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 distribution

검색결과 1,013건 처리시간 0.03초

Classification of Forest Cover Types in the Baekdudaegan, South Korea

  • Chung, Sang Hoon;Lee, Sang Ta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4호
    • /
    • pp.269-279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the forest cover types of the Baekdudaegan inhabiting the number of native tree spec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eget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Baekdudaegan, a vegetation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ajor 20 mountains of the Baekdudaegan. The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959 sample points by the point-centered quarter method. Each mountain was classified into 4-7 forests by using various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cluster analysis, indicator species analysis,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and species composition analysis. The forests were classified mainly according to the relative abundance of Quercus mongolica. There was a total of 111 classified forests and these forests were integrated into the following nine forest cover types using the percentage similarity index and by clustering according to vegetation type: 1) Mongolian oak, 2) Mongolian oak and other deciduous, 3) Oaks (Mixed Quercus spp.), 4) Korean red pine, 5) Korean red pine and oaks, 6) ash, 7) mixed mesophytic, 8) subalpine zone coniferous, and 9) miscellaneous forest. Forests grouped within the subalpine zone coniferous and miscellaneous classifications were characterized by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ose forests that did not fit in any other category, respectively.

Vegetation community composition and changes of Jinaksan (Mt.) in Korea

  • Seungah Yang;Mira Lee;Badamtsetseg Bazarragchaa;Hyoun Sook Kim;Sang Myong Lee;Joongku Lee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2호
    • /
    • pp.165-180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62 nested quadrat plots of Jinaksan to identify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changes of the vegetation by using the phytosocial method and analyzed importance values.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8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 variableis community, Q. aliena community, Pinus densiflora, Q. acutissima, Zelkova serrata, Carpinis laxiflora, and C. tschonoskii. The significance value was highest in Q. mongolica (62.75) followed by P. densiflora (55.16), Q. variabilis community (25.03), Z. serrata (22.17), Q. aliena (18.30),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16.86), C. laxiflora (13.25), Q. acutissima (10.72), C. tschonoskii (10.08), Q. serrata (8.02), Fraxinus sieboldiana (6.93), Acer pseudosieboldianum (6.73), and Styrax obassis (5.73). Quercus mongolica displayed a stable distribution pattern, presenting a reverse J-shaped curve from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nalysis, and it was judged that current state would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In addition, P. densiflora is expected to dominate for the time being and Quercus species are expected to gradually decrease.

도시림(都市林) 관리(管理)를 위(爲)한 식생단위구분(植生單位區分)과 정밀식생도(情密植生圖) 작성(作成) -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무등산(無等山)을 중심(中心)으로 -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Units and Its Detailed Mapping for Urban Forest Management - On Mt. Moodeung in Kwangju, Korea -)

  • 조현제;조재형;이창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470-479
    • /
    • 2000
  •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의 대표적인 도시림(都市林)인 무등산(無等山)에 발달하고 있는 산림식생(山林植生)의 보전(保全)과 관리(管理)를 목적으로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인 방법에 의해 그 관리단위(管理單位)가 구분되고 그것의 공간적(空間的) 분포(分布)가 정밀(精密)하게 지도화(地圖化)되었다. 이 지역의 산림식생관리단위(山林植生管理單位)는 상위(上位) 21개(個) 단위(單位), 하위(下位) 10개(個) 단위(單位) 그리고 최종하위(最終下位) 9개(個) 단위(單位)로 구분되었으며, 총(總) 31개의 관리구성(管理區城)이 결정되었다. 정밀식생도(情密植生圖) 작성면적은 2,779.5ha이며, 그 중 자연식생(自然植生)이 78.9%인 2,192.0ha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인공식생(人工植生)과 무립목지(無立木地)가 각각 5.7%인 159.1ha, 15.5%인 428.4ha로 나타났다. 자연림요소율(自然林要素率)은 타 지역의 도시림에 비교하여 볼 때 아주 높은 93.2%로 나타났다.

