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ue-added promoti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9초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전략 연구(제 2보) -지역문화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for the Promot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II)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Local Cultural Resources-)

  • 정경희;이미숙
    • 복식
    • /
    • 제60권2호
    • /
    • pp.51-6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 design with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to contribute to promoting cultural tourism festivals. To accomplish this study, first, a preliminary survey is carried out the investigation of cultural product stores and visitors' questionnaire survey. Next, based on these survey and prior study,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oncep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to developed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Adobe Photoshop 6.0, and Adobe Illustrator CS Program were us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patterns, textile design and illu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ased on preliminary research results, the problems of the desig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products were derived. As one 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oncep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to develop fashion cultural products. The concept of the Andong Maskdance Festival was 'Tribal-Holic'; the Boryeong Mud Festival, 'Get away form it all'; the Gangjin Celadon Festival, 'Timeless Memories';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Lighting up the River'; the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Next Ergonomics Gym'; and the Muju Firefly Festival, 'Eco-Purity'. Second, based on the desired items of festival organizers and the survey of visitor's preference for cultural products, 4 items were selected by festival type. Then a total of 96 designs of 4 kinds each were developed using logos or characters, traditional patterns, special products, symbolizing region, or festival as a motif. Third, the strategy for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design for promot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were 'Place identity design strategy', 'Market oriented design strategy', 'Buyer-Based pricing strategy', 'Regional brand strategy', and 'Distribution networks expansion strategy'.

Based on the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Information, Establishment of Customized Entrepreneurship Promotion Model for Sports Major

  • Byung-Kwan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165-175
    • /
    • 2024
  • 이 논문에서는 정부의 청년창업지원정책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분석하여 스포츠전공 대학생의 맞춤형 창업촉진 전략을 제안하여, 창업효능감을 증대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1차적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으며, 2차적으로 전문가 인터뷰를 토대로 스포츠전공 대학생의 창업촉진을 위한 대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였다. 첫째, 창업정책에서 스포츠 분야의 부가가치성 및 개별성을 인정해야 한다. 둘째, 스포츠전공자의 창업네트워크 및 플랫폼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스포츠창업을 위한 공간 구성(Startup Co-Space)을 해야 한다. 넷째, 창업동아리 구성과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캡스톤디자인 및 취창업진로세미나 교과목에서 창업경진대회를 활성화시킨다. 여섯째, 창업멘토링을 통한 스포츠전공학생들의 창업효능감을 증대시켜야 한다.

포도씨유 첨가가 프레스햄의 이화학적 및 조직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ape Seed Oil Additiv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ed Ham)

  • 이정일;양한술;정진연;문상훈;김갑돈;이진우;정재두;하영주;곽석준;박정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8-187
    • /
    • 2009
  • 본 연구는 프레스햄의 품질특성에 포도씨유 첨가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프레스햄에 첨가되는 포도씨유의 양에 따라 5개의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포도씨유를 첨가하지 않고 총 구성분 중 10% 량만큼 등지방을 첨가하였다. 처리구 1은 첨가되는 돈지방 함량 중 10%를 포도씨유로 대체, 처리구 2는 20%, 처리구 3은 30%, 처리구 4는 40%를 포도씨유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프레스햄은 진공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28일 간 저장하면서 실험에 공시하였다. 수분함량은 대조구가 포도씨유 처리구인 T3(등지방의 30% 대체)와 T4(등지방의 40% 대체)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와 포도씨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H는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전 저장기간 동안 뚜렷한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전 처리구가 저장 21일에 가장 높았다. 육색 변화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T4 처리구는 명도와 황색도 값은 유의적으로 높고 반면에 적색도 값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조직감의 변화에서 대조구와 포도씨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었지만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포도씨유의 첨가는 이화학적 특성 및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건강지향적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국민체육진흥기금 융자제도 지원효과 극대화 방안 (Alternative to Maximize Efficiency for Loan System of Sport Promotion Fund)

  • 강호정;김경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208-215
    • /
    • 2008
  • 본 연구는 최근 타 정책자금 융자제도 현황 및 국민체육진흥기금 융자사업의 운용실태를 좀 더 심도 있게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스포츠산업 융자제도의 지원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청,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등에서 행해지고 있는 정책자금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민체육진흥기금 융자사업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기초하여 융자 지원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원실태를 융자지원 절차, 기금융자 규모, 융자지원 범위, 융자지원 조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타 정책자금 현황과 융자사업 분석결과를 토대로 융자사업 지원효과 극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융자사업 지원효과 극대화 방안으로 국민체육진흥기금 융자규모 및 범위 확대, 국민체육진흥기금 융자 시 기술담보대출 병행, 국민체육진흥기금 융자자금의 편중현상 완화, 융자대상 별 금액의 탄력적 적용, 국민체육진흥기금 융자 대상업체 선정기준 및 사후평가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우리사주제의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mployee Stock Ownership Plans)

  • 권용만;신원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2호
    • /
    • pp.95-109
    • /
    • 2020
  • 현대에서의 부가가치 창출의 원천은 물자(Material)에서 사람(Man)의 부가가치 창출력으로 변천되어 왔으며, 생산수단의 소유가 특정의 지주, 자본가에서 부가가치 창출능력을 보유한 사람에게로 전환되었다. 기업의 노동자가 기업의 부가가치를 현저히 증대시켰을 경우에 단순한 이익에 참여하는 이익분배제나 성과인센티브제를 넘어서는 참여제도의 도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자본 편중의 문제를 해소하고 자본주의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서 우리사주제의 도입은 필요하다. 우리사주제는 노동자로 하여금 우리사주조합을 통하여 해당 우리사주조합이 설립된 주식회사의 주식을 취득·보유하게 함으로써 노동자의 경제·사회적 지위향상과 노사협력 증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현실은 우리사주제가 노동자에 대한 보호가 미흡하여 목적한 바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사