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al history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7초

제주도 물영아리늪 퇴적물의 화분분석에 의한 식생변천 (Vegetational History of the Mulyeongari Fen by Pollen Analysis in Jeju Island, Korea)

  • 이창수;강상준;최기룡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1-350
    • /
    • 2011
  •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past vegetational changes in Jeju Island, Korea, pollen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on the sediments obtained from the Mulyeongari fen were carried out. By the results, the vegetational changes around the Mulyeongari fen from ca. 3,300 cal. yr BP to the present can be interpreted and reconstructed. The pollen record from the Mulyeongari fen was divided into two local pollen assemblage zones and three sub-pollen assemblage zones. Zone I (Quercus-Carpinus-Herbs Zone) was characterized by the predominance of Quercus(30~63%), Carpinus(9~35%) and herbs(40~424%). Zone II was characterized by three sub-pollen assemblage zones and the high occurrence ratio of the tree layer in comparison with Zone I. In Zone IIa (Quercus-Carpinus Zone), herbs(3~161%) were drastically decreased in predominance of Quercus(28~56%) and Carpinus(14~31%). In Zone IIb (Carpinus-Quercus Zone), Carpinus(36~48%) was preferentially increased but Quercus(29~39%) was slightly decreased. In Zone IIc (Quercus-Carpinus Zone), Carpinus(26~38%) was decreased inversely but Quercus(36~50%) was increased. In addition, Cyperaceae was also increased to 52%.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cool temperate southern/sub-montane vegetation composed of Quercus and Carpinus which was physiognomy of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was distributed around the Mulyeongari fen from ca. 3,300 cal. yr BP. In addition, Cyclobalanopsis(4~23%), Castanopsis(1~12%) and Myrica(under 1%) which are warm-temperate evergreen deciduous forest components were constantly appeared from this period. Accordingl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resent vegetation type around the Mulyeongari fen was formed from ca. 180 cal. yr BP.

홀로세 중 한국의 식생사 (The Vegetational History of korea During the Holocene Period)

  • 강우석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22
    • /
    • 1994
  • 홀로세 동안의 한반도 식생사와 환경변천사를 고식물상, 고기후, 고고학 고문헌등 다 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복원하였다. 10,000년 전부터 6,700년전까지 중부 동해안 지방에는 온 대성 낙엽 활엽수가 점차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서늘한 기후를 선호하는 나무들은 8,000 년 전을 기점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6,700년 전부터 4,500년 전에는 비교적 온난한 기후를 반영하는 참나무류와 잎이 2개인 소나무류등이 번성하여 약 8,000년전부터 4,500년전까지가 후빙기에 들어서 가장 따뜻했던 시기로 추측된다, 4,500년 전부터 1,400년 전까지 중부지방 에는 서늘한 기후를 선호하는 식물들이 그리고 남부 지방에는 온난한 기후를 좋아하는 식물 들이 각각 분포하여 식생과 기후의 남북차가 뚜렷했음을 알수 있다. 재배되는 벼의 화분과 초본식물의 꽃가루 및 포자의 출현은 인위적인 삼림 파괴가 커져감을 나타낸다. 1,400년 전 부터는 온대성 나무들이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서늘한 기후를 선호하는 전나무속이나 잎이 5개인 소나무 등이 출현하여 기후가 한랭해졌음을 나타내며 이는 아마도 소빙기의 출현과도 연관되어 있을것으로 본다. 한반도 중부 이남지방의 서해안과 동해안의 식생을 시, 공간적 측면에서 복원한 후 비교 검토하였다, 한반도 서해안의 경우 6,250년 전부터 1,500년 전까지 오리나무속이 우점하는 식생이 지속되었으나 1,500년 전부터는 소나무속이 이를 대치하였다 반면에 동해안에서는 10,000년 전에서 2,000년 전까지 참나무속과 소나무속이 주로 분포하여 으나 2,000년전부터는 소나무속이 우점하였다, 1425년 이래 기록된 고문헌들을 활용하여 역 사 시대 동안의 산지 식무과 재배 식물의 분포역 그리고 분포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한반도 후빙기의 저지대 식생사 (The Post-glacial Vegetation History of the Lowland in Korean Peninsula)

