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tricle function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4초

대동맥판역류증과 좌심실수축말기용적 확장이 있는 환자에서 좌심실최고수축기압/수축말기용적비와 판막치환후의 증상적 호전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Left Ventricular Peak Systolic Pressure/End-Systolic Volume Ratio and Symptomatic Improvement with Valve Replacement in Patients with Aortic Regurgitation and Enlarged End-Systolic Volume)

  • 김웅한;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8호
    • /
    • pp.867-874
    • /
    • 1996
  • 이 연구는 대동맥판역류증이 있으면서 좌심실수축말기용적(left ventricular end-systolic volullle)이 커져있는 환자에서 수술전 좌심실 최고수축기압수축말기용적비(left ventricular peak systolic presslle/end-systolic volume ratio)를 판막치환후의 증상적 호전 판단의 자료로서의 적용 여부를 검토하기위한 것이 다 대상은 중정도 이상의 대돈맥판역류증이 있고다른 심혈관계의 이상이 없으면서 좌심실수축말기용적이 60mm2 넘는 21명(남 15, 여 6, 15까에서 60세가지 연령 분포)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도자시 통 상적으로 측정하는 여러 변수와 판막치환후 증상적 호전과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수술 6개월후 증세의 호전이 13명(62%)의 환자에서 있었고, 8명(38%)에서는 증세의 변화가 없었다. 복합변수분석을 통해서 좌심실최고수축기압$\boxUl$수축말기 용적 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수술 a개월후의 기능적분류상태(p=0.005)와 수술전에 비해 수술 6개월후 기능적분류상태의 변화 정도(p=0.032)를 판단 하는 지표임을 나타냈었다. 판막치환 6개월후 비가 1.71 mmHg/ml/m2 이상되는 모든 환자는 기능상태 I 혹은 II를 유지한 반면 비가 1.71 mmHg ml/m2 미만인 환자에서는 40%가 기능적분류상태 III이 있다. 좌심실 수축말기 용적이 60 ml/m2 이상 커져 있는 대동맥 판역류증 환자에서 좌심실최고수축기 압1수축 말기용적비는 판막치환후의 증상적 호전을 예측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심근 경색에 합병된 심실중격결손의 외과적 고찰 (Surgical Analysis of the Postinfarction Ventricular Septal Defect)

  • 조유원;이현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32-37
    • /
    • 1996
  • 본 서울중앙병원에서는 1991년 5월에서 1995년 9월까지 심근경색후 합병된 심실중격결손증 7례 환자의 수술을 시행 하였다. 남자환자가 2명, 여자환자가 5명 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5세 (범위 : 54~76)였다. 심실중격결손의 위치는 전중격 결손이 6명이 었으며, 전후중격 경계부 심실중격결손이 1명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술전 심초음파와 심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심실기능과 관상동맥 병변의 위치를 파악하였다. 수술은 심근괴사후 평균 24 $\pm$ 12일 후에 시행하였다. 좌심실 심근괴사 조직을 통하여 Teflon patch로 봉합하였고, 추가적인 수술로 3명 환자에서는 관상동맥 우회 술을 시행하였고, 5명 환자에서 심실류 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1명 환자에서 좌심실혈전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심실중격결손의 봉합시 중격근육전층을 통하여 interuptted pledget 봉합함으로써 심실중격 결손 재발을 막으려고 노력하였으며, 수술후 합병증으로는 폐렴 1명, 좌측대퇴부 피부괴사 1명이 있었다. 조기 사망률은 없었고 외국으로 이민간 1명을 제외하고 6명 모두 수술후 3개월에서 63개월 사이(평균28개월)에 추적 조사상 합병증이나 사망 없이 NYHA I-II상태로 생활하고 있다.

