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ctor map

검색결과 493건 처리시간 0.041초

L1-norm regularization을 통한 SGMM의 state vector 적응 (L1-norm Regularization for State Vector Adaptation of Subspace Gaussian Mixture Model)

  • 구자현;김영관;김회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7권3호
    • /
    • pp.131-138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L1-norm regularization for state vector adaptation of subspace Gaussian mixture model (SGMM). When you design a speaker adaptation system with GMM-HMM acoustic model, MAP is the most typical technique to be considered. However, in MAP adaptation procedure, large number of parameters should be updated simultaneously. We can adopt sparse adaptation such as L1-norm regularization or sparse MAP to cope with that, but the performance of sparse adaptation is not good as MAP adaptation. However, SGMM does not suffer a lot from sparse adaptation as GMM-HMM because each Gaussian mean vector in SGMM is defined as a weighted sum of basis vectors, which is much robust to the fluctuation of parameters. Since there are only a few adaptation techniques appropriate for SGMM, our proposed method could be powerful especially when the number of adaptation data is limit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error reduction rate of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than the result of MAP adaptation of SGMM, even with small adaptation data.

CRITICALITY OF CHARACTERISTIC VECTOR FIELDS ON ALMOST COSYMPLECTIC MANIFOLDS

  • Pak, Hong-Kyun;Kim, Tae-Wan
    • 대한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605-613
    • /
    • 2007
  • Main interest of the present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riticality of characteristic vector fields on almost cosymplectic manifolds. Killing critical characteristic vector fields are absolute minima. This paper contains some examples of non-Killing critical characteristic vector fields.

Construction of Indoor and Outdoor Spatial Information Integr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Vector Model

  • Kim, Jun Hyun;Kwon, Kee Wook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5-196
    • /
    • 2018
  •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outdoor and indoor spatial information service are separately utilized, an integration service system of spatial information that is linked from outdoor to indoor has been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0001.xml" corresponding to the file index key value, which is the service connection information in the building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was extracted from the prototype verification of the system, the search word of 'Kim AB' was transmitted to the indoor map server and converted from the outdoor map service to the indoor map service through confirmation of the navigation service connected information, using service linkage information and search words of the indoor map service was confirmed that the route was displayed from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to the destination in the building through the linkage search DB (Database) table and the search query.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was examined the possibility of linking indoor and outdoor DB through vector spatial information integration service system. The indoor map and the map engine were implemented based on the same vector map format as the outdoor map engin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nectivity of the map engine can be applied.

이동로봇의 전역 경로계획에서 Self-organizing Feature Map의 이용 (The Using of Self-organizing Feature Map for Global Path Planning of Mobile Robot)

  • 차영엽;강현규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7-822
    • /
    • 2004
  • This paper provides a global path planning method using self-organizing feature map which is a method among a number of neural network. The self-organizing feature map uses a randomized small valued initial weight vectors, selects the neuron whose weight vector best matches input as the winning neuron, and trains the weight vectors such that neurons within the activity bubble are move toward the input vector. On the other hand, the modified method in this research uses a predetermined initial weight vectors, gives the systematic input vector whose position best matches obstacles, and trains the weight vectors such that neurons within the activity bubble are move toward the input vector. According to simulation results one can conclude that the modified neural network is useful tool for the global path planning problem of a mobile robot.

  • PDF

모바일 맵 서비스를 위한 벡터와 래스터 기법의 비교 평가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Vector and Raster Methods for Mobile Map Services)

  • 최진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459-1464
    • /
    • 2006
  • 모바일 GIS를 구현하는 방식은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지도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벡터(Vector) 기법과 래스터(Raster) 기법으로 나뉜다. 각 기법에 따라 모바일 지도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구현 방법이 달라지며 각각 서로 다른 측면에서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이 두 접근 방법을 구현하고 실험을 통해 그 장단점을 비교한다. 전송 성능, 지도 품질 등 다양한 요소를 비교하고 평가한다.

모바일 지도 서비스에서 벡터와 래스터 기법의 비교 평가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Vector and Raster Methods in Mobile Map Services)

  • 최진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64-467
    • /
    • 2003
  • 모바일 GIS를 구현하는 방식은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지도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벡터(Vector) 기법과 래스터(Raster) 기법으로 나뉜다. 각 기법에 따라 모바일 지도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클라이언트 구현 방법을 달리 요구한다. 또한, 각각이 서로 다른 측면에서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이 두 접근 방법을 구현하고 실험을 통해 그 장단점을 비교한다. 전송 성능, 지도 품질 등 다양한 요소를 비교하고 평가한다.

