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sovagal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혈관미주 신경성 실신 소아에서 기립경사 검사 동안에 뇌혈류 변화 (Change of Cerebral Blood Flow during Tilt Tests in Children with Vasovagal Syncope)

  • 김수정;염혜원;홍영미;유정현;이숙희;김종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0호
    • /
    • pp.983-988
    • /
    • 2003
  • 목 적 : 실신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증상이지만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증가된 미주신경의 활동과 감소된 교감신경의 자극이 저혈압, 서맥을 일으키고 마침내는 의식 소실을 초래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혈관미주 신경성 실신으로 진단된 소아에서 기립경사 검사를 하는 동안 뇌 도플러 초음파를 실시하여 실신 전후의 뇌혈류 속도와 혈압, 심박동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실신의 과거력을 갖고 있는 64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혈압을 10분간 안정 후와 15분 동안 기립 후에 측정하였고, 기립 경사 검사는 $80^{\circ}$에서 45분간 시행하였다. $80^{\circ}$ 각도의 경사 테이블에서 소아를 5분 간격으로 45분 동안 혈압, 심박동수,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였다. 기립경사 검사를 하는 동안 실신이나 실신 전 증상이 나타난 소아에서는 검사를 중단하였다. 12-유도 심전도, 뇌파 검사, 심장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기립경사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온 10명의 소아에서 Acouson 128XP/10 model 초음파 기기를 이용하여 중 대뇌동맥 혈류 속도, pulsatility 지수, time velocity integral, 혈압, 심박동수,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하였다. 결 과 : 기립경사 검사에서 31.3%(20/64)의 양성률을 보였다. 검사 동안에 혈압과 맥박은 감소되지 않았고 뇌혈류 속도와 integral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 론: 뇌혈류 속도는 혈압이나 심박동수가 감소하기 전에 미리 감소하므로 실신 전 증상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뇌혈류의 자율 조절의 장애가 혈관미주 신경성 실신의 병인론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된다.

Baseline heart rate variabi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vasovagal syncope

  • Shim, Sun Hee;Park, Sun-Young;Moon, Se Na;Oh, Jin Hee;Lee, Jae Young;Kim, Hyun Hee;Han, Ji Whan;Lee, Soon Ju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4호
    • /
    • pp.193-19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utonomic imbalance in syncope by comparing the baseline heart rate variability (HRV) between healthy children and those with vasovagal syncope. Methods: To characterize the autonomic profile in children experiencing vasovagal syncope, we evaluated the HRV of 23 patients aged 7-18 years and 20 healthy children. These children were divided into preadolescent (<12 years) and adolescent groups. The following time-domain indices were calculated: root mean square of the successive differences (RMSSD); standard deviation of all average R-R intervals (SDNN); and frequency domain indices including high frequency (HF), low frequency (LF), normalized high frequency, normalized low frequency, and low frequency to high frequency ratio (LF/HF). Results: HRV val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ealthy children and those with syncope. Student t test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SNDD values (60.46 ms vs. 37.42 ms, P =0.003) and RMSSD (57.90 ms vs. 26.92 ms, P=0.000) in the pati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patient group, RMSSD (80.41 ms vs. 45.89 ms, P =0.015) and normalized HF (61.18 ms vs. 43.19 ms, P =0.02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dolescents, whereas normalized LF (38.81 ms vs. 56.76 ms, P =0.022) and LF/HF ratio (0.76 vs. 1.89, P =0.04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dolescents.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V values between adolescents and preadolesce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syncope had a decreased sympathetic tone and increased vagal tone compared to healthy children. Additionally, more severe autonomic imbalances possibly occur in adolescents than in preadolescents.

경부 경막외 마취중 발생한 Bezold-Jarisch 반사 -2예 보고- (Bezold-Jarisch Reflex during Cervical Epidural Anesthesia -Two case reports-)

  • 이경진;민상기;한상건;이성중;김명은;문봉기;이영석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1권1호
    • /
    • pp.143-145
    • /
    • 1998
  • There are reports on cervical epidural anesthesia for surgery of neck, chest and upper limb. However, there are limited published data on the specific problems with this procedure, including dural puncture, epidural abscess, and vasovagal syncopes. We experienced two cases of vasovagal syncope during cervical epidural anesthesia in the sitting position. These syncopes consisted of sudden hypotention and bradycardia, associated with nausea, dizzness and sweating. The patients were resuscitated successfully and recovered without any adverse effects. Current literature is being reviewed and the possible mechanisms of cardiac arrest under cervical epidural anesthesia in the sitting position are being discussed.

