알고리즘을 IMFs에 적용하여 AR 계수를 구하고 여러 개의 이진 분류기를 결합한 다중 클래스 SVM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최적의 SVM 성능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부정맥 분류에 적용한 결과 검출의 정확성은 96.8%~99.5%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EMD 방법에 의한 전처리 및 특징 추출과 다중 클래스 SVM에 의한 부정맥 분류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TOF 완전교정술후 발생한 심실빈맥의 외과적 절제술 -치험1례보고- (Surgical Treatment of Ventricular Tachycardia After Total Correction of Tetralogy of Fallot- Report of a case)

  • 장병철;김정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39-645
    • /
    • 1996
  • 14세 남자환자로 최근 3년간 반복된 심계항진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8년전에 TOF로 진단받고 완전교정수술을 받았다. 수술 전 심도자 검사에서 우폐동맥폐쇄와 그에 따른 우심실압력상승을 보였고 전기 생 리학검사에서는 우심실유출로의 중격부위 에서 기 원하는 회귀성 심실빈맥으로 진단되 었다 한 개의 양극성 전극을 이용한 심실외막전기도검사에서 심실빈맥의 회귀성회로는 첩포 원위부 좌측 의 심실중격쪽 심근에서 가장 빨리 나타나 시계방향으로 청포주위를 돌아 우심실유출로 우측 심근을 활 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4채널 심장전기도시스템을 이용한 심실심외막전기도 검사에서는 우심실유출로의 첩 포주위를 )20 msec 주기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귀하는 심실빈맥을 관찰할 수도 있었 다. 수술은 우심실유출로의 첩포와 섬유화된 조직을 제거하고 우심실유출로 상연에서 폐동맥 판막륜까지 절개를 하여 회귀성 회로가 차단되도록 하였다. 폐동맥 판막륜과 심실중격사이 에는 회귀성 회로가 완전히 차단되도록 냉동병소를 만들었다. 우폐동맥이 발달되지 않아 우폐동맥재건술은 하지 못하였다. 수술후 전기생리학 검사에서는 더 이상심 퓟窄팀\ulcorner유발되지 않았다. 본 증례에서는 TOF완전교정수술후 우심실유출로 첩포와 일부 우심실 심근주위에 slow conduction지 대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한 macro-reentry심실빈맥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약물로서 치료되지 않을 때는 catheter ablation이나 외과적 절제를 고려해야 한다. 외과적 절제를 할 때에는 우심실유출로와 폐동 맥 판막륜사이의 심근조직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우심실유출로재건을 하는것이 중요하다.성 거부반응 1례, 크기불일치 에 의한 만성 이식부전증이 1례, 천식 발작에 의한 호흡부전이 1례, 지주막하출혈 1례, 체액 성 거부반응이 의심되는 경우가 1례 였다. 이상의 단기간성적을 통해 심장이식분야에서 더욱 발전을 요하며, 특히 이식공여자 및 수혜자의 선택 이나 술후 감염관리 및 체 액성거부반응치료 등에서 더욱 진전이 있어야 하겠다.07m', 동맥 혈 산소포화도는 83.0$\pm$3.8 % 이었다. 우폐동맥의 지름은 9.0$\pm$ 1.5 mm, 좌폐동맥의 지름은 7.7 $\pm$2.Omm, 폐동맥 지수는 197.3$\pm$57.1 mm2/m2, McGoon 비는 1.76$\pm$0.32 였다 수술후 전 환자에서 폐동맥 압력을 측정하였으며 평균 폐동맥 압은 12.8 $\pm$3.6mmHg이 었다. 환자의 성장에 따라 폐동맥의 지름도 증가하였으나 폐동맥 지수나 McGoon비는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환자의 나이, 술후 동맥혈내 산소포화도의 증가 정도, 혈관 성형술 여부, 수술후 심도자 및 혈큰조 영술까지의 기간 등은 수술후의 폐동맥 지수의 증가에 영향을미치지 못하였으며 단지 수술전의 폐동맥 의 크기가 매우 작을 경우(McGoon 비 1.2 미만)에는 폐동맥 지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수술 \ulcorner 동반된 폐동맥 성형술등의 영향이 있었음을 감안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수술전 폐동맥 크기에 대한 지표로서 폐동맥 지수(PAI)와 McGoon 비(MGR)와는 다음과 같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Classification of Electrocardiograph Arrhythmia Patterns using Fuzzy Support Vector Machines

  • Lee, Soo-Yong;Ahn, Deok-Yong;Song, Mi-Hae;Lee, Kyoung-J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1권3호
    • /
    • pp.204-210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fuzzy support vector machine ($FSVM_n$) pattern classifier to classify the arrhythmia patterns of an electrocardiograph (ECG). The $FSVM_n$ is a pattern classifier which combines n-dimensional fuzzy membership functions with a slack variable of SVM.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lassifier, the MIT/BIH ECG database, which is a standard database for evaluating arrhythmia detection, was used. The pattern classification experiment showed that, when classifying ECG into four patterns - NSR, VT, VF, and NSR, VT, and VF classification rate resulted in 99.42%, 99.00%, and 99.79%,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FSVM_n$ shows better pattern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SVM and FSVM algorithms.

