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ble

검색결과 3,169건 처리시간 0.031초

야채스프의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Vegetable Soup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 심재근;이재혁;신태용;신혜영;정숙희;김미혜;구호준;박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097-110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섭취할 수 있는 당근, 무, 무청, 우엉, 표고버섯을 재료로 한 야채 스프의 항염증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 RAW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물질 중 NO와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alpha$에 대한 억제력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에 사용된 야채스프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 한 후 LPS로 처리한 RAW264.7 세포에서 야채스프의 NO 생성억제를 평가한 결과 RAW264.7 세포만 배양한 대조군에서 NO의 농도는 매우 낮게 측정되었으며, LPS를 처리한군에서 NO의 농도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야채스프를 처리한 실험군은 NO 생성이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으며, RAW264.7 세포를 LPS로 처리 시 iNOS가 발현되어 NO를 생성하게 되므로 iNOS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LPS 처리 시 iNOS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야채스프를 전 처리한 실험군에서 iNOS의 양이 감소하였다. 야채스프에 의한 iNOS의 발현억제는 NO 생성억제를 유도를 의미한다.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TNF-$\alpha$ 분비 억제를 살펴본 결과 LPS를 처리한 군에서 TNF-$\alpha$의 분비가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나 야채스프를 처리한 군에서는 유의한 억제를 나타냈다. 이상과 같이 야채스프는 RAW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의 생성억제, iNOS의 발현을 억제시켰으며,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TNF-$\alpha$의 분비량도 억제시켰다. 이는 야채수프의 항염증성을 입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Shelf life of Bottled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Meat Packed in Vegetable Oil (BSMO)

  • Choi, Nam-Do;Zeng, Jiting;Choi, Byung-Dae;Ryu, Ho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37-46
    • /
    • 2014
  • Fresh sea squirt meat requires a modified processing and preservation process because it has a short shelf life due to its high moisture content and strong proteolytic enzyme activity. In this study, bottled sea squirt meat prepared in vegetable oil (BSMO) to enhance the consumer acceptability was exposed to ${\gamma}$-ray (Co60, 10 kGy/h) irradiation to extend the shelf life without the use of a heating process.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of BSMO containing 5% dehydrated fresh meat. Texture analysis and nutritional evaluation were also performed on a control and BSMO samples.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and total cell count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shelf life of irradiated BSMO products during chilled storage at $4^{\circ}C$ for 60 days. According to a panel of 10 trained tasters (aged 20-29 years), the optimal mixing formulation was 80 g meat in 60 mL of mixed vegetable oil (30 mL of olive oil and 30 mL of sesame oil). The highest rated formulation, according to a panel of nine trained tasters (aged ${\geq}30$ years), was 80 g meat in 60 mL of mixed vegetable oil (42 mL of olive oil and 18 mL of sesame oil). Moisture, ash, and protein contents in BSMO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P < 0.05) compared with the control. A higher lipid content ($0.84{\pm}0.23$ to $2.13{\pm}0.61$; P < 0.05) was observed due to the presence of vegetable oil on the surface of BSMO. The vegetable oil raised the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and resilience of BSMO. BSMO products remained edible after 50 days of storage at $4^{\circ}C$ based on the VBN content (BSMO 1: $27.92{\pm}0.96$ mg/100 g, BSMO 2: $24.84{\pm}1.95$ mg/100 g) and total cell count (BSMO 1: $4.60{\pm}0.80$ log CFU/mL, BSMO 2: $3.65{\pm}0.20$ log CFU/mL) when compared with standard levels of VBN (25.00 mg/100 g) and total cell count (5 log CFU/mL),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irradiated BSMO products could help to expand the processed seafood market and increase the popularity of seafood among the younger generations.

