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Wall of Namhan Mountain Fortress

남한산성 성벽의 관속식물 특성 연구

  • 차두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 최동석 (서울시 시설계획과) ;
  • 김지석 (서울시 중부공원녹지사업소 공원여가과)
  • Received : 2021.01.26
  • Accepted : 2021.02.22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mhan Mountain Fortress Walls vascular plants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Namhan Mountain Fortress Walls and to provide basic data when establishing a plan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mhansanseong Fortress Wall vascular plants. The result of this survey revealed 249 taxa composed of 77 families, 169 genera, 222 species, 5 subspecies, 19 varieties and 3 forms. In terms of life form of Namhan Mountain Fortress Walls, the appearance rate of Hemicryptophytes(H) was high. Rare plants was 1 taxa and Korea endemic plants was 5 taxa. The total number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was 15 taxa, gradeI 9 taxa, gradeII 2 taxa, gradeIII 3 taxa, gradeIV 1 taxa. Among them, Polygala tatarinowii Regel is considered to the most important(gradeIV), and it is first description because in Gyeonggi-do, as no additional forms have been confirmed other than this site. Plants identified as rock vegetation were found in 21 taxa. Invasiv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20 taxa. Plants distributed on the walls of Namhan Mountain Fortress, such as Aconitum longecassidatum Nakai, Clematis heracleifolia DC. var. tubulosa (Turcz.) Kuntze, 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Ohba and Polygala tatarinowii Regel etc, are feared to decrease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due to the loss of walls, the spread of invasive alien plant and human interference, so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are needed.

본 연구는 남한산성 성벽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상 조사, 분석을 통해 남한산성 성벽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여 향후 남한산성 성벽 식물 보존 및 관리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남한산성 성벽에 분포하는 전체 식물 분류군 수는 77과 169속 222종 5아종 19변종 3품종으로 총 249분류군이었다. 생활형은 반지중식물의 출현 비율이 높았으며 희귀식물은 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5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전체 15분류군이며 IV등급 1분류군, III등급 3분류군, II등급 2분류군, I등급 9분류군이었다. 이 중 병아리풀은 식물구계학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IV등급으로 본 대상지 이외에 추가 서식이 확인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경기도 일대에서 최초의 기재이다. 암벽식생으로 확인된 식물은 2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침입외래식물은 2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흰진범, 자주조희풀, 큰꿩의비름, 병아리풀 등 남한산성 성벽에 분포하는 식물은 성벽 유실, 침입외래식물 확산, 인간 간섭 등으로 인해 종·개체수 감소가 우려되므로 보존 및 관리 조치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천우(2006). 남한산성 축성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박천범(2013). 남한산성 여장 축조지법의 특성과 보수기법 고찰.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병국(2011). 남한산성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학기(2011). 남한산성 소나무림 식생구조변화 및 관리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빈경민(2019). 조선시대 행궁의 역사와 풍수론 연구: 남한산성행궁을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환경부, 국립공원연구원(2017). 남한산성도립공원 자연자원조사.
  7. 김종원(2013). 한국식물생태보감. 자연과생태.
  8. 노재현, 오현경, 최영현, 김영숙(2014). 제주 정의읍성 벽면식생에 근 거한 벽면식재용 식물 선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2(2):33-40. https://doi.org/10.9715/KILA.2014.42.2.033
  9. 김종원, 이율경(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 조사와 평가 방법. 월드사이언스.
  10. 김하송(1995). 거문도 특집: 거문도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상변화와 암벽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연구. 6(1): 75-90.
  11. 최재헌, 이혜은(2013). 세계유산적 가치의 관점에서 본 산성도시 남한산성의 경관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1): 1-17.
  12. 이경재, 한봉호, 이학기, 노태환(2012). 남한산성 소나무림의 19년간 (1993-2011년) 식생구조 변화와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4): 559-575.
  13. 성남시(2018). 통계연보.
  14. 이창복(200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5. 김진석, 김태영(2012). 한국의 나무. 돌베개.
  16. 김진석, 김중환, 김종현(2018). 한국의 들꽃. 돌베개.
  17. 산림청, 국립수목원(2017). 국가표준식물목록.
  18.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II. Gebruder Bomtraeger.
  19.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ly & Sons. New York.
  20. 산림청, 국립수목원(2008).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21. 정규영, 장계선, 정재민, 최혁재, 백원기, 현진오(2017). 한반도 특산식물 목록. 식물분류학회지. 47(3): 264-288. https://doi.org/10.11110/kjpt.2017.47.3.264
  22. 김철환, 문명옥, 안진갑, 황인천, 이승혁, 최승세, 이중효, 범현민, 김철구, 차진열(2018). 한국산 최신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국립생태원.
  23. 이창숙, 이강협(2018). 한국의 양치식물. 지오북
  24. 윤충원(2019). 나무생태도감. 지오북
  25. 산림청, 국립수목원(2019). 국가외래식물목록.
  26. 환경부고시 제2020-285호.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고시.
  27. 이양주, 장누리(2018). 제2차 경기도 야생생물보호 세부계획. 경기연구원.
  28. 오현경, 김동필, 유주한(2017). 한남정맥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의 특성: 문수산, 계양산, 수리산, 광교산을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26(2): 140-159 https://doi.org/10.14249/eia.2017.26.2.140
  29. 산림청, 국립수목원(2012). 석회암지대의 식물. 지오북.
  30. 오영주, 류지혁, 문병철, 손수인, 오세문, 김석철(2008). 한국 중부지 방의 환삼덩굴 군락구조와 서식지 특성. 한국환경농학회지. 27(1):72-79. https://doi.org/10.5338/KJEA.2008.27.1.072
  31. 박석철, 한봉호, 박민진(2019). 맹꽁이 대체서식지 조성 평가 및 유지관리 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맹꽁이 대체서식지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47(1): 76-87. https://doi.org/10.9715/KILA.2019.47.1.076
  32. 국립환경과학원(2012). 한국의 주요 외래 동.식물. 지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