  • 최기룡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2호
    • /
    • pp.169-174
    • /
    • 1998
  • This is the review of vegetational history of the post-glacial period in Korea. most of studies for vegetational changes are located in the lowland alluvial plain, especially below the hilly zone of western and eastern coastal regions of Korea. A couple of methods, pollen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have been employed in these studies. These results lead us to establish the pollen zonation in Korea as the followings. Yasuda et al.(1980) classified six period in Yongrang lake of sokcho. These are as follow I. 17,000-15,000yr B.P.: Picea, Abies, Pinus(Haploxylon), Larix stage, II.15,000-10,000yr B.P:Herb, Pteridophyta stage, III.10.000-6,700yr BP.:Quercus stage, IV.6,700-4,500yr B.P.:Pinus, Quercus, Carpinus stage, V.4,500-1,400yr B.P.:Quercus. Pinus stage, VI.1,400yr B.P.-present: Pinus, Herbs stage. Jo(1979) also divided the period into two stages from the outcomes of analysis done in Jumoonjin and other sites I.10,000-6,000yr B.P.:Quercus stage, II.6,000-present: Pinus-Quercus stage, and three substages: IIa.6,000-3,400 yr B.P.:lower Pinus stage, IIb.3,400-2,000yr B.P.:Pinus-Quercus stage, IIc.2,000-present: Pinus stage. Choi(1993, 1996) divided the period into three stages: I.6,000-5,000yr B.P.:Alnus, Quercus stage, II.5,000-4,000yr B.P.: Alnus, Quercus, Pinus stage, III.4,500-2,600yr B.P.: Alnus, Pinus stage. In the period around 6,000yr B.P. distinct dominant species clearly occupied the lowland of the eastern and western coasts. Thus, this strongly supports the fact that even if Korea experienced its warm and wet climate after the lateglacial, it underwent a different environmental change, dry climate, compared to the regions of Japan.

  • PDF

휴경 연차에 따른 휴경지 군락내 식생 특성 (Floristic Composition of Plant Community in Set-Aside Fields with Regard to Seral Stages)

  • 강병화;마경호;심상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3-59
    • /
    • 2003
  • 휴경지의 식생 특성을 묵밭과 묵논과 같이 토양의 수분상태가 다른 조건과 휴경 연차에 따라 조사하였다. 같은 묵논이라도 습한 상태로 휴경한 경우와 건조한 상태로 휴경한 경우 식생의 차이가 컸으며, 건조한 상태에서 다년생으로의 천이가 빠르게 일어났다. 천이 단계는 휴경 기간보다 휴경지의 토양 조건에 더욱 큰 영향을 받았다. 묵밭의 경우 휴경 2년차에 우점하였던 돌콩, 칡, 쑥, 새팥 노랑물봉선 등은 휴경이 6년간 진전된 경우 칡, 억새, 돌콩, 쑥 등의 순으로 우점도가 변하였다. 논을 건답상태로 휴경한 경우 3년차에는 들깨풀, 돼지풀i 강아지풀 등이 주요 우점 초종이었으나 7년차에는 억새, 미국쑥부쟁이, 쇠치기풀 등이 우점하여 다년생으로 천이되었다. 논을 습답 조건으로 휴경한 경우 수생 잡초가 우점하였다. 7년차에는 갈대, 돌콩, 부들, 고마리가 우점하였으나, 11년차에는 갈대, 줄, 고마리, 부들이 우점하는 초종이었다. 휴경지의 식물종 다양성은 건조한 토양 조건보다 다소 습한 조건의 토양에서 높게 나타났다.

第四紀 後期 英陽盆地의 自然環境變化 (The Late Quaternary Environmental Change in Youngyang Basin, South Eastern Part of Korea Penninsula)

