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able Message Sign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7초

인프라 독립형 가변안내표지판의 효율적 전력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f Effective Power Management for Infrafree Variable Message Sign)

  • 임세미;이지훈;박준석;김병종;김원규;손승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53-62
    • /
    • 2011
  •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ITS) 정책의 일환으로 가변안내표지판의 보급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그 중 하나가 지역별 교통 정보 제공의 불평등 및 비효율성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선 및 통신선 구축이 어려운 인프라 취약 지역에서도 도로상황 및 기상상태 등의 교통정보 제공을 위해 인프라 독립형 가변안내표지판을 제안하였다. 인프라 독립형 가변안내표지판은 인프라 취약지역에서 운영되므로 그 특성상 시스템 구성, 운영방안 등에서 일반형 가변안내표지판과는 차별성을 가지므로 그 특성을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태양광 발전으로 획득된 한정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이를 고려한 배터리 체결구조와 가변안내표지판의 표출 메시지에 따른 전력 운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인프라 독립형 가변안내표지판뿐만 아니라 병렬 구조의 배터리가 사용되는 다양한 용도의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제어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동해석 기반 도로전광표지 공기저항 저감 구조 연구 (A Study for Aerodynamic Drag Reduction on Variable Message Sign using Flow Analysis)

  • 임세미;송대영;박경우;박준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40-146
    • /
    • 2011
  • 지능형교통체계(ITS) 정책의 일환으로 도로전광표지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그에 따른 유지보수의 비용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도로전광표지의 공기저항 저감을 위하여 곡면 U형, 곡면 C형, 통풍형 공기저항 저감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유동해석을 통해 제안한 공기저항 저감 표출부 함체의 풍하중 영향을 분석하였다. 풍직각 방향과 좌우 $45^{\circ}$ 방향, 상하 $45^{\circ}$ 방향에 대한 유동해석 결과, 곡면 C형 모델과 통풍형 세 가지 모델의 경우 풍방향 전 방향에 걸쳐 기본형 도로전광 표지에 대해 약 30% 정도의 풍하중 저감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곡면 U형 모델은 기본형 도로전광표지 대비풍직각 방향과 풍방향 좌우 $45^{\circ}$ 방향에 대해서는 풍하중 저감효과가 있으나 풍방향이 상하 $45^{\circ}$ 방향으로 작용할 경우 풍하중 저감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도로전광표지의 공기저항을 줄여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는 곳에 적용 가능하고, 나아가 도로전광표지 지지구조물의 경량화가 가능해짐으로써 도로전광표지의 설치장소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운전자 인적요인을 고려한 PVMS 메시지 판독특성 분석 (Analysis for Characteristics of Driver's Legibility Performance Using Portable Variable Message Sign (PVMS))

  • 송태진;오철;김태형;연지윤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5-35
    • /
    • 2008
  • 가변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는 도로이용자에게 도로, 기상 및 교통상황, 교통규제 상황에 관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교통흐름 및 안전운행을 유도 할 수 있는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 시설이다. 그 중 이동식가변전광표지(PVMS: Portable Variable Message Signs)는 특정 지점 및 구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예: 돌발상황, 도로공사)들에 대해 정보제공 및 능동적 교통제어를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장비이다. PVMS에서 표출되는 교통정보는 운전자가 보다 쉽게 이해하고, 눈에 잘 띄고, 적정거리 내에 판독하기 쉬워야 하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인적요인(Human Factor) 특성을 고려한 PVMS의 설치 및 메시지 운영은 쾌적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경력, 성별, 연령 등의 인적요인이 PVMS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메시지 판독거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운전자 반응특성을 고려 한 VMS 설치 및 운영을 위 한 기초 연구자료로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가변안내표지판의 운영 전력 예측을 통한 독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전력 관리 기술 (A Power Management Technology for Stand-alone PV System Using Estimation of Operating Power for Variable Message Sign)

  • 임세미;이지훈;박준석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1권8호
    • /
    • pp.1140-1147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the power management technology for stand-alone PV system to extend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coverage. The proposed power management technology in this paper can protect battery safeness from overcharge/discharge with keeping the proper SOC(State of Charge) and extend using time of system through estimation of operating power. The proposed power management technology in this paper is applied to Infra-free Variable Message Sign. And performance of power management technology in this paper was verified using simulation scenario.