  • PDF

Sudden unexpected cardio-respiratory arrest after venipuncture in children

  • Jeong, Goun;Shin, Son Moon;Kim, Nam Su;Ahn, Young M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4호
    • /
    • pp.108-11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soci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udden cardiorespiratory arrest after venipuncture in children.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email-based survey of all members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on patient demographics, socioenvironmental circumstances of the venipuncture, type of cardiorespiratory arrest, symptoms and signs, treatment, prognosis, and presumed cause of the arrest. Results: Fourteen patients were identified. Of these, 13 were young children (<2 years old), and 1 was 14 years old. All patients had been previously healthy and had no specific risk factors for sudden cardiorespiratory arrest. Most cases (n=11, 79%) were defined as cardiac or cardiorespiratory arrest, while the remaining cases (n=3, 21%) were defined as respiratory arrest. Aspiration (n=3), acute myocarditis (n=2), and laryngeal chemoreflex (n=1) were presumed as the causes; however, the exact causes were unclear. The overall prognosis was poor (death, n=7; morbidity, n=5; full recovery, n=2). The medical institutions faced severe backlash because of these incidents (out-of-court settlement, n=5; medical lawsuit, n=5; continuous harassment, n=3). Conclusion: Cardiorespiratory arrest after venipuncture is unpredictable and the probable cause of most cases is a vasovagal reaction. Medical personnel must be aware of the risk of unexpected cardiorespiratory arrest during routine intravenous procedures.

Is There a Role for a Needle Thoracoscopic Pleural Biopsy under Local Anesthesia for Pleural Effusions?

  • Son, Ho Sung;Lee, Sung Ho;Darlong, Laleng Mawia;Jung, Jae Seong;Sun, Kyung;Kim, Kwang Taik;Kim, Hee Jung;Lee, Kanghoon;Lee, Seung Hun;Lee, Jong Ta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2호
    • /
    • pp.124-128
    • /
    • 2014
  • Background: A closed pleural biopsy is commonly performed for diagnosing patients exhibiting pleural effusion if prior thoracentesis is not diagnostic. However, the diagnostic yield of such biopsies is unsatisfactory. Instead, a thoracoscopic pleural biopsy is more useful and less painful. Methods: We compared the diagnostic yield of needle thoracoscopic pleural biopsy performed under local anesthesia with that of closed pleural biopsy. Sixty-seven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were randomized into groups A and B. Group A patients were subjected to closed pleural biopsies, and group B patients were subjected to pleural biopsies performed using needle thoracoscopy under local anesthesia. Results: The diagnostic yields and complication rate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The diagnostic yield was 55.6% in group A and 93.5% in group B (p<0.05).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developed in seven group A patients but not in any group B patients. Of the seven complications, five were pneumothorax and two were vasovagal syncope. Conclusion: Needle thoracoscopic pleural biopsy under local anesthesia is a simple and safe procedure that has a high diagnostic yield. This procedure is recommended as a useful diagnostic modality if prior thoracentesis is non-diagnostic.

상악골괴사 환자에서 페니실린 정주 후 아나필락틱 쇼크: 증례보고 (Anaphylactic Shock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Penicillin in a Patient with Maxillary Osteonecrosis: Report of a Case)

  • 오지현;손정석;최병호;이정섭;김지훈;유재하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3-250
    • /
    • 2014
  • Generalized anaphylaxis is a most dramatic and acutely life-threatening allergic reaction and may cause death within a few minutes. Differential diagnosis of anaphylaxis is made by clinical signs, such as, mental change, respiratory distress, hypotension, hypoglycemia, urticaria and angioedema. Especially, insulin reaction, myocardial infarction and vasovagal syncope are considered as differential diagnosis. In cases of fatal anaphylaxis,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disturbances predominate and are evident early in the reaction. This is a case report of the intensive care of anaphylactic shock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the penicillin in a old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 with the maxillary osteonecrosis. The anaphylactic shock symptoms, such as, unconsciousness, respiratory disorder, no pulsation on carotid artery and cardiopulmonary arrest are occurred in intravenous injection of augmentin 1.2 g after the skin test. In spite of immediate emergency cares, such as intravenous injection of epinephrine, endotracheal intubat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continuous intensive care, the patient is expired in 58 hours after anaphylactic shock attack.