  • PDF

KOMPSAT-2 위성 영상을 이용한 남극 세종기지 주변 바톤반도의 토지피복분류 (Land-Cover Classification of Barton Peninsular around King Sejong station located in the Antarctic using KOMPSAT-2 Satellite Imagery)

  • 김상일;김현철;신정일;홍순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7-544
    • /
    • 2013
  • 남극 세종 과학 기지가 위치하고 있는 바톤반도는 눈과 식생이 주를 이루고 있고,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극지역의 지표 모니터링은 기후변화 이해를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극 지역은 접근성 및 공간규모로 인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위성영상은 지속적으로 동일지역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다중분광영역을 이용하여 지표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톤반도의 지표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KOMPSAT-2 다중 분광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고, 나아가 분류된 토지피복 중 식생 종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다중분광영상인 KOMPSAT-2 위성영상과 현장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계층적 분류를 수행하였고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식생지역과 비식생 지역이 명확하게 분류되었으나 식생 종 분류에는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인천 승기천에서 하안식생의 현황과 복원 방안 (Status of Riparian Vegetation and Implication for Restoration in the Seunggi Stream, Incheon)

  • 조강현;김자애;이효혜미;권오병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2-73
    • /
    • 2001
  • The riparian environments of urban streams in Korea have been disturbed through the channelization for flood control and artificial land use as well as water pollution and flow decrease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were investigated and an implication of stream restoration was discussed fo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in the riparian area of the Seunggi stream in Incheon. Naturalized plants and ruderal plants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riparian area which was disturbed from cultivating, trampling, dumping etc. Submerged and floating hydrophytes were not found in the stream due to channelization and water pollution. Some halophytes were remained in downstream and reservoir after reclamation and embankment. The communities of Humulus japonicus, Panicum dichotomiflorum, Digitaria sanguinalis, Artemisia montana, Amaranthus retroflexus, and Aster pilosus were distributed in the disturbed area of bank slope and floodplain in the stream. As a natural potential vegetation, Phragmites australis in the wet meadow, Typha latifolia, Typha angustifolia, Oenanthe javanica, Persicaria thunbergii, and Penthorum chinense in the marsh, and Salix babylonica and Salix matsudana for. tortuosa in the woodland appeared in the floodplain. The topography in the stream played an important role on the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the Seunggi stream. Appropriate methods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riparian ecosystems must be planned on the basis of the actual vegetation in the disturbed urban stream.

  • PDF

식생해석을 통한 광역증발산량 추정 방법의 개발 (Estimation Method of Evapotranspiration through Vegetation Monitoring over Wide Area)

  • 신사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88
    • /
    • 1996
  • 원격탐사 기법은 식생 및 토지이용과 같은 지형 조건과 관련된 광역 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지면으로부터의 증발산량을 지배하는 인자로는 기온, 습도, 바람, 일사량, 토양조건 등 매우 복잡하게 구성된다. 식생은 그 지점의 증발산량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증발산량을 지배하는 인자는 식생에 강한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증발산량과 식생조건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성립함을 예상할 수 있다. 어느 임의의 지점에서의 식생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NOAA/AVHRR data로부터 얻을 수 있는 NDVI를 이용함으로서 증발산량과 NDVI사이의 강한 상관관계를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증발산량과 NDVI의 관계를 이용하여 직접 실제 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지상의 자료가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는 북한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 대한 증발산량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 PDF

선정릉의 적정수용능력 추정 및 관리방안(I) -토양환경 및 식생분석- (Carrying Capacity Estim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of the Seonjeong Royal Tomb(I) -Soil Environment and Vegetation Analysis-)

  • 이경재;오구균;권영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3-45
    • /
    • 1987
  • The Seonjeong royal tomb is one of many historic sites in and around Seoul city and its natural environment and landscape have born damaged seriously by heavy use. So conservation planning with an estimation of reasonable carrying capacity shall be required In aspect of not only historic site conservation, but also urban forest and nature park management. Eight sites were sampled with clumped sampling method during July of 1986 and five quadrats were examined in each site. Environmental factors, actual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grade were investigated in field and vegetational structure was analyzed by estimation of importance value, species diversity, similarity index, DBH class distribution,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Damage on soil and vegetation of middle and lower layer increased according to amount of users'impact. 2. Semi - natural vegetation covered 63% of the total area(22.2 ha) and its major species were Pinus densiflora, Quercus aliena, Q mongolica, Sorbus alnifolia, etc. Pinus densiflora was a dominant species in heavy impact area. 3. Environmental impact grade 3, 4 and 5 area covered 51% of the seminatural vegetation, Especially, the area of impact grade 4 and 5 should be restored because self-refair seemed to be impossible. 4. The semi-natural vegetation was classified with four plant communities; two P.densiflora comm., Q. mongolica-P. densiflora comm. and Q. aliena comm. One of the P. densifolra comm. was destroyed seriously with no younger trees in middle and lower layer by overuse impact and would be bareland soon. But Q. aliena comm.in light impact area showed just completion of plant succession from P. densiflora comm.