Display를 이용한 교통 다중 및 가변 정보 제공 표지 (Multiple and Variable Traffic Message Sign using Display)

  • 강원평;문학룡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69-76
    • /
    • 2015
  • 현재 도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표지는 다양한 정보 전달을 위해 여러 표지가 병설되어 있고, 이러한 상황은 운전자에게 큰 혼란을 주고 있다. 또한, 현재의 도로표지에 관한 신기술은 조명 및 LED 적용을 통해 야간 상황에서의 시인성은 개선하였지만, 여전히 표지 병설은 운전자에게 큰 혼란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LED나 프리즘식의 가변형 도로표지가 현재 적용되어 오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자체의 한계로 인하여 제한된 표출 정보를 제공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기술을 파악하고자 기존 가변형 도로표지의 특허 및 기술 동향을 알아보았고, 가변형 도로표지에 정보 제공을 높이고자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제시하였다. 또한, 문헌고찰을 통해 기존 가변형도로표지인 LED와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OLED의 기술 및 경제적 비교를 수행하였다. 게다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제시한 OLED와 도로표지의 휘도대비 실험을 수행하여, 도로 표지 대체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VMS(Variable Message Sign)를 통한 교통정보 제공이 운전자의 운행경로 전환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nfluence of Traffic Information based on VMS(Variable Message Sign) on the Selection of Drivers' Route)

  • 정헌영;손수란;이정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D호
    • /
    • pp.193-201
    • /
    • 2011
  • 교통정보 제공은 개인의 통행시간 절약뿐만 아니라, 도로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하여 사회적 편익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중에서 VMS(도로전광판 Variable Message Sign: 이하 VMS)는 운전자가 주행 중에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불특정 다수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VMS로부터 제공되는 정보가 운전자의 경로 선택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명확히 밝히고 있는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들의 VMS 교통정보 이용 형태 및 이용 만족도 등에 대해 살펴보고, VMS 정보에서 통행시간이 수치적으로 표현되었을 때, 경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경로전환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경로전환예측 모형은 우회도로의 상태에 따라 조건I, 조건II, 조건III으로 구분하여 확률을 추정하였다. 또한 VMS 교통정보 제공으로 인해 발생하는 운전자의 통행단축시간에 따른 전환율과 그에 따른 민감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조건I의 경우 단축시간 5분에서 10.0%의 전환율을 보이지만 단축시간이 20분일 때 81.6%까지 늘어났다. 조건II에서는 단축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14.2%에서 92.7%까지, 조건III은 최대 99.1%의 전환율의 결과를 나타냈다. 각 조건별 통행단축시간에 따른 전환확률 민감도 분석에서는 조건I일때 약 11분, 조건II는 약 9분, 조건III은 약 5분의 통행단축시간에서 민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Driving Simulator를 이용한 VMS 메시지 판독시간모형 개발 (A Model for VMS Message Reading Time Using Driving Simulator)

  • 김태형;김성민;오철;김정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24-32
    • /
    • 2007
  • VMS는 도로, 기상 및 교통 상황, 교통규제 상황에 관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안전한 통행을 하도록 하는 시설이다. 그러나 기 구축된 VMS는 판독거리, 소실거리, 인지가능 메시지 수, 정보 당 판독시간 등 인간공학적 특성에 대한 적정한 연구 없이 설치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riving Simulator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량의 VMS 메시지를 표출하고 운전자의 정보량에 따른 판독시간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VMS 메시지 판독시간 모형을 개발하고 보다 효과적인 메시지 설계를 위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PDF

고속도로 IC간 교통수요 추정과 이를 통한 교통정보 제공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 Estimation Method of Traffic Demand Between ICs and An Algorithm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 이준;조한선;권영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83-91
    • /
    • 2011
  • VMS(Variable Message Sign)는 도로의 이용자에게 하류부의 교통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경로선택을 위한 의사결정정보와 목적지까지 이동하기위하여 소요되는 통행시간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VMS에 표출할 수 있는 정보의 개수는 표출면수에 의한 제약이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기 구축된 이벤트의 메시지 표출우선순위는 발생된 이벤트의 심각도만을 고려하여 우선순위 규칙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VMS를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통행수요가 많은 경로에 교통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때 그 정보의 수혜자가 가장 많을 것이다. 그러므로 실시간으로 기종점을 파악하여 더욱 많은 운전자가 경로선택이 가능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보제공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도로와 진출입 램프의 검지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분할 기종점 추정방법론으로 통행수요를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기종점자료를 바탕으로 정보제공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제공 전략을 소개하였다.

LED 도로전광표지 시스템에 대한 시인성 분석 및 성능 인자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Index and visibility for LED Variable Message Sign)

  • 최숙양;김면중;조한익;문학룡;변상철;류승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286-128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교통체계인 첨단교통 시스템(ITS)에서 차량 운전자 및 도로이용자에게 도로 및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 및 운영되고 있는 도로전광표지(Variable Message Sign : VMS)의 시인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기초 변수인 휘도와 색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통하여 VMS의 휘도와 색도가 시인성을 판별할 수 있는 성능 인자로써 가능한지를 검토하고, 향후 VMS 시스템의 설치 및 관리 기술에 실무요령의 활용 여부를 검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