소아에서 발현한 배뇨 후 실신 1례 (A Case of Micturition Syncope in a Child)

  • 이선연;류수정;김덕수;김영휘;고태성;김재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2호
    • /
    • pp.1274-1278
    • /
    • 2003
  • 배뇨 후 실신은 신경 매개성 반사에 의한 실신으로 사태실신의 한 종류이며 건강한 남성에서 아침에 기립 배뇨시에 잘 일어난다. 실신의 원인은 다양하기 때문에 배뇨후 실신의 진단을 위해 정확한 병력과 심전도, 운동부하검사, 심초음파, 기립경사검사, 뇌파, 뇌 자기공명영상, 요류 동태 검사 등이 사용된다. 배뇨후 실신의 기전은 부교감 신경계의 반사 자극으로 서맥과 말초혈관 확장이 일어나고 Valsalva 효과에 의해 심실로 정맥환류가 감소하게 되어서 대뇌 혈류감소가 일어나 실신하게 된다. 실신시 뇌파는 대뇌 혈류감소에 의해 고진폭의 서파와 평탄화 소견이 나타나게 되고 심한 허혈시에는 허혈성 경련을 일으킬 수도 있다. 저자들은 9세 남아로 기립배뇨시 실신을 보인 후 저혈압을 보이고 특징적인 뇌파소견을 보인 환아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출혈위험 임산부에서의 자가수혈 (Autologous Transfusion in Pregnant Women with Significant Risk for Hemorrhage)

  • 김기득;배철성;박윤기;김종욱;고민환;이승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95-103
    • /
    • 1990
  • 1989년 8월 1일부터 1990년 4월 30일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서 대량출혈이 예상되는 18명의 환자에서 21례의 자가수혈을 시행하여 관찰한 결과 자가수혈의 가장 많은 적응증으로는 전치태반이었으며(10/21) 수술후 자가수혈 및 homologous transfusion의 빈도도 제일 많았다. 출혈위험이 있는 산모 20례중 6례에서 자가수혈로 인해 homologous transfusion을 피할 수 있었다. 혈액 채취전후의 혈압 및 맥박, 호흡 및 reticulocyte등은 통계학적으로 별차이점이 없었고, 채혈전후에 시행하였던 태아감시장치상 약 8례에서 약간의 이상이 나타났으나 대부분 자세변화 및 산소공급으로 20분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왔다. 태어난 신생아중 거대아 1명, 저체중아 3명이었으며 14명이 정상체중아였고, 분만전의 채혈로 인한 이상소견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채취전후의 혈액학적 변화로소 채취전 Hct는 $34.1{\pm}2.9%$였고, 채취 후는 $31.8{\pm}2.4%$로 유의성이 있었다(P<0.01). 대부분의 혈액 채취시간은 4-8분 정도였으며 채혈시 산모에서 특별한 합병증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3명을 제외하고 15명이 채혈후 3주 이내에 분만하였다. 상기한 여러가지 결과 대량출혈이 예상되는 산모에 있어서 수술전에 혈액을 채취하여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자가수혈은 산모 및 태아에 있어 특별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산모에 있어서 자가수혈은 homologous transfusion을 피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한 방법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고, 채혈시 나타났던 태아감시상의 여러가지 이상소견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체위변화가 두부 및 하지의 분시혈류량에 미치는 영향 (Changes of Minute Blood Flow in the Large Vessels during Orthostasis and Antiorthostasis, before and after Atropine Administration)