  • PDF

군위군 화산습지의 식생: 오리나무림을 중심으로 (Hwasan Wetland Vegetation in Gunwi, South Korea: with a Phytosociological Focus on Alder (Alnus japonica (Thunb.) Steud.) Forests)

  • 김종원;이승은;이정아
    • 생태와환경
    • /
    • 제50권1호
    • /
    • pp.70-78
    • /
    • 2017
  • 화산습지는 경북 군위와 영천 경계의 산정 분지 (표고 644~780 m)에 위치한다.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현장 식생조사가 이루어졌고, 현존식생도가 제작되었다. 단위식생의 출현종의 행동양식은 피도와 상대기여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버드나무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 산돌배하위군락으로 이루어진 오리나무-백당나무군락이 처음으로 기재되었다. 오리나무 우점림에 대한 선행 기재단위식생 (오리나무-진퍼리새군락, 오리나무-일본갈매나무군집, 버드나무-신나무군집 등)과의 군락분류학적, 군락동태학적 대응성이 논의되었다. 본 군락은 오리나무군강(Alnetea japonicae)에 귀속되고 산간 계류 선상지에서의 분지상(分地狀) 범람원 습생림으로 규정되었다. 화산습지의 잠재자연식생이고 증거 식생형으로서 식생보존등급 [I]의 자연식생으로 평가되었다. 입지의 수리수문 환경조건의 극적인 변화(건생화 및 부영양화)로부터 국가적 보호 전략이 요구되었다.

고창 운곡습지의 식물군락 다양성과 분포 특성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on the Ungok Wetland in Gochang)

  • 김종원;이승은;류태복
    • 생태와환경
    • /
    • 제50권3호
    • /
    • pp.295-304
    • /
    • 2017
  • 습지보호지역인 전북 고창 운곡습지의 현존식생에 대한 군락분류와 군락분포를 규명하였다. 전통적인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국제식생명명규약에 따라 단위식생을 분류하고 명명하였다. 서식처 기반의 식생 다양성은 침수식생으로부터 연목림식생에 이르기까지 7가지 상관식생형에서 총 88분류군으로 이루어진 12가지 단위식생이 분류되었다: 버드나무-골풀군락, 선버들-이삭사초군집, 달뿌리풀-갈퀴덩굴군락, 갈대군집, 매자기군집, 애기부들-나도겨풀군락, 골풀-별날개골풀군락, 나도겨풀군집, 마름-어리연꽃군집 (전형아군집과 네가래아군집(신칭), 가시연꽃변군집 포함), 연꽃군락, 참통발군락, 말즘군집. 축척 1 : 5,000의 지형도를 바탕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여 식생 공간분포를 기재하였다. 산간 선상지 습지를 포함한 배후습지와 원수대식생역의 서식처-단위식생 대응성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운곡습지 생태 관리의 바탕 정보를 제공한다.

동아시아의 황사발원지들에 대한 토지피복 비교 연구: 고비사막과 만주 (A Comparative Analysis of land Cover Changes Among Different Source Regions of Dust Emission in East Asia: Gobi Desert and Manchuria)

  • 피경진;한경수;박수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5-18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고 있는 지표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황사발원지인 고비사막과 새로운 황사발원지로 주목받고 있는 만주에 대한 토지피복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과 2007년의 SPOT VEGETATION(VGT) 센서로부터 취득된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10-day 자료를 사용하였다. 효율적으로 식물의 변화를 탐지하기 위해 NDVI패턴을 분석하고, 식생의 밀도에 따라 level로 분류하여 식생상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든 level을 통해 황사발원지들의 동진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황사발원지였던 고비사막과 황토고원은 positive한 변화를 보인 반면 새로운 황사발원지인 내몽골 고원과 만주는 negative한 변화를 보임을 관찰하였다. 특히 만주는 다른 황사발원지들과 다르게 사막이나 나지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으나 지속적으로 negative하게 변화함을 SPOT VGT의 1999년에서 2007년까지 9년 동안의 자료를 분석하여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