식용(食用) 찰옥수수의 저장조건(貯藏條件)에 따른 당도(糖度) 및 수분(水分) 변화(變化) (Changes of sugar and moisture content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s of the vegetable waxy corn)

  • 이희봉;김기훈;김철민;정재영;최현구
    • 농업과학연구
    • /
    • 제27권2호
    • /
    • pp.81-85
    • /
    • 2000
  • 식용찰옥수수의 적정 저장온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당함량 및 수분함량 변화를 국내에서 및 육성한 찰옥 1, 2호 및 대학찰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된 찰옥수수 교잡종의 식물학적특성은 대학찰에 비해 찰옥 1호, 2호에서 개화기가 약간 빨랐고, 이삭 길이는 찰옥 1, 2호가 짧고, 이삭 직경이 굵은 반면에 대학찰은 간장 및 이삭길이에서 다소 컷으나 이삭직경과 이삭 열수에서 낮게 나타났다. 공시된 교잡종 찰옥수수의 수확시 당도는 대학찰이 크게 높았으며, 찰옥 2호, 얼룩찰순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상대적으로 저장기간이 길수록 저장온도에 거의 무관하게 급 감소하는 경향인 반면에 수분함량의 변화는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이들 교잡종의 신선도 및 고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4^{\circ}C{\sim}-10^{\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 PDF

저일조 조건에서 몇 가지 친환경농자재가 고추와 토마토의 유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Environment-friendly Farming Materials on Growth of Pepper and Tomato Seedlings under Low Solar Radiation Conditions)

  • 엄영철;서태철;장윤아;이상규;이준구;최장선;오상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9-276
    • /
    • 2011
  • 저일조 조건에서 고추와 토마토 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몇 가지 친환경농자재의 이용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친환경농자재는 미생물제재, 효소제, 아미노산제 3종을 이용하였고 30% 차광조건에서 토마토와 고추를 육묘하였으며, 육묘용 상토 종류에 따른 차이를 보기위해 일반 원예용(유비)상토와 무비상토를 비교하였다. 토마토와 고추 모두 무비상토에서는 효소제와 아미노산제 처리에 의해 묘의 생육이 양호하였으나, 미생물제재 처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유비상토에서는 친환경농자재 처리에 의한 생장촉진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차광처리에 의하여 묘의 건물중은 감소하고, 엽면적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친환경농자재의 처리에 의한 생육촉진효과는 없었다. 정식 후 토마토 1화방의 개화소요일수 및 착과절위를 조사한 결과, 무비상토의 경우 효소제 및 아미노산제 처리구에서 개화소요일수가 3~4일 적었으나, 착과절위는 차이가 없었다. 다만 차광조건에서 착과절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비상토의 경우는 친환경농자재 처리나 차광 유무에 따른 개화소요일수나 착과절위의 차이가 없었다. 고추는 무비상토에서 차광에 관계없이 효소제 및 아미노산제 처리구에서 건물중이 증가하였으나 미생물제재 처리구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유비상토는 친환경 농자재의 처리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시판되고 있는 효소제와 아미노산제는 무비상토에서 생육촉진효과가 있었으나, 미생물제재 처리는 처리효과가 없었고, 양분이 함유된 상토에서는 친환경농자재의 처리효과가 없었다. 또 차광에 의한 저일조 조건에서 친환경농자재의 혼용 처리에 의한 토마토와 고추 유묘의 생육촉진효과는 없었다.

생육도일온도에 따른 고추의 생육 및 수량 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on Growth and Yield Models by Growing Degree Days in Hot Pepper)

