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hicle communication

검색결과 1,845건 처리시간 0.023초

지그비 무선통신과 웹 기반의 임베디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센서신호 감시 및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ehicle's Sensor Signal Monitoring and Control Using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eb-based Embedded System)

  • 양승현;이석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67-7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과 지그비(Zigbee)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지능형 자동차를 위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임베디드 웹서버를 구축하였다. 자동차의 모든 정보를 담고있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주제어기와 임베디드 시스템을 인터페이스 시켜 자동차의 운행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자동차의 내, 외부에 추가된 센서신호는 지그비 통신을 이용해 임베디드 시스템에 전달하도록 하였다. 임베디드 시스템을 이용해 웹서버를 구축했기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차량에 접속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상태를 실시간 감지하고 제어할 수 있다.

공용도로에서의 통신방식에 대한 전파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Radio Characteristics about Communication Mode in a Road)

  • 최기도;임기택;조형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95-101
    • /
    • 2016
  • 차량통신시스템은 차량/도로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안전 메세지를 전송하거나 지능형 교통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최근 차량용 센서와 통신 기술의 발달로 길안내와 교통체중 알림 서비스뿐만 아니라 주변 차량의 주행 정보, 도로 상태정보, 차량 간 긴급 메시지 전달 등과 같은 다양한 ITS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일반적으로 차량통신은 WAVE라고 알려져 있는 IEEE 802.11p/1609표준을 채택하여 차량간 통신 및 차량-노변기지국간 통신에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WAVE 통신 표준에 대하여 설명하고 신호 특성을 소개하였다. 또한 V2X 통신을 위해 실제 구현된 노변 기지국(RSS), 차량통신장치(OBE)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제 WAVE 통신의 성능 평가를 위해 시험도로에서 시험차량의 통신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 지수(RSS)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WAVE 통신 성능은 ITS 서비스에 충분히 가능함을 실제 시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태 추정에 의한 군집병합의 원격제어 (Vehicle Platooning Remote Control via State Estim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 황태현;최재원;김영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192-192
    • /
    • 2000
  • In this paper, a platoon merging is considered as a remote-controlled system with the state represented by a stochastic process. In this system, it becomes to encounter situations where a single decision maker controls a large number of subsystems, and observation and control signals are sent over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finite capacity and significant transmission delays. Unlike classical estimation problem in which the observation is a continuous process corrupted by additive noise, there is a constraint that the observation must be coded and transmitted over a digital communication channel with finite capaci쇼. A recursive coder-estimator sequence is a state estimation scheme based on observations transmitted with finite communication capacity constraint. Using the coder-estimator sequence, the remote control station designs a feedback controller.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stochastic model for the lead vehicle in a platoon of vehicles considering the angle between a road surface and a horizontal plane as a stochastic proces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inter-vehicle distance and the deviation from the desired inter-vehicle distance are well regulated.

  • PDF

자율주행 실험도시(K-city) 내 V2V 통신 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2V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K-city)

  • 조병찬;김동환;신재곤;김성섭;조성우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6-30
    • /
    • 2021
  • K-city is an experimental area for developing self-driving cars. V2X communications such as WAVE, C-V2X and 5G are an essential technology for autonomous driving above level 4. In this paper, the research on the V2V communication environment was carried out through BSM receiving level analysis on the driving route in K-city. A stationary vehicle communicated with a test vehicle moving along urban area and suburban road in two different scenarios. The communication range and receiving levels obtained from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velop and verify various safety scenarios using V2V communication within K-city in the future.

첨단자동차의 전자파 내성 실험 환경에 관한 연구: 외부통신 장치를 중심으로 (Electromagnetic Immunity Test Environments of Advanced Vehicles with Communication Systems)

  • 우현구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19
    • /
    • 2022
  • Recently, automobile industries have developed ADAS, smart cars, connected cars, automated driving systems, which communicate with outsides of a vehicle not only in uni-directional way but also in bi-directional wa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lectromagnetic immunity of vehicles equipped with those communication systems. The electromagnetic immunity tests are carried out in an electromagnetic semi anechoic chamber, which is cut off from the outside electromagnetically. In this study, additional test environments were designed and tested and as a result they are shown to be effective to create test environments in an experimental chamber for electromagnetic immunity tests of vehicle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systems.

자동차 V2X 통신성능 평가를 위한 제어 보드 프로토타입 구현 (Prototype Implementation of Control Board for Vehicle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Evaluation)

  • 김유원;조병찬;정혁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8-34
    • /
    • 2023
  • The Republic of Korea aims to complete the commercialisation of Level 4+ cooperative autonomous driving in 2027. It also plans to include V2X OBU in the K-NCAP evaluation items. Therefore, communication performance safety evaluation criteria for V2X OBU need to be established, and an OBU with necessary functions is needed to develop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safety evaluation technology for vehicles.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a V2X OBU control board prototype that can be used to develop a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safety evaluation technology for Level 4+ autonomous vehicles, and confirmed that the control board prototype works normally.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safety information dissemination in vehicle-to-internet networks

  • Ramesh B. Koti;Mahabaleshwar S. Kakkasageri;Rajani S. Pujar
    • ETRI Journal
    • /
    • 제45권6호
    • /
    • pp.1065-1078
    • /
    • 2023
  • In vehicular networks, diverse safety information can be shared among vehicles through internet connections. In vehicle-to-internet communications, vehicles on the road are wirelessly connected to different cloud networks, thereby accelerating safety information exchange. Onboard sensors acquire traffic-related information, and reliable intermediate nodes and network services, such as navigational facilities, allow to transmit safety information to distant target vehicles and stations. Using vehicle-to-network communications, we minimize delays and achieve high accuracy through consistent connectivity links. Our proposed approach uses intermediate nodes with two-hop separation to forward information. Target vehicle detection and routing of safety information are performed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Compared with existing vehicle-to-internet solutions, our approach provides substantial improvements by reducing latency, packet drop, and overhead.

차량 데이터센터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자원 선택 기법 (A Resource Allocation Strategy for Cloud Computing in Vehicular Datacenter)

  • 김서연;정진만;김태식;민홍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83-189
    • /
    • 2018
  • 최근 차량 무선통신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차량과 클라우드 기술을 접목한 차량 클라우드(Vehicular Cloud)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 기법들은 이동성이 있는 V2V(Vehicle-to-Vehicle)와 V2I(Vehicle-to-infrastructure)의 차량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을 하거나 중앙 서버와의 실시간 통신을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차된 차량을 클라우드 형태로 그룹화 하여 데이터센터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에 초점을 맞춘다. 먼저 주차 공간의 차량을 데이터센터의 자원으로 활용하는 차량 데이터센터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차량 데이터센터 모델에서 각 차량의 이탈율을 고려한 예상 실행시간을 계산하고 이를 활용하는 자원 선택 기법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상 실행시간 관점에서 제안된 자원 선택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더 향상됨을 보인다.

실차기반의 전기자동차 진단시스템을 활용한 교육용 컨텐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ents for Education Using Actual Vehicle-based Electric Vehicle Diagnostic System)

  • 백수황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555-56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실차기반의 전기자동차 진단시스템을 활용한 교육용 콘텐츠에 관한 연구를 대상으로 한다. 먼저, 최근 늘어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기자동차를 구성하고 있는 핵심 부품과 전기자동차의 주행모드와 동작원리에 대해서 기술한다. 또한 전기자동차 시험 장치와 특성분석을 위한 진단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실차기반의 실험 수행을 통해 주행모드에 따라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