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scularized fibular graft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1초

유리혈관화비골 미세이전과 골유착성 임프란트를 이용한 심미 기능적 편측하악골 결손 재건 (DENTO-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FREE FIBULAR FLAP AND OSSEOINTEGRATION)

  • 이종호;정현주;배정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3호
    • /
    • pp.220-230
    • /
    • 1995
  • 하악골에 발생한 치성점액종을 하악골 절제와 함께 혈관화 유리 비골판으로 재건한다음, 3개월째에 골내성 임프란트를 이용하여 편측하악골 결손을 기능적, 해부학적 및 심미적으로 회복하였다. 비골은 골내성 임프란트를 매식하기에 충분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었으며, 골질도 아주 치밀하였다. 미세혈관문합술을 이용한 유리 조직이전술과 임플란트 술식이 병행되어 앞으로의 치과 재건 영역에서 주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a ready-made type and a custom-made type titanium mesh after mandibular resection in patients with oral cancer

  • Lee, Won-bum;Choi, Won-hyuk;Lee, Hyeong-geun;Choi, Na-rae;Hwang, Dae-seok;Kim, Uk-kyu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0권
    • /
    • pp.35.1-35.7
    • /
    • 2018
  • Background: After the resection at the mandibular site involving oral cancer, free vascularized fibular graft, a type of vascularized autograft, is often used for the mandibular reconstruction. Titanium mesh (T-mesh) and particulate cancellous bone and marrow (PCBM), however, a type of non-vascularized autograft, can also be used for the reconstruction. With the T-mesh applied even in the chin and angle areas, an aesthetic contour with adequate strength and stable fixation can be achieved, and the pores of the mesh will allow the rapid revascularization of the bone graft site. Especially, this technique does not require microvascular training; as such, the surgery time can be shortened. This advantage allows older patients to undergo the reconstructive surgery. Case presentation: Reported in this article are two cases of mandibular reconstruction using the ready-made type and custom-made type T-mesh, respectively, after mandibular resection. We had operated double blind peer-review process. A 79-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the authors' clinic with gingival swelling and pain on the left mandibular region. After wide excision and segmental mandibulectomy, a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was used to cover the intraoral defect. Fourteen months postoperatively, reconstruction using a ready-made type T-mesh (Striker-Leibinger, Freibrug, Germany) and iliac PCBM was done to repair the mandible left body defect. Another 62-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the authors' clinic with pain on the right mandibular region. After wide excision and segmental mandibulectomy on the mandibular squamous cell carcinoma (SCC), reconstruction was done with a reconstruction plate and a right fibula free flap. Sixteen months postoperatively, reconstruction using a custom-made type T-mesh and iliac PCBM was done to repair the mandibular defect after the failure of the fibula free flap. The CAD-CAM T-mesh was made prior to the operation. Conclusions: In both cases, sufficient new-bone formation was observed in terms of volume and strength. In the CAD-CAM custom-made type T-mesh case, especially, it was much easier to fix screws onto the adjacent mandible, and after the removal of the mesh, the appearance of both patients improved, and the neo-mandibular body showed adequate bony volume for implant or prosthetic restoration.

하악 체부에서 과두부까지 이환된 만성 화농성 골수염 환자의 보존적 외과술식을 이용한 치험례 (CONSERVATIVE TREATMENT OF CHRONIC SUPPURATIVE OSTEOMYELITIS ON MANDIBULAR BODY TO CONDYLE AREA: A CASE REPORT)

  • 이대정;최문기;오승환;이종복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6호
    • /
    • pp.474-480
    • /
    • 2009
  • These is a cases of chronic suppurative osteomyelitis occurred in the mandibular body to condyle of 48-year-old male patient. Extensive bone destruction was noted on the right mandibular body, angle, ascending ramus, mandibular notch and condylar region. We made a treatment plan that radicular mandibular resection from body to condyle and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vascularized fibular flap at first time. But, we could observe marked bone regeneration with only mild curettage, local wound care and massive antibiotic therapy. So we preserved the anterior ramus portion of mandible. Defected mandibular condyle was reconstructed with costochondral graft.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case of a patient who has chronic osteomyelitis in mandibular area.