  • 김성겸;이진형;이희주;이상규;문보흠;안세웅;이희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4-430
    • /
    • 2018
  • 본 연구는 고추의 생육특성인 초장,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을 조사하였고, 기상요인에 따른 수량 예측 모델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육도일온도에 따른 고추의 생체중, 건물중, 초장 및 엽면적에 대한 생장 모델(시그모이드 곡선)을 개발하였다. 고추는 정식 후 50일전후로 초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이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40일 이후에는 생장요인들이 평행을 이루었다. 그리고 생육도일온도에 따른 고추의 생장을 분석 한 결과 지수 함수적으로 생장이 늘어나는 시점의 GDD는 1,000였다. 고추의 건물중에 대한 상대생장 속도를 계산하는 식은 RGR $(dry\;weight)=0.0562+0.0004{\times}DAT-0.00000557{\times}DAT^2$ 였다. 수확한 적과의 생체중과 건물중으로 고추의 단수를 구하였을 때, 정식 후 112일에 1,3871kg/10a였고, 건고추의 단수는 정식 후 112일에 291kg/10a이였다. 고추 작황예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고추의 생산성에 관여하는 주요요인을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계측한 생육 및 기상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생육모델을 보정 및 검증해야 할 것이다.

혼합야채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효과 증진을 위한 톳, 매생이, 미역귀의 첨가효과 (Effects of the addition of Hizikia fusiforme, Capsosiphon fulvescens, and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on antioxidant and inhibitory potential against enzymes related to type 2 diabetes of vegetable extract)

  • 통타오;장성매;고두옥;김보석;정광진;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0-467
    • /
    • 2014
  • 혼합야채추출물의 항산화와 ${\alpha}$-amylase 및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 증진을 위해서 톳, 매생이, 미역귀의 첨가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해조류 첨가된 야채추출물의 일반성분과 미네랄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3가지 해조류의 첨가량은 야채추출물의 일반성분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톳과 미역귀 5% 첨가에 의해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철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톳 20% 첨가한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과 환원능력이 야채추출물보다 각각 47.08와 16.82%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3가지 해조류 첨가에 의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이 큰 변화가 없었다. 톳, 매생이, 미역귀 20% 첨가에 의해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각각 27.47, 22.25, 17.27%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해조류 첨가된 혼합 야채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약한 ${\alpha}$-amylase 억제활성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강한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이 나타냈다. 특별히 미역귀 5% 첨가한 경우 ${\alpha}$-glucosidase을 98.26%로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전반적으로 해조류 첨가를 통해 야채추출물의 미네랄 함량이 증가하였고 항산화와 2형 당뇨병 관련 효소 억제활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경북지역 초.중.고.대학생의 채소류 기호도와 섭취빈도 비교 (The Differences in Preference for Vegetables among Primary School to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buk Area)

  • 이윤경;김영남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15-424
    • /
    • 2014
  • Objectives: Vegetables are the most left over side dishes in school lunch programs.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reference for vegetables among the students of different age groups in order to determine potential ways of increasing vegetable consumption in this study group. Methods: A total of 308 primary to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buk area were recruited and a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onducted. The preference score (7-Likert scale: very much dislike (1)~so-so (4)~like very much (7)) and intake frequency (5-Likert scale) of 48 kinds of vegetables in 4 vegetable groups, such as vegetable (fruit-, root-, leaf-, and stalk-vegetable), seaweeds, mushrooms, and kimchi were investigated, an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ver 12.0). Results: The preference scores of vegetables except for seawee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chool groups, universit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high school.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score, especially for leaf- and stalk- vegetables. The preference score for seaweeds was the highest of 5.28, followed by kimchi of 4.99. With regard to kimchis, the preference score was the highest in university', followed by high school, middle school, and primary school' was the lowest. The number of vegetables with < 4.0 preference score was the highest in primary school of 16, 15 in middle school, 11 in high school, and 7, the lowest in university. The vegetable with preference score of < 4.0 in all 4 school groups were mallow, chard, bud, radish leaf, mugwort, butterbur and sweet potato stalk. With regard to the intake frequency of vegetables, kimchis, an indispensable part of the Korean diet, was the highest of 2 times/day, followed by cooked vegetables of 1.5 times/da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reference scores and intake frequenc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groups of vegetables. As for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of preference score, primary school' was the highest and university' was the lowest. The number of vegetables with high CV and high inexperience were highest in primary school students. Conclusions: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for consuming a variety of vegetables, such as leaf- and stalk-vegetable, it may be possible to increase vegetable consumption, especially for the primary school students.

