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eer grafting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상악골에서 Veneer 골이식과 동반된 즉시 임프란트 매식

  • 정종철;최재선;김호성;성대경;이계혁;최재욱;김영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7권1호통권356호
    • /
    • pp.62-68
    • /
    • 1999
  • Patients who present with severe maxillary bone loss Secondary to trauma or resorption provide a unique diagnosis and difficulty in implant installation.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bone grafting methods and graft materials can be used in these compromised cases. But for the patients required wide reconstruction, autogenous iliac bone has been used widely because of easy harvesting of much corticocancellous bone. Usually, implant installations are performed 6-12 months later after grafting. but this method necessary long treatment period and additional surgery. To avoid this disadvantages, bone grafting with immediate implant installations are frequently used. But special care is necessary to prevent postoperative complication in this method. We present three cases of veneer grafting with immediate implant installation. These patients had a knife-edge shaped alveolar bone due to labial alveolar bone loss. We reconstructed this alveolar bone with veneer grafting with iliac bone and performed immediate implant installation. There was no complications during healing periods in these three cases. Six months later, we found good survival of grafting bone and osseointegration of these implants, so we could perform prosthetic treatment successfully.

  • PDF

태산목(泰山木)의 접목(接木)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III보(報)) (Studies on the Grafting of the Magnolia grandiflora L. (III))

  • 이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5
    • /
    • 1975
  • 본(本) 연구(硏究)는 태산목(泰山木)의 적합(適合)한 접목방법(接木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목련을 대목(臺木)으로 하여 접수(接穗)의 삭면(削面)에 삭편(削片)을 부착(附着)시키는 수정절접법(修正切接法)을 실시(實施)하고 특(特)히 환경조절(環境調節)을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이 종합(綜合)되는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대목(臺木)은 목련 2년생(年生)의 실생묘(實生苗)가 가장 적합(適合)하였다. 2. 수정절접법(修正切接法)의 활착성적(活着成績)은 43.0-89.5 %를 나타내므로 이 법(法)은 매우 효과적(効果的)인 방법(方法)이다. 3. Vinyl tunnel과 발(screen)에 의(依)한 환경조절(環境調節)은 89%의 활착율(活着率)를 나타내므로 매우 효과적(効果的)인 방법(方法)이 된다고 지적(指摘)할 수 있다. 4. 접수(接穗)는 동아(冬芽)가 충실(充實)한 1-2년생지조(年生枝條)를 가능(可能)한 한(限) 접목직전(接木直前)에 채취(採取)하여 사용(使用)하는 것이 좋았다. 5. 광주지방(光州地方)의 접목적기(接木適期)는 4월(月) 15-20일(日)이 적합(適合)하였다.

  • PDF

절접에 의한 헛개나무(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신품종(풍성 1, 2, 3호)의 증식 (New Cultivars Multiplication of Oriental Raisin Tree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by Veneer Grafting)

  • 송정호;김세현;김혜수;김문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3-187
    • /
    • 2014
  • 헛개나무(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Korea raisin tree)는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식 약용 수종으로서 밀원수종으로도 가치가 증대되고 있는 수종이다. 본 연구는 헛개나무의 절접에 의한 접수의 채취시기와 연령 및 비닐하우스 설치에 따른 접목활착율의 효과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헛개나무 신품종은 절접에 의한 접목 결과 클론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온대 북부 권역에서는 휴먼기인 춘분 전에 접수를 채취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비닐하우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86% 이상의 높은 접목 활착율을 얻을 수 있다. 접수 연령은 1년지가 가장 적합하며 접목 후 비닐터널을 설치하여 접목상을 관리하면 80% 이상의 높은 접목활착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lmond의 종간접목(種間接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Interspecific Grafting of Almond)