  • PDF

빈 분류기반 공간에너지집중기법을 이용한 GIS 벡터맵 압축 (GIS Vector Map Compression using Spatial Energy Compaction based on Bin Classification)

  • 장봉주;이석환;권기룡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9권3호
    • /
    • pp.15-26
    • /
    • 2012
  • 최근 공간정보표현을 위해 벡터데이터 기반 디지털 맵의 활용도의 증가와 측량기술의 발전에 기인하여 높은 수준의 해상도를 갖는 고용량의 GIS(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서비스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방대한 범위에서 높은 해상도를 갖는 1cm(센티미터) 단위의 정밀 벡터맵의 효율적인 압축을 위해 공간 영역 상에서의 에너지 집중 기법(spatial energy compaction, SEC)을 이용한 벡터맵 압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벡터맵에서 공간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폴리곤(polygon) 및 폴리라인(polyline) 오브젝트에 대해 압축을 수행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전체 벡터맵을 국부영역으로 나눈 후, 각 국부영역 내의 오브젝트 인접성 및 방향성을 이용하여 세 가지 종류의 빈으로 분류하여 에너지 집중을 수행하며, 미리 정의된 가변길이부호화를 이용해 부호화하여 압축한다. 실험결과 동일한 벡터맵에 대해 1m 정밀도의 벡터간소화 기법이 약 13%의 압축율을 갖는 데 반해, 제안 기법은 1cm 단위의 정밀도에서 원본 데이터의 80%이상 압축이 수행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것은 기존에 제안한 SEC 기반 압축 기법보다 높은 압축율을 가지면서 낮은 계산 복잡도를 유지하며, 기존의 벡터 근사화 기법보다 높은 정밀도에서 높은 압축률로 압축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GIS 벡터맵의 콘텐츠 기반 선택적 암호화 기술 (Contents Based Partial Encryption of GIS Vector Map)

  • 장봉주;이석환;문광석;권기룡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8권5호
    • /
    • pp.88-98
    • /
    • 2011
  • 최근 대용량의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B 보안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GIS 네트워크 보안 및 데이터 암호화 기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법들은 GIS 벡터맵 데이터에 대한 원천적인 불법 복제 및 유통에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GIS 벡터맵 데이터의 불법 복제 방지 및 권한제어를 위하여 GIS 벡터맵 압축영역 상에서 레이어 단위의 선택적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벡터공간 상에서 벡터맵 압축 과정에서 생성되는 최소부호단위(minimum coding attribute, MCA)의 중점좌표와 방향 파라미터들에 대한 선택적 암호화를 각각 수행한다. 첫 번째 선택적 암호화에서는 MCA 레코드의 중점좌표 위치를 임의치환 함으로써 위치 암호화를 수행한다. 두 번째 선택적 암호화에서는 각 레코드 내의 좌표값들에 대한 방향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지형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방향성 암호화를 수행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벡터맵 데이터 암호화 기법이 낮은 계산복잡도와 대용량 벡터맵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암호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제안 기법이 AES, DES 등의 일반적인 데이터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는 콘텐츠 암호화 기술들에서 발생되는 압축효율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자기 기반 실내 위치 추정을 위한 지자기 벡터 보정법 (Vector Calibration for Geomagnetic Field Based Indoor Localization)

  • 손원준;최린
    •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5-30
    • /
    • 2019
  • 지자기 벡터는 센서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런 문제를 최소화하여 지자기 기반 실내 위치 추정에 사용될 수 있도록 지자기 벡터 보정법을 제안한다. 지자기 기반 실내 위치 추정에서 사용되는 핑거프린팅 기법은 자기장 지도와 현재 위치에서의 자기장 값을 매칭하여 위치를 추정해낸다. 이때, 자기장 센서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읽어 들이는 자기장 벡터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위치 추정 정확도가 낮아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은 자기장 벡터 크기를 사용하지만, 이는 지문의 고유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문의 고유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자기장 벡터를 그대로 사용하되, 벡터 크기처럼 사용자의 이동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벡터 값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임의의 방향으로 걸어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보정법을 사용하면 자기장 지도와의 매칭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