  • PDF

Ischemia에 의해 유발된 흰쥐의 적출 심장 손상에 대한 Cyclobuxine D의 보호효과 (Effects of Cyclobuxine D on the Derangement Induced by Ischemia and Reperfusion in the Isolated Rat Heart)

  • 이종화;문창규;권준택;조병헌;김유재;김종배;김창호;차영덕;김영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12
    • /
    • 1990
  • 흰쥐로 부터 심장을 적출하여 Langendorff 관류장치에 현수하여 Krebs-Hensleit 영양액으로 분당 12ml속도로 30분간 관류시킨 후 관류 속도를 분당 1ml로 줄여(ischemia)60분간 관류시키면, 적출심장의 수축력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resting tension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 적출심장으로부터 유출되는 관류액의 250nm에서의 UV흡광치는 증가되었으며, 좌심실내의 칼슘의 농도는 대조군보다 상당히 증가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흰쥐에서 항염증작용, 혈압강하 및 서맥 작용, 평활근 및 심장근에서 근이완작용을 나타내는 cyclobuxine D의 ischemia에 의해 유도된 심장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Cyclobuxine D(100ng/ml)는 ischemia에 의해 유발된 적출심장의 수축력 감소와 resting tension의 증가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심장으로부터의 ATP metabolites의 유출과 좌심실내의 칼슘 축적을 억제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Cyclobuxine D가 ischemia에 의해 유발된 손상으로 부터 심장을 보호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cyclobuxine D의 심장세포내의 칼슘 유입 억제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

Increased Expression of ATP-sensitive $K^+$ Channels Improves the Right Ventricular Tolerance to Hypoxia in Rabbit Hearts

  • Choi, Seong-Woo;Ahn, Jun-Seok;Kim, Hyoung-Kyu;Kim, Na-Ri;Choi, Tae-Hoon;Park, Sung-Woo;Ko, En-A;Park, Won-Sun;Song, Dae-Kyu;Han, 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5권4호
    • /
    • pp.189-194
    • /
    • 2011
  • ATP-sensitive $K^+$ channels ($K_{ATP}$) are major component of preventing ischemia-reperfusion injury.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regarding to the expressional difference of $K_{ATP}$ and its function between left and right ventricle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lactate dehydrogenase release of rabbit heart slices in vitro and determined the difference of the $K_{ATP}$ expression at the both ventricles by measuring the level of $K_{ATP}$-forming Kir6.2 (OcKir6.2) mRNA using in situ hybridization. The hearts were preconditioned with 15 min hypoxia and reoxygenated for 15 min before a hypoxic period of 60 min, followed by reoxygenation for 180 min. With hypoxic preconditioning (100% $N_2$) with 15 min, left ventricles (LV) showed higher release of LDH comparing with right ventricles (RV). Adding $K_{ATP}$ blocker glibenclamide ($10{\mu}M$) prior to a hypoxic period of 60 min, hypoxic preconditioning effect of RV was more abolished than LV. With in situ hybridization, the optical density of OcKir6.2 was higher in RV. Therefore, we suggest that different $K_{ATP}$ expression between LV and RV is responsible for the different response to hypoxia and hypoxic preconditioning of rabbit hearts.

심장외폰탄수술의 조기성적 (Early Results of Extracardiac Fontan Operation)

  • 김웅한;정도현;김수철;전홍주;이창하;김욱성;오삼세;정철현;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7호
    • /
    • pp.650-659
    • /
    • 1998
  • 부천세종병원에서는 '96년 8월부터 '97년 8월까지 22명의 환자에게 심장외폰탄 (extracardiac Fontan) 수술을 시행하였다. 남자 14명, 여자 8명이었으며, 진단별로는 단심실증 16명(우심실형 12명, 좌심실형 4명), 삼첨판폐쇄증 4명, 좌측이소성(left isomerism), 대혈관전위증, 심실중격결손증이 있으면서 폐동맥협착증이 있는 환자 1명, 그리고 Criss-Cross 심장이면서 비대칭심실이 있는 1명이었다. 연령은 22개월부터 26세까지 분포하였고 폐동맥압은 평균 11.7$\pm$3.1 mmHg이었다. 선행수술로 양방향성대정맥폐동맥단락술(bidirectional cavopulmonary shunt)을 시행한 환자가 15명으로 평균 15.6$\pm$3.4개월의 기간을 두고 수술을 시행하였고, 고전적 글렌 수술 후 14년만에 Fontan 수술을 시행한 환자가 1명 있었다. 전대정맥폐동맥단락술(total cavopulmonary shunt, Kawashima operation)후 폐동-정맥루(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발생으로 평균 37.5$\pm$20개월만에 수술을 받은 환자가 4명 있었고, 2명의 환자는 선행수술 없이 심장외폰탄수술을 시행하였다.

