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scular plants

검색결과 773건 처리시간 0.025초

길상산 (강화도)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Mt. Gilsangsan (Ganghwa-Isl.), Korea)

  • 김중현;김선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0-304
    • /
    • 2013
  • 본 연구는 길상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2년 3월부터 11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22과 359속 529종 7아종 51변종 2품종 3교잡종으로 총 59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길상산은 식물구계학상 온대중부지역에 속하고 낙엽활엽수와 침엽수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소나무-참나무류림이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종 다양성이 높은 과는 국화과(11.0%), 화본과(10.7%), 사초과(6.38%), 콩과(3.86%), 장미과(3.52%)였다. 한국 고유종은 각시족도리풀, 외대으아리, 고광나무, 개나리, 늦둥굴레 등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의 관속식물은 위기종(EN)인 구상나무, 준위협종(NT)은 산닥나무, 흑삼릉, 관심대상종(LC)에 측백나무, 개쓴풀, 금붓꽃, 미평가종(NE)으로 늦둥굴레가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 VI등급이 각각 2분류군, III등급 9분류군, II등급 3분류군, I등급 29분류군 등 45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6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10.7%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에는 애기수영, 가시박, 도깨비가지, 돼지풀, 단풍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등 8분류군이었다. 또한 생활형조성은 일년생식물(26.5%), 반지중식물(26.0%), 지중식물(14.0%) 등이 높게 나타났다.

남한산성 성벽의 관속식물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Wall of Namhan Mountain Fortress)

  • 차두원;최동석;김지석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0-30
    • /
    • 2021
  • 본 연구는 남한산성 성벽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상 조사, 분석을 통해 남한산성 성벽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여 향후 남한산성 성벽 식물 보존 및 관리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남한산성 성벽에 분포하는 전체 식물 분류군 수는 77과 169속 222종 5아종 19변종 3품종으로 총 249분류군이었다. 생활형은 반지중식물의 출현 비율이 높았으며 희귀식물은 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5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전체 15분류군이며 IV등급 1분류군, III등급 3분류군, II등급 2분류군, I등급 9분류군이었다. 이 중 병아리풀은 식물구계학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IV등급으로 본 대상지 이외에 추가 서식이 확인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경기도 일대에서 최초의 기재이다. 암벽식생으로 확인된 식물은 2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침입외래식물은 2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흰진범, 자주조희풀, 큰꿩의비름, 병아리풀 등 남한산성 성벽에 분포하는 식물은 성벽 유실, 침입외래식물 확산, 인간 간섭 등으로 인해 종·개체수 감소가 우려되므로 보존 및 관리 조치가 필요하다.

외나로도(전라남도 고흥군)의 관속식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Oenarodo Island (Goheung, Jeollanam-do))

  • 황희숙;정수영;장정원;양종철;장계선;오승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85-500
    • /
    • 2014
  • 본 연구는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 지역에 대하여 기 확보된 표본과 2011년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관속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전체 관속식물은 117과 342속 503종 2아종 62변종 7품종으로 총 57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주요내용으로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특산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은 10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4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이 지정한 특별산림보호대상종은 1분류군이다. 그밖에 식물자원은 513분류군이 밝혀졌으며, 그 중 182분류군이 두 가지 이상의 활용성이 기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 골지천유역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Golji stream watershed in Gangwon province, Korea)

  • 김중현;김진석;김선유;이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6-163
    • /
    • 2014
  • 본 연구는 강원도 골지천유역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12년 5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24과 420속 730종 8아종 78변종 6품종 3교잡종의 총 82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고유종 34분류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 3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16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본 조사지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특이적으로 분포하는 식물은 101분류군이며, 이 중 호석회식물은 37분류군, 북방계식물은 6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수생식물 34분류군, 귀화식물 69분류군이 발견되었다.

외나로도의 관속식물상 (Flora of vascular plants on Oenarodo Island)

  • 황승현;라은화;이진웅;안진갑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79-197
    • /
    • 2019
  • 전라남도 고흥군에 위치하는 외나로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2015년 3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3년 동안 총 21회의 현지조사에서 확보된 표본에 근거하여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고, 국립생물자원관 표본관(KB)과 대전대 생물학과 표본실(TUT)에 수장하였다. 본 조사에서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은 122과 364속 538종 6아종 41변종 2품종의 총 587분류군이다. 멸종위기야생생물로는 혹난초, 지네발란, 대흥란, 석곡 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한반도고유종은 변산바람꽃, 해변싸리, 거제물봉선 등 14분류군이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 4분류군, IV등급 4분류군, III등급 47분류군, II등급 18분류군, I등급 64분류군으로 총 13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적색식물목록종으로는 위급종(critically endangered) 꽃꿩의다리를 포함하여1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로는 가시상추, 물참새피 등 4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양산 천성산지역 관속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 in Mt. Cheonsung, Yangsan)