선호하는 식물성 Base oil에 따른 클렌징 오일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eansing oil on Skin by preferred Vegetable Base oil)

  • 김정은;이재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64-274
    • /
    • 2019
  • 본 연구는 선호하는 식물성 Base oil에 따른 클렌징 오일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설문조사(100명)를 통해 세안 습관 실태 및 선호하는 식물성 Base oil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4종의 클렌징 오일을 제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20~30대 성인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 전 후 수분보유량, 유분보유량, 경피수분손실량(TEWL)을 측정하였고, 실험 후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클렌징 오일의 식물성 Base oil 종류에 따른 선호도 설문조사에서는 로즈힙 오일, 올리브 오일, 살구씨 오일, 동백 오일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 실험결과, 선호하는 식물성 Base oil에 따른 클렌징 오일(4종)의 클렌징 전 후 수분보유량과 유분보유량의 변화폭은 Base oil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p<0.001). 또한 TEWL의 변화량도 Base oil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감소하였다(p<0.01). 실험 후 주관적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로즈힙 오일이 함유된 클렌징 오일(RHC)이 세정력 및 주관적인 만족도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선호하는 식물성 Base oil에 따른 클렌징 오일이 피부의 유 수분보유량과 TEWL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피부장벽을 보호함으로서 피부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개개인마다 피부타입과 선호하는 오일 및 사용감에 따른 만족도는 다르지만 본 연구의 식물성 Base oil에 따른 클렌징 오일은 단순히 세정의 차원을 넘어 피부건조와 피부장벽을 보호하는 피부보호 제품으로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고온 및 건조 스트레스 조건 하에서 살리실산 경엽처리에 의한 고추의 광합성 특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 증대 (Enhancement of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on Chili Pepper Plants by Salicylic Acid Foliar Application under High Temperature and Drought Stress Conditions)

  • 이진형;이희주;위승환;이혜진;최학순;남춘우;장성회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1-318
    • /
    • 2022
  • 살리실산은 식물의 생장 및 발달, 항산화 방어기작, 광합성 작용 그리고 생물적 및 비생물적 스트레스 조건에서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살리실산 경엽처리가 고추의 생육, 광합성 특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광합성 특성 측정결과 광합성 속도, 기공전도도 및 증산 속도가 증가하였고, 3회차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세포내 MDA와 H2O2 함량은 살리실산 3회차 처리에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PX, CAT, POD 및 SOD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무처리 대비 최대 247, 318, 55 및 54% 증가하였다. 고추의 생육 특성은 무처리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품 수량은 15%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살리실산의 경엽처리는 고추의 광합성 특성과 항산화효소 활성을 증진시켜 고온·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피해 경감에 긍정적 효과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Headspace Analysis for Residual Hexane in Vegetable Oil

  • Oh, Chang-Hwan;Kwon, Yong-Kwan;Jang, Young-Mi;Lee, Dal-Su;Park, Jong-Sei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456-460
    • /
    • 2005
  • To enforce the maximum residue limit for residual hexane (0.005 g/kg) in commercially available Korean vegetable oil, convenient and accurate quantification methods were investigated. Using dual surrogate standards, pentane and heptane were dissolved in ethanol, and then added to hexane-tree sunflower oil for setting up the calibration curve. Gas Chromatograph-Flame Ionization Detector with a porous layer open tubular column, indicated good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hexane from other inhibiting matrix components. The lowest calibration level was $0.5\;{\mu}g/g$, not exceeding a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10% (RSD%), and 1.0\;{\mu}g/g$ not exceeding a deviation of 22% RSD% using heptane as an internal standard for the Static headspace analysis by using a headspace auto-sampler and manual injection, respectively. The residual hexane was detected in nine of the samples among 87 vegetable oil samples purchased on the local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