  • PDF

흰쥐 심근경색 모델에서 혈장 Atrial Natriuretic Peptide의 변화 (Changes of the Plasma Atrial Natriuretic Peptide during Myocardial Infarction in Rats)

  • 안동춘;김인식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8-153
    • /
    • 2012
  •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은 여러 가지 다양한 심근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심근경색에서 ANP의 변화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흰쥐 심근경색 모델을 활용하여 혈장내 ANP의 변화를 살펴보아 심근경색에서 ANP의 역할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수컷 흰쥐 60일령에서 왼심장동맥을 결찰 하여 심근경색 모델을 만들었고 개흉하여 sham 대조군을 삼았다. 각각의 실험군과 대조군을 수술 후 1, 3, 6, 12, 18시간과 1, 3, 5, 7, 14 및 30일에 희생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심근경색의 크기는 planimetry와 perimetry법을 적용하여 측정하였고 혈장내 ANP 농도는 방사면역측정법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왼심장동맥을 결찰한 실험군에서 평균 심근경색의 크기는 왼심실의 39.6-44.5%이었고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혈장내 ANP 농도는 심근경색 후 1, 3, 6, 12, 18 및 24시간에 대조군에 비하여 명확하게 증가하였으나 3, 5, 7, 14 및 30일령에서 ANP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컷 흰쥐에서 혈장내 ANP 농도는 심근경색 초기에 명확하게 증가함을 입증하였고 급성심근경색의 진단을 위한 생체표지인자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관상동맥 폐동맥 이상 기시증의 외과적 치료 후 좌심실 및 승모판 기능의 변화 (Changes of Ventricular Function and Mitral Regurgitation after Repair of Anomalous Origin of Coronary Artery from the Pulmonary Artery)

  • 이정렬;오세진;김웅한;김용진;노준량;배은정;노정일;윤용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8호
    • /
    • pp.523-528
    • /
    • 2005
  • 배경: 좌관상동맥 폐동맥 이상 기시증의 수술적 치료 후 좌심실 기능 및 승모판 폐쇄부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4월부터 2002년 7월까지 12명의 환자가 좌관상동맥 폐동맥 이상 기시증으로 외과 교정을 받았다. 연령의 중앙값은 4개월이었고 10명의 환자가 관상동맥 전이술을, 1명이 Takeuchi수술, 1명이 복재정맥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 받았다. 승모판 성형술은 1명에서 동시에 시행하였고 나머지 모든 환자들에서 승모판 폐쇄부전의 정도와 관계없이 승모판에 대한 성형술 및 치환술을 하지 않았다. 결과: 수술로 인한 조기사망은 2명$(16.7\%)$이었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7.1\pm4.14년(7개월$\sim$13년)이었다. 4명의 환자에서 수술 후 $2.2\pm1.1$일의 순환 보조가 필요하였고 그 중 좌심실 보조 장치를 사용한 경우가 1명 있었다. 수술 후 좌심실 단축율은 $17.7\pm9.6\%$에서 $33.4\pm9.1\%$으로 증가하였고(p<0.05) 좌심실 이완기말 직경의 평균값은 $41.8\pm7.0\;mm에서 $33.1\pm7.3\;mm로(p<0.05), 수축기말 직경의 평균값은 $33.4\pm7.9\;mm에서 $22.2\pm7.5 \;mm로(p<0.05) 각각 감소하였다. 수술 전 승모판 폐쇄부전은 생존 환자 모두에서 수술 후 1년째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상호전이 관찰되었고, 이후 4년 추적관찰 도중에도 점진적으로 호전되었다. 추적관찰 도중 2명의 환자가 재수술을 받았는데 수술 후 3도 이상의 승모판 페쇄부전이 남아 승모판 성형술을 시행하거나 Takeuchi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우심실 유출로 협착으로 인해 재수술하였다. 걸론: 좌관상동맥 폐동맥 이상 기시증은 수술적 교정, 특히 관상동맥 전이술을 시행한 경우 훌륭한 단기 및 장기 성적을 보였으며 좌심실 기능 및 승모판 페쇄부전증의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승모판 폐쇄부전에 대한 동반 수술 적응증에 대한 지표는 지속적으로 탐색해야 할 것이다