  • 박교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18
    • /
    • 1979
  • 본(本) 연구(硏究)는 유지자원(油脂資源)과 고급식물성(高級植物性) 및 단백질식품자원(蛋白質食品資源)으로서 중요시(重要視)되고 있고 특히 ice cream, candy roast, chocolate, 제과(製菓)및 화장품안료(花粧品顔料), 조미료등(調味料等)에 널리 쓰이고 있는 Almond의 산지개발(山地開發)로 식품자원(食品資源)을 충족(充足)하고자 우선 이들 clone 육성(育成)을 위(爲)한 접목친화력(接木親和力)이 강한 태목(台木)과 실용적(實用的)인 접목기술(接木技術)을 개발보급(開發普及)하고자 온실내(溫室內)에 온도(溫度)와 습도(濕度)를 완전자동조절(完全自動調節)할 수 있는 온실(溫室)을 만들어서 절접방법(切接方法)을 택(擇)한다음 태목용수종(台木用樹種)은 Prunus persica와 Prunus mandshurica를 사용(使用)하고 접수(接穗)는 Hall's hardy Almond, Nonpareil, Kapareil 및 Thompson을 사용(使用)하여 종간접목(種間接木)을 실시(實施)해서 태목별(台木別) 및 품종별(品種別)로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Almond는 Prunus persica가 Prunus mandshurica에 비(比)하여 보다 접목친화력(接木親和力)이 강했다. 2. Hall's hardy Almond를 P. persica와 P. mandshurica태목(台木)에 종간접목(種間接木)을 실시(實施)한바 P. persica는 95.33%, P. mandshurica는 92.66%의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을 얻었고 이들 태목간(台木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3. Sweet Almond 품종(品種)들은 Prunus persica 태목(台木)이 Prunus persica 태목(台木)에 접목(接木)하는 것보다 접목친화력(接木親和力)이 강하고 이들 2개수종(個樹種)을 접목(接木)할 경우 태목간(台木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4. Prunus persica 태목(台木)에 접목(接木)된 종간접목묘(種間接木苗)는 Thompson 92.66%, Nonpareil 90.66%, Kapareil 89.33% 순위(順位)의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을 보였다. 5. Prunus mandshurica 태목(台木)에 접목(接木)한 것은 Thompson, 87.66%, Nonpareil 87.00% 그리고 Kapareil 85% 순위(順位)의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을 보였다. 6. 이들 2개수종(個樹種)의 태목(台木)과 3개품종(個品種)의 접수(接穗)와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을 분산분석(分散分析)한 결과(結果)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7. Hall's hardy Almond를 접수(接穗)로하여 Prunus persica를 태목(台木)으로 한 종간접목묘(種間接木苗)의 생장량(生長量)은 평균묘고(平均苗高) 161cm, 근원경(根元莖) 12.3mm 그리고 근장(根長) 21.5cm의 우량묘(優良苗)를 얻을수 있었다. 8. Prunus mandshurica를 태목(台木)으로 한 종간접목묘(種間接木苗)는 Prunus persica보다 6~8일(日) 빨리 접수(接穗)의 동아(冬芽)로부터 개엽(開葉)이 빨르고 또한 본엽(本葉)의 색(色)이 보다 농녹색(濃綠色)을 띠었다. 9. 온수(溫水)보일러와 미스트스프레이에 의한 자동조절장치(自動調節裝置)는 매우 편리하고 접목활착(接木活着)에 미치는 환경요인조정(環境要因調整)에 큰 효과(効果)가 있었다. 10. Almond는 온실내(溫室內)에서 일년생태목(一年生台木)에 절접법(切接法)을 활용(活用)하면 매우 손쉽게 다량(多量)의 우수한 접목묘(接木苗)를 생산(生産)하는데 효과적(効果的)이었다.

  • PDF

Filberts 종간접목(種間接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Interspecific Grafting on Filberts)