  • 신현탁;이재윤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0-194
    • /
    • 2009
  • 본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21과 399속 510종 67변종 7품종 2아종 및 2교잡종 등 59 식재종을 포함하여 588종류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116종은 금번 조사에서 새로이 추가되었다. 경부고속철도가 통과하는 지역인 무제치 3, 4, 5, 6늪과 대성사 주위의 습지와 천성산일원에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6종, 한국특산식물은 9종이 발견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7종이 발견되었다. 경부고속철도건설로 인하여 나타날 식물상의 변화, 특히 습지의 식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사후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고층습지의 수원 변동에 대하여 식물보전계획을 수립해야한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내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The Plant Distribution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Korea National Baekdudaegan Arboretum, Gyeongsangbuk-do, South Korea)

  • 변준기;신재권;오승환;김동갑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4-224
    • /
    • 2016
  • 본 연구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조성부지 내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2007년 4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총 12차례에 걸쳐 수행되었다. 관속식물은 89과 289속 489종 5아종 66변종 9품종의 총 569분류군이며, 이 중 한국 특산식물은 총 20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2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 2분류군, IV등급 8분류군, III등급 23분류군, II등급 40분류군, I등급에는 39분류군 등 총 112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22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3.8%로 나타났다. 조사된 569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 223분류군(39.2%), 목초용 202분류군(35.5%), 약용 168분류군(29.5%), 관상용 58분류군 (10.2%), 목재용 26분류군(4.6%), 섬유용 5분류군(0.9%), 공업용 4분류군(0.7%)순으로 나타났다.

운문산(경북 청도) 군립공원 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A Study on resource plants around the provincial park in Mt. Unmun(Cheongdo-gun, Gyeongsangbuk-do))

  • 박선주;송임근;박성준;이원형;장순영;안보람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7-349
    • /
    • 2010
  • 운문산 자연휴식년제구역 일원의 식물상과 용도를 파악하고자 2007년 1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월 평균 2회이상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운문산 일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98과 304속 514종 3아종 68변종 20품종으로 총 605분류군이었다. 이중 희귀 및 멸종위기야생식물은 21분류군, 특산식물은 29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노랑무늬붓꽃과 천마 등 7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23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용도별 구성은 식용 225분류군(37.2%), 약용 191분류군(31.6%), 관상용 64분류군(10.6%), 목초용 46분류군(7.6%), 목재용 18분류군(3.0%), 섬유용 14분류군(2.3%), 공업용 3분류군(0.5%)로 나타났다. 자연자원관리를 위하여 자연체험학습장으로 설정하여 불필요한 간섭을 최소화하고, 생태계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효율적인 관리대책을 마련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아산호 습지에서 관속식물의 군집 구조와 생산성 및 영양염류의 흡수 (Community Structure, Productivity, and Nutrient Uptake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Wetlands of the Asan-Lake)

  • 김철수;손성곤;이정환;오경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01-209
    • /
    • 2000
  • 아산호 연안대의 습지에서 식물군락과 호소 환경과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1997년 3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수생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의 종조성, 분포 면적, 식생 구조, 현존량, 식물체에 의한 영양염류 흡수 등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38과 89속 106종 14변종으로 총 120종류가 분포하였는데, 그 중 수생식물은 정수식물 14종류, 침수식물 5종류, 부수식물 4종류 등 23종류가 출현하였고,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은 97종류였다. 조사 지소별 분포 종수는 4∼85종류로 조사지소별로 차이가 많았다. 우점종은 줄(Zizania latifolia)이었으며, 부들(Typha orientalis), 갈대(Phragmites communis),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등의 순으로 중요치가 낮아졌다. 정수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의 분포 면적은 49.3 ㏊(90.5%)이고 부수식물이 5.2 ㏊(9.5%)이며, 부엽식물 및 침수식물은 분포 면적이 매우 적었다. 생활형별 연순생산량은 정수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이 547.9 ton D.W./yr, 그리고 부수식물이 10.5 ton D.W./yr로서 이들의 비율은 98: 2이며, 호소 전체의 연순생산량은 558.4 ton D.W./yr에 달한다. 아산호 전체에서 관속식물에 의한 질소 및 인의 연간 흡수량은 각각 7,099kg 및1,891 kg이었다.

  • PDF

건지산(전주)의 식물상 (The Flora of Geonjisan, Jeonju)

  • 김계환;박준모;임성구;황영희;조성종;김상용
    • 임산에너지
    • /
    • 제20권1호
    • /
    • pp.12-27
    • /
    • 2001
  • 전주시 건지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건지산에서 조사된 식물은 94과 245속 306종 49변종 4품종으로 총 359분류군이었다. (2) 이들 식물중 목본식물은 49과 91속 125종 15변종 4품종의 총 144분류군, 초본식물은 54과 157속 181종 34변종의 총 215분류군이었으며, 귀환식물은 12과 22속 28종 1변종의 총 29분류군이었다. (3) 건지산의 현존 식생은 대부분 인공조림으로 조성된 아까시나무, 화백, 편백, 비자나무, 밤나무 및 중국단풍 등이 교목층을 형성하는 우점식생이었으며, 자연식생으로는 상수리나무와 졸참나무가 일부 교목층을 형성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