빈맥을 이용한 심부전 모델에서 회복궤도 (Recovery Trajectory in Tachycardia Induced Heart Failure Model)

  • 오중환;박승일;원준호;김은기;이종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22-427
    • /
    • 1999
  • 배경: 빈맥을 이용하여 심부전을 만드는 방법은 확장성 심근증 모델 중에서 가장 좋은 방법으로 심장에 외과적 손상 혹은 약물의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람의 심부전에 가장 가까우며 조작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새로운 술식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심부전이 진행중인 모델에서 동물실험을 시행하는 것은 결과를 얻기 전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심부전의 진행을 중지시킨 회복궤도의 변화를 비교하는 방법은 심부전 악화에 의한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지만 빈맥 조작 기술에 따라 저자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어 이에대한 자료의 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21마리의 개(체중 25-35kg)를 대상으로 1)정상의 심장, 2) 심부전 심장, 3) 회복기 4주 4) 회복기 8주 등 4가지로 나누었다. 전신마취하에 우심실첨부에 박동기 전극을 삽입하여 빈맥은 처음 170회/분부터 매주 20회씩 프로그래머를 이용하여 증가시켰다. 4주 후 심부전이 발생하면 8주간의 회복기 동안 회복 궤도를 추적하였다. 심장의 크기와 혈역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초음파는 2주마다, Swan-Ganz 도자와 열희석법은 4주마다 검사를 실시하여 이완기 말기 좌심실 체적, 수축기말기 좌심실 체적, 심박출율,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폐동맥 쐐기압, 우심실압, 일회박출량 등을 측정하였으며, 정상과 심부전 심장 상태에서 혈중 카테콜라민을 측정하였다. 그 외 심전도 및 대퇴동맥 도자를 넣어 맥박수, 혈압을 측정하였다. 정상심장, 심부전 심장, 회복기 4주 및 8주에서 측정한 값은 평균$\pm$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결과: 4마리(20%)가 심부전에 의한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이완기 말기 좌심실 체적은 측정시기에 따라 40.8$\pm$7.4, 82.1$\pm$21.1, 59.9$\pm$7.7, 46.5$\pm$6.5ml로 수축기말기 좌심실 체적과 비슷한 변화양상을 보였으며 심박출율은 50.6$\pm$4.1, 17.5$\pm$5.8, 36.3$\pm$7.3, 41.5$\pm$2.4%였다. 혈압과 맥박은 의의 있는 양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중심정맥압, 우심실압, 폐동맥압, 폐동맥 쐐기압 등은 심부전 시에 의의 있는 증가를 보이다가 회복기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일회박출량은 21.5$\pm$8.2, 12.3$\pm$3.5, 17.9$\pm$4.6, 15.5$\pm$3.4ml으로 회복기에 심부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혈중 카테콜라민은 정상 133.3$\pm$60.0pg/dL에서 심부전 시에는 479.4$\pm$327.3pg/dL로 증가를 보였다(p=0.008). 결론: 빈맥을 이용한 심부전 모델은 외과적손상이 적고, 병의 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이다. 회복기에는 심기능 및 심장비대가 회복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향후 새로운 술식의 평가를 위하여 회복 궤도를 이용하는 경우 실험 동물의 심부전 악화에 의한 사망율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 PDF