  • 박원균;채의업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9권2호
    • /
    • pp.139-153
    • /
    • 1985
  • 기립 및 도립의 체위면화가 두부 및 하지의 혈액순환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atropine의 정주에 의한 부교감신경의 차단이 체위변화에 대한 심맥관계의 내성을 증가시키는 지를 보기위하여 개를 경사대에 수평위로 고정하여 수동적으로 기립 및 도립위로 체위를 변화시키고, 각 체위에서 10분간 유지시켜 경동맥, 외경정맥, 고동맥 및 고정맥의 분시 혈류량, 분시 심박수 및 분시 호흡수, 그리고 혈액의 pH, $PCO_2$, $PO_2$ 및 Hct를 측정하였다. 다시 수평위에서 atropine 0.5mg을 1회 정주한 후 위의 실험과정을 반복하여 시행하고 atropine투여전과 비교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기립시 두부 및 하지 동정맥혈의 분시 혈류량은 감소하였고, 특히 두부로 가는 혈류량의 감소가 더 컸으나, atropine의 투여는 경동맥의 분시 혈류량의 감소를 억제하였다. 도립시 두부 및 하지의 분시 혈류량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개체에 따라 변화양상도 다르게 나타났다. atropine의 투여는 투여전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시 심박수는 기립 및 도립시 모두 증가하였다. atropine의 투여는 수평위에서 분시 심박수는 투여전 보다 증가하나, 체위변화에 의한 분시 심박수의 증가를 경감시켰다. 분시 호흡수는 개체에 따라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기립시는 감소하고 도립시는 증가하였다. atropine의 투여는 기립 및 도립시 다 같이 분시 호흡수의 변화를 억제하였다. 혈액소견은 기립시 정맥철의 pH 및 $PO_2$는 감소하였고, $PCO_2$는 증가하나 동맥혈의 $PCO_2$는 감소하였다. 도립시 동정맥혈의 소견은 수평위에 비해 별 변화가 없었으며 , atropine의 투여후도 기립 및 도립시 모두에서 투여전에 비하러 유의한 변하는 없었다. Hct는 기립 및 도립시 증가하였으며 atropine투여에 의한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atropine의 투여는 기립시 두부로 가는 혈류량을 증가시키며, 기립 및 도립시 발생할 수 있는 분시 심박수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함으로서 체위변화에 대한 심맥관계의 내성을 증가시키는데 어느정도 효과가 있다고 하겠다.

  • PDF

소아청소년 실신 환자에서 기립 경사 검사의 유용성 (Effectiveness of head-up tilt test for the diagnosis of syncop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유가영;최지혜;유춘자;이경석;주찬웅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7호
    • /
    • pp.798-803
    • /
    • 2009
  • 목 적 : 실신은 소아와 청소년들에게 흔히 발생되는 증상으로 혈관 미주신경성 실신이 가장 흔한 형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원인불명의 실신 및 그와 유사한 증상으로 내원한 소아청소년기 환자들에게 기립 경사 검사(head-up tilt test, HUT)의 반응과 진단적 가치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에 실신 및 실신 전 증상을 주소로 HUT를 하고 임상적으로 혈관 미주신경성 실신이 의심되는 160명(남 82명, 여 78명, 7-20세)을 대상으로 임상 양상 및 HUT 결과와 그 반응에 대해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HUT는 70도 경사에서 45분간 시행하였으며 일부는 isoproterenol 0.5-1.0 ug/min 주사를 이용하였으며 이 환아들을 소아군(7-12세, 39명, $10.59{\pm}1.60$세), 청소년군(13-20세, 121명, $15.93{\pm}2.28$세)으로 분류하여 두 군 간의 HUT 양성률과 그 반응유형을 비교해 보았다. 결 과 : 대상 환아 160명 중에서 양성반응인 환아는 92명(57.5%)이었고, 남녀 비는 차이가 없었다. 양성 반응은 혼합형이 70례로 제일 흔한 반응이었고, 혈관억제형이 12례, 무수축을 동반하지 않은 심장억제형이 6례, 무수축을 동반한 심장억제형이 4례이었다. 실신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HUT를 비롯하여 혈액흉부 방사선 촬영, 심전도와 24시간 holter 검사 및 운동부하검사, 뇌파 검사, 뇌 단층촬영과 뇌 자기공명검사, 심초음파 검사 등이 시행되었다. 또한 연령대에 따른 HUT의 양성 반응률 비교는 소아군 43.6% (17/39), 청소년군 62% (75/121)이었고, 혼합형 반응이 소아 군에서 15명(38.4%)에서 청소년군 55명(45.0%)으로 청소년군이 더 높은 양성률을 보였으나 두 그룹간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HUT는 혈관 미주신경성 실신이 의심되는 병력과 진찰 소견이 정상인 소아에서 여러 다른 검사 방법에 우선하여 시행함으로써 실신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