상지에 발생한 악성 및 침윤성 양성골종양에 대한 사지 구제술 (Limb Salvage in the Treatment of the Upper Extremity Bone Tumors)

  • 한수봉;신규호;김범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54-163
    • /
    • 1995
  • 1986년 3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상지에 발생한 악성 및 침윤성 양성 골종양에 대하여 사지구제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13명의 상지에 발생한 악성 및 침윤성 양성골종양 환자에 대해 사지 구제술을 시술 하였다. 2. 사지 구제 술의 내용은 8 례가 Tikhoff -Linberg 수술, 2 례가 분절절제 및 재접합술, 2 례가 종양삽입물 치환술 그리고 1 례가 분절절제술 및 유리혈관부착 생비골이식술이었다. 3. 13 례중 3 례가 골육종, 4 례가 연골육종, 3 례가 거대세포종, 1 례가 병적 골절을 동반한 유잉육종, 1 례가 연골아세포종, 1 례가 전완부 건 및 근육과 원위요골 및 척골을 동시에 침범한 평활근 육종이었다. 4. 추시기간은 술수 1년에서부터 7년 5개월로 평균 4년 5개월이었다. 5. 총 13명의 환자 중 1 례의 상완골에 발생한 병적 골절을 동반한 유잉 육종의 환자에서 국소재발 및 다발성 골전이가 나타나 수술 후 4년 4개월만에 사망하였고 나머지 12 례의 환자는 국소재발이나 원격전이의 소견은 없었다. 6. 상지에 발생한 악성 및 침윤성 양성 골종양의 치료로 여러방법의 사지구제술은 병의 치료 면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만족스런 결과를 가져왔다.

  • PDF

골종양 절제 후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의 합병증 및 해결방법 (How to Overcome Complications of Allograft Transplantation?)

  • 조율;최영;권영호;정소학;김재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5-72
    • /
    • 2011
  • 목적: 골종양을 절제한 후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 후 발생한 합병증을 평가하고 그 합병증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골종양 절제 후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15예에 대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자료를 통해 후향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남자가 8예, 여자가 7예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27.1세(1-56세), 평균 추시 기간은 89.5개월(33-146개월)였다. 21예(80.0%)에서 평균 8.35개월(4-12개월)에 방사선학적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점수 평균은 73.5%(46.6-93.0%)였다. 동종골 이식과 관련된 술 후 합병증을 모두 기록하였다. 추시 기간 동안 9예(60.6%)에서 한 가지의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3예(20.0%)에서 두 가지 이상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합병증으로는 감염 3예, 골절 2예, 불유합 2예, 하지 부동 2예, 내반 변형이 2예였다.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평균 기간은 60.8개월(6-144개월)이었다. 동종골의 평균 생존기간은 80.2개월이었고 5년 생존률은 83.0%였다. 결론: 동종골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하여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시 자가비골을 추가하는 것이 추천된다. 더나아가 조직 공학 기술과 줄기 세포 및 혈소판 풍부 혈장의 적용이 동종골의 재흡수나 불유합 등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에서 사지 구제술의 종양학적 결과 및 기능적 평가 (Oncologic Results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Limb Salvage Surgery in Primary Bone Tumors Around the Shoulder Girdle)

  • 이상훈;유재호;오주한;서성욱;김한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6-105
    • /
    • 2002
  • 목적: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 환자에서 시행한 사지 구제술의 종양학적,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2년에서 2001년 사이에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으로 본원에서 사지 구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추시 관찰이 가능한 2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35세, 평균 추시 기간은 7년 1개월(1년 2개월~19년 9개월)이었고, 골육종 7예, 연골육종 14예, 방골성 골육종 1예, 혈관외피종 1예, 거대세포종 6예였다. 사지 구제술의 방법으로는 시멘트 충전술을 7예에서,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을 10예에서, 종양 대치물 삽입술을 7예에서 이용하였으며, 5예에서는 절제만 시행하거나, 골이식, 관절 유합술 등을 실시하였다. 술 후 기능 평가는 근골격계 종양 학회(Musculoskeletal Tumor Society)의 상지 근골격계 종양 환자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추시 도중 6예에서 국소 재발 하였고, 2예에서 폐 전이로 재발 하였고, 2예에서는 국소 재발과 폐전이가 모두 있었으며 3명이 사망하였다. 구제된 상지의 생존율은 최종 추시상 88.6%였으며, 재발이나 전이가 있을 경우 열등한 사지의 생존율을 보였다(p=0.012). 근골격계 종양 학회 기능 평가상 구제된 상지의 기능 점수는 평균 80%(24점, 18~30점)였다. 치료방법에 따른 기능 점수는 시멘트 충전술 86%,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 71%, 종양 대치물 삽입술 83%점으로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p=0.034). 합병증으로 요골 신경 마비와 액와 신경 마비가 각각 1예 있었으며, 생 비골 이식편의 이탈로 재수술을 받은 경우가 1예, 창상 감염이 1예 있었다. 결론: 견관절 주위 악성 골 종양과 거대 세포종의 치료에 있어서, 사지 구제술은 종양학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