  • 윤순옥;조화룡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47-468
    • /
    • 1996
  • 영양부근 반변천이 절단감입곡류를 하여 생신 구유로상에 약 7m 두께의 토탄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토탄지를 대상으로 boring 자료분석과 화분분석을 실시하여 토탄지의 지형발달과 제4기 식생 및 기후환경변화를 검토하였다. 구유로상(연지와 원당지 일대)에 토탄지가 형성된 것은 주위산지에서 공급된 선상지성 퇴적물에 의해 구유로가 막혀 습지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토탄층은 그 특징에 따라 하부층과 상부층으로 구분되며, 이들 사이에는 부정합관계가 있다. 탄소 연대측정자료, 각 화분분대 화분조성상의 특징, 토탄퇴적속도 등으로 볼 때, 하부토탄층은 대략 60,000년 BP경부터 퇴적되기 시작하여 만빙기까지, 상부토탄층은 완신세 중기경부터 거의 현재까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boring지점 1(YY1)과 지점 2(YY2)의 토탄층 화분분석결과는 수목류의 우점시기로 대비할 때, 총 다섯개의 화분대(화분대 YYI, YYII, YYIII, YYIV와 YYV)와 12개의 아분대로 구분되었다. 두지점 간에는 퇴적상 뿐 아니라 화분조성에서도 일견 차이가 있다. 즉, 공통적으로 화분대 III이 존재했으나 화분대 I, II는 주상도 YY1에서만, 화분대 IV와 V는 주상도 YY2에서만 나타났다. 하부토탄층은 화분대 I, II, III시기를 포함하며, NAP시기로서 쑥(Artemisia)속, 오이풀(Sanguisorba)속, 미니라과(Umbelliferae), 벼과(Gramineae)와 사초과(Cyperaceae)등 초본류의 비율이 월등히 높고, 한냉기 수목으로 출현하는 가문비나무(Picea)속, 소나무(Pinus)속, 자작나무(Betula)속 등의 목본류를 포함하며, 이들 목본류의 절대화분량은 상부토탄층에 비해 극히 적어 산림밀도가 낮은 Wurm빙기의 식생경관을 나타내었다. 상부토탄층은 화분대 IVb, V시기를 포함하며, AP시기로서 Pinus와 Quercus 등이 높은 비율로 나타내고 절대 화분량도 많아, 홀로세 온난기의 삼림경관를 나타내었다. 각 화분대 및 아분대 우점수목의 기후환경에 대응하는 생태적 특징으로 작성한 가상 기온변화곡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화분대 I은 Butula우점기로서 약 57,000년 BP까지 형성되었으며, 상대적 한냉기로 간주된다. 화분대 II는 EMW우점시기로서 $57,000{\sim}43$,000년 BP에 형성되었으며, Alt Wurm에서 mittel W${\"{u}}$rm으로 전환되는 Interstadial로 간주된다. 화분대 III은 43,000~15,000년 BP간의 가장 오랜 시기를 포함하며, mittel Wurm${\sim}$Jung Wurm기에 해당한다. 한냉기인 화분대 III시기 중에는 Betula, Pinus, Picea 등의 목본류가 교대로 우점하는데, YY1에서 Quercus 와 Picea의 화분조성 변화로 볼 때 아분대 IIId시기가 가장 한냉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분아분대 IVa는 하부 화분대와 상부 화분대간의 전환기층으로서 피나무(Tilia)속 우점기로 나타나며, Holocene에 해당하는 화분대 IVb와 V는 약 7,000년 BP부터 현재까지 식생변화로 각각 Quercus와 Pinus가 우점하는 시기로 한국 동해안의 曺(1979)의 화분대 I과 II에 각각 대비된다. Bartlein et al.(1986)의 diagram을 통해 볼 때, 영양지역의 Wurm빙기 최성기의 7월 평균기온은 현재보다 약 10${^\circ}$C 더 낮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 PDF

한반도 식생 및 환경변천사(홀로세 이전 시대를 중심으로) (The Vegetational and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Pre-Holocene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 Kong, Woo-Seok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1
    • /
    • 1992
  • 본 연구는 석탄기 이래 플라이스토세 말기까지 한반도가 겪어온 식생사와 환경사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식물화석 자료가 주로 이용되었다. 한반도에서 발견된 최고의 식물화석은 고생대 석탄기에 출현한 Neuropteris이지만 우리가 오늘날 볼 수 있는 식물상의 원형은 신생대 올리고세부터 발견되었다. 특히 올리고세에는 난지를 선호하는 상록활엽수가 오늘날에 비해 위도상으로 $4^{\circ}$정도 북상했던 사실로 미루어 당시의 기후는 오늘날보다 온난했던 것으로 간주된다. 마이오세 중기에는 난지를 선호하는 상록활엽수가 현재의 분포역에 비해 $6^{\circ}$정도 북으로 진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이오세 중기는 신생대 이후 한반도에서 난지선호 식물이 최대로 북상했던 때이고 기후 또한 가장 온난했던 시기임을 암시한다. 플라이스토세 중기에 한반도는 상록침엽수와 상록활엽수가 혼재하는 온대기후가 냐타났으며 인간에 의해 식생이 간섭받은 흔적이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플라이스토세 말기에는 한지선호 극지-고산식물과 고산식물들의 분포역이 신생대 이래 한반도 식생사상 가장 남하했던 때로 당시의 기후는 한냉했던 것으로 사료된다. 플라이스토세가 끝나는 10,000년전 부터 한지선호 식생은 점차 감소하여 기후 온난화 경향이 나타난다.

  • PDF

화분분석에 의한 정족산 무제치늪의 과거식생 (Past Vegetation of Moojaechi on Mt. Jungjok by Pollen Analysis)

  • 박재근;장남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1호
    • /
    • pp.427-433
    • /
    • 1998
  • The standing crop and net production were estimated in Moojaechi on Mt. Jungjok. By using the decay model of organic carbon, absolute year of bog peat was calculated. Pollen analysis to bog peat revealed vegetational history and climate change around Moojaechi. The time required for amount of the accumulated peat in the bog was estimated in terms of the balance of the accumulation and decay of organic carbon of the deposit peat. Absolute year of the peat surveyed in this study was about 314 years. Pollen of Pinus was predominant in all the pollen zone, Geamineae and Cyperaceae increased in lower pollen zone while Pinus in upper pollen zone. This showes that climate of the past was probably more humid than that of present. In addition, middle pollen zone showed warming trend which is suggested by high pollen concentration of Quercus, Juglans, Carpinus and Corylus. It suggests that overall environment and vegetation were changed from warmer and more humid to dry condition in Moojaechi and it is considered as the course of boggy ground formation by retrogressive successions.