  • 박교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1-56
    • /
    • 1978
  • 본(本) 연구(硏究)는 식물성고급단백질(植物性高級蛋白質)과 지방질식품(脂肪質食品)으로서 유지자원(油脂資源)과 Instant 및 미래식품(未來食品)의 주요자원(主要資源)이 되고 있는 경제성(經濟性)이 높은 European 및 American Filbert를 다량증식(多量增殖) 보급(普及)할 수 있는 합이적(合理的)인 접목방법(接木方法)과 대목(臺木)을 개발(開發)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재래종(在來種) Filbert와 종간접목(種間接木)을 실시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Korean Filbert인 C. heteropylla 및 C. sieboldiana를 대목(臺木)으로 한 European 및 American Filbert와의 종간접목(種間接木)에서는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이 높고 안목친화력(按木親和力)이 강(强)하게 나타났다. 2. 접종(接種)의 품종별(品種別) 실험(實驗)에서는 Barcelona, American, Duchilly의 순서(順序)로 활착율(活着率)이 높았고 이들 품종간(品種間)또는 수종내(樹種內)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3. 접목(接木) 유합속도(癒合速度)가 빨라서 온실접목(溫室接木) 후(後) 30일(日) 내(內)에 완전유합(完全癒合)되었으며 대목(臺木)으로 부터 신생근(新生根)의 피목(皮目)과 단근부(斷根部)의 Calluse 위에서 발달(發達)하였다. 4. 잎이 앓고 넓어서 이식(移植)에 고도(高度)의 기술(技術)을 요(要)한다. 5. 대목(臺木)의 근극근(根極根) 부위(部位)의 Bleeding 방지(防止)를 위(爲)해 단근(斷根)한 곳의 Callus 형성(形成)과 유합력(癒合力)은 신생근(新生根)이 발달(發達)한 부위(部位)가 왕성(旺盛)하고 신속 하였다. 6. 생장량(生長量)은 모수(母樹)의 유전형질(遺傳形質)보다 유시(幼時)의 생장속도(生長速度)가 빠른쪽이 생장량(生長量)이 크고 득묘율(得苗率)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밤나무 우량품종(優良品種)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징(特徵)과 증식(增殖)에 관(關)한 연구(硏究) (Morphological Traits of Selected Chestnut Races and its Propagation Studies)

  • 임경빈;권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9-62
    • /
    • 1974
  • 1. 밤나무의 세 가지 접목방법(接木方法) (박접(剝接), 절접(切接), 근접(根接))의 비교에서 박접(剝接)의 활착율(活着率)이 가장 높고 근접(根接)의 활착율(活着率)이 가장 낮았다. 그 결과(結果)에 대(對)한 분산분석(分散分析)에 있어서 5% 수준(水準)에서 세 방법간에 유의차(有意差)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목도(接木刀)와 나무의 삭면(削面)으로부터 흘러 나오는 탄닌산(酸)과 반응(反應)으로 생성(生成)되는 탄닌산철(酸鐵)의 량(量)의 차이(差異)가 그런 결과(結果)의 주요원인(主要原因)의 하나로 생각될 수 있었다. 유태접(幼台接)에 있어서 유근역위접(幼根逆位接)이 유경접(幼莖接)의 활착율(活着率)보다 약간(若干) 높았으나 분산분석(分散分析)에서 두 방법(方法) 사이에 유의차(有意差)는 있었다. 2. 밤나무잎의 대부분(大部分)의 모용(毛茸)는 맥(脈)을 제외(除外)한 잎의 대부분(大部分)에서는 성모(星毛)로 관찰(觀察)되었다. 성모(星毛)안에서 ray의 수(數)는 일반적(一般的)으로 4~8개(個)이었다. 비슷한 환경조건(環境條件)에서 자라는 각품종간(各品種間)에 ray의 수(數)가 다른 성모(星毛)의 분포율(分布率)과 ray의 길이에 있어서 1%수준(水準)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3. 거치기부(鋸齒基部)의 폭(幅)을 제외(除外)하고 수수타(手手打)$_{1,2}$, 금북(今北)$_{1,2}$ 사이에 본연구(本硏究)의 실험항목(實驗項目) 각각(各各)에서 아무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그런 결과(結果)는 본연구(本硏究)를 좀 더 유용(有用)하게 만들었다. 4. 비슷한 환경조건(環境條件)에서 자라는 품종들 안에서는 거치(鋸齒)의 장(長)과 폭(幅)에서 1% 수준(水準)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5. 모용(毛茸)의 말림, 엽록(葉錄)과 이루는 거치(鋸齒)의 각도(角度), 거치(鋸齒)안에서의 측맥(側脈)의 존재(存在), 거치내(鋸齒內)로의 주맥(主脈)의 침입(侵入), 주맥(主脈)의 넓이는 밤나무 품종식별(品種識別)의 보조수단(補助手段)으로 유용(有用)하리라는 것이 관찰(觀察)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