B-type Natriuretic Peptide 수치와 이완기 심초음파 파라미터와의 연관성 연구 (Studies for B-type Natriuretic Peptide Values and Its Association with Diastolic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 배성조;권기상;이은령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94-400
    • /
    • 2016
  •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와 심초음파는 심부전 진단과 예후를 판단하는 지표로써 수축 기능이상에 많은 연구를 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BNP 결과와 심초음파 이완 기능을 나타내는 항목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BNP 검사와 심초음파를 실시한 188명을 대상으로 BNP 결과에 따라 5그룹으로 분류하고, 심초음파의 좌심실 구혈률, 좌심방 크기, E velocity, A velocity, Deceleration time, E/A ratio, E', A', S', E/E'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그 중 심부전을 진단 받은 67명을 Relaxation abnormality (Grade I), Pseudonormalization (Grade II), Restrictive physiology (Grade III)로 등급을 분류하고 BNP 결과와 심초음파 항목을 비교한 결과 BNP 수치가 상승할수록 심초음파 항목 중 좌심실 구혈률, 좌심방 크기, E/A ratio, Deceleration time, A', S', E/E'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룹간의 비교에서 E/E' 항목이 가장 좋은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심부전 환자의 등급 분류에 따른 BNP 결과는 $623.0{\pm}459.7pg/mL$, $1013.2{\pm}1155.1pg/mL$, $1693.4{\pm}1544.0pg/mL$로 유의성이 있었으며(p<0.01), 등급이 올라갈수록 심초음파 항목 중 좌심실 구혈률, 좌심방 크기, E velocity, A velocity, E/A ratio, Deceleration time, A', E/E' 와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BNP 결과가 상승할수록 심초음파 이완기 항목과 유의성이 있었고, 심초음파에서 Restrictive physiology 그룹의 BNP 결과가 가장 높았다.

심근의 단독 비경화증(Isolated Noncompaction of Ventricular Myocardium)의 임상 양상 (Clinical Features of Isolated Noncompaction of the Ventricular Myocardium)

  • 문은경;이훈영;장미영;길홍량;정용헌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2호
    • /
    • pp.1528-1533
    • /
    • 2002
  • 목 적: 심근의 단독 비경화증은 성인을 대상으로 산발적인 보고가 있었으나 소아에서는 정확한 혈역학적인 양상, 장기적인 예후, 유전 양상 등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심근의 단독 비경화증을 보이는 환자군의 임상 양상, 혈역학적인 성상과 경과, 형태학적 특성 및 유전양상 등을 평가하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충남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심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심근의 단독 비경화증으로 진단받은 10명(남아 5명, 여아 5명)을 대상으로 임상 양상, 혈역학적인 성상과 경과, 형태학적 특성 및 유전양상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환자들의 진단시의 평균 연령은 $45{\pm}53$개월(1일-14세)이었으며,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33{\pm}19$개월이었다. 남녀비는 동일하였다. 심초음파 검사시 발현 증상은 부정맥 3명, 태아 초음파 검사상 서맥 2명, 심잡음 4명이었다. 다른 심기형이 동반된 환자는 6명으로, 3명은 심실중격결손 또는 심방중격결손이 있었고, 2명은 승모판 탈출증이 동반된 동맥관 개존증, 1명은 승모판 열극이 있었다. 2명에서 심전도상, II, III, aVF 유도에서 T파의 하강이 관찰되었고, WPW 증후군의 환자는 1명으로 발견 당시 발작성 상실성 빈맥이 동반되었다. 2명에서 가족성 동기능 장애가 발견되었으며, 제 3도 방실 차단이 1명의 환자에서 있었다. 심초음파 검사 상 지주 간 고랑의 정도는 승모판 수준에서 심첨부로 갈수록 심하였다. 가족적 발생을 보인 2명에서 가족성 동기능 장애를 동반하였다. 추적관찰 중 대부분의 환자는 무증상이나, 2명에서 좌심실수축기능 저하가 있었고, 이 중 1명은 심한 동기능 장애로 영구 심박 조율기 삽입 시술이 필요한 상태이다. 결 론 : 소아에서 심근의 단독 비경화증은 아주 드문 질환은 아니며, 성인과 마찬가지로 심근기능 장애 및 심각한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꾸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또한 가족적 발생을 할 수 있으므로 환자 가족 내 선별 검사를 해야 하며, 심근의 단독 비경화증의 정확한 빈도, 장기적 예후, 진단기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도 광범위한 다기관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