  • PDF

益山郡 彌勒寺址의 堆積層에 對한 花紛分析的 硏究 (Palynological study of the alluvial vally plain deposits from the miruksa site, iksan-gun, korean)

  • Choi, Kee-Ry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1호
    • /
    • pp.59-65
    • /
    • 1992
  • Pollen analysis to clear vegetational history of korea was carried out on the deposite taken from the pit of the miruksa site, south-western korea(36o00'18'N, 127o1'12'E, 10m in alt.). This area has been known as the cool temperate zone(southern zone) according to yim and kira(1975). But, now we can not found the original vegetation because the area has been disturbed severely and almost area changed to cultivated land.the area is one of the most developd area in early agricultural stage of korea. By the pollen diagram, three local pollen zones are distinguished in this site, bottom to surface, as following. is-Ⅰ :pinus-quercus zone (140∼120 cm, sample 1 and 2) is-Ⅱ :ulmus+zelkova zone(120∼84 cm, sample 3∼6) is-Ⅲ :pinus zone(84∼0 cm, sample 7 ∼13) is-Ⅰ is characterized by high values in frequences of pinus, the temperate conifer and quercus the cool temperate oak, and is-Ⅱ zone by the decrease of quercus and increase of ulmus and increase of ulman+zelkova as ravine forest elements, isⅢ zone is characterized by pinus, especially, based on data of sample no.9.

  • PDF

대암산 습원의 이탄의 화분분석에 의한 식생변천에 관한 연구 (Past Vegetation of Moor in Mt. Daeam in Terms of the Pollen Analysis)

  • Chang, Nam-Kee;Yung-Pok Kim;In-Hye O;Yung-Hi S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4호
    • /
    • pp.195-204
    • /
    • 1987
  • Pollen analysis of moor peat of Daeam Mountain revealed vegetational history around Daeam Mountain. The pollen stratigraphy might be zoned into three, Zone I, Zone II and Zone III for the past 2, 200 years. The time required for amount of the accumulated peat in the moor was estimated in terms of the balance of the accumulation and decay of organic carbon of the deposit peat. Zone I(770~2, 200 yr BP) had Pinus and Quercus as main elements. Gramineae decreased while Typhaceae, Cyperaceae and spores such as Polypodiaceae increased. Zone II(300~770 yr BP) showed warming trend which is suggested by high pollen concentrations of Quercus, Juglans, Carpinus, Ulmus and by a more diverse flora of deciduous borad-leaved trees than Zone I. Pinus decreased in this zone. It suggests that the overall environment became milder than Zones I and III. Zone III(earlier than 300 yt BP) was predominantly Quercu and Pinus with amount of nonarboreal species such as Artemisia, Gramineae and Chenopodiaceae, that was grown under dry conditions. It suggests that overall environment vecome humid by comparison with the present time and it is surmised the course of boggy ground formation by a retrogressive succession.

  • PDF

花粉分析을 중심으로 본 一山지역의 홀로세 環境變化와 古地理復元 (The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 and Reconstruction of the Palaeogeography at Ilsan Area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Pollen Analysis)

  • 윤순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30
    • /
    • 1997
  • 花粉, 沖積層의 堆積相, 炭素年代 등의 분석자료를 기초로 식생환경, 해면변동 및 홀로세 환경변화를 고찰하고, 각 시기별 古地理圖를 작성하였다. 각 花粉帶 별 環境특성은 다음과 같다. 1) 화분대 I(3.75~5.75m)dms 8,000~4,200년BP 시기로서, 우점식생은 Alnus-EMW로 대표된다. 빠른 해면상승과 해진의 영향으로 매우 습윤하였다. 2) 화분대 II(5.75~6.35m)는 4,200~2,300년BP 시기로서, 해수면 하강 및 地下水面 하강으로 건륙화된 환경하에 Pinus가 증가하고, 포자류와 초본류가 우점하였다. 3) 화분대 III(6.35~6.55m)은 2,300년BP에서 1,800년BP 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진의 영향과 인간의 간섭을 모두 반영하는 초본류의 비율이 높은 시기였다. 아분대 IIb와 화분대 III의 경계는 베버의 限界層의 특징을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