Reperfusion Arrhythmia에 관한 연구 II. 폐색성 부정맥과 Reperfusion Arrhythmia와의 관계 (A Study on Reperfusion Arrhythmia II. Relationship between Occlusive Arrhythmia and Reperfusion Arrhythmia)

  • 최인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81-290
    • /
    • 1989
  • To gain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occlusive arrhythmia(OA) and the incidence of reperfusion arrhythmia(RA), this study used 25 open-chest dogs anesthetized with halothan, these were ligated between anterior ventricular branch and marginal branch of left circumflex artery for 30 minutes and occlusive arrhythmia were observed during the ligation. After releasing of the ligation, TA were observed during 5 minutes.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 1. Such arrhythmias as ventricular fibrillation(VF), short run type VPC Premature contraction(VPC), Venticular tachycardia(VT), ventricularc and trigeminy VPC(TVPC) were observed during occlusion and reperfusion. 2. The cases occurred VT, SRVPC and TVPC during occlusion necessarily were Incidence of RA. 3. RA never occurred without appearence of occlusive arrhythmias. 4. The occurrence rate of OA showed 55.5% in the incidence group of RA and 24.6% in the non incidence group of RA. 5. The occurrence rate of VPC during occlusion showed 9.9+5.85(episode/min) in the incidence group of RA and 4.46+5.88(episode/min) in the non-incidence group of RA. These results may be estimated that the occurrence of VT, SRVPC and TVPC, and the high occurrence rate of VPC during occlusion can be predicted the incidence.

  • PDF

흰쥐에서의 관상동맥 결찰/재관류로 유도된 부정맥에 대한 benzopyran계 $K^+$ channel opener의 전기생리학적인 효과 (The Electrophysiological Effects of Benzopyran Potassium Channel Openers on Coronary Artery Occlusion/Reperfusion-induced Arrhythmias in the Rat)

  • 이재흥;신화섭;권광일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2-40
    • /
    • 1996
  • The electrophysiological effects of benzopyran potassium channel openers (PCOs: lemakalim, KR-30450 and KR-30818) on the ischemia/reperfusion-induced arrythmias were investigated. In anesthetized rats, subjected to 45 min occlusion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LAD) followed by 90 min reperfusion, ventricular arrythmia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Lambeth Conventions by lead II ECG. Rats were intravenously given vehicle ($1\%$ DMSO), lemakalim, KR-30450, and KR-30818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selective $K_{ATP}$ blocker glibenclamide, 30 min prior to coronary occlusion. Compared to vehicle, lemakalim ($30{\mu}g/kg$ i.v.), the active enantiomer of cromakalim, had a tendancy to increase the duration of ventricular tachycardia (Vl) and ventricular fibrillation (VF), the number of premature ventricular complexes (PVC) and the incidence of VF, especially in the early post-occlusion peroid ($0\~15$ min), while increasing ST-segment elevation. Both KR-30450 ($30{\mu}g/kg$, i.v.) and KR-30818 (30, $100{\mu}g/kg$, i.v.) showed similar proarrhythmic effects to lemakalim (PVC, duration of VT, and incidence of VF) with a tendancy to decrease the duration of VF and ST-segment elevation. Unlike other PCOs, however, glibenclamide (0.3, 1.0 mg/kg) had opposite effects on the induction of arrhythmias (PVC, the duration of VF); it had a tendancy to increase the duration of VT with a slight elevation of ST-segment. It seems likely that glibenclamide (0.3 mg/kg, i.v.), reduced the effects of lemakalim or KR-30450 ($30{\mu}g/kg$, i.v.) on arrhythmias (PVC, VT, VF and ST-seg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coronary occluded rat model of ischemia, lemikuiln and KR-30450 exert a proarrhythmic activity, the effect being considered related to the opening of KATP channel.

  • PDF

General anesthesia using propofol infusion for implantation of an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in a pediatric patient with Andersen-Tawil syndrome: a case report

  • Seyeon Park;Wonjae Heo;Sang-Wook Shin;Hye-Jin Kim;Yeong Min Yoo;Hee Young Kim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3권1호
    • /
    • pp.45-51
    • /
    • 2023
  • Andersen-Tawil syndrome (ATS) is a rare genetic disease characterized by a triad of episodic flaccid muscle weakness, ventricular arrhythmias, and physical anomalies. ATS patients have various cardiac arrhythmias that can cause sudden death. Implantation of an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ICD) is required when life-threatening cardiac arrhythmias do not respond to medical treatment. An 11-year-old girl underwent surgery for an ICD implantation. For general anesthesia in ATS patients, anesthesiologists should focus on the potentially difficult airway, serious cardiac arrhythmias, such as ventricular tachycardia (VT), and delayed recovery from neuromuscular blockade. We followed the difficult airway algorithm, avoided drugs that can precipitate QT prolongation and fatal cardiac arrhythmias, and tried to maintain normoxia, normocarbia, normothermia, normoglycemia, and pain control for prevention of sympathetic stimulation. We report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general anesthesia for ICD implantation in a pediatric patient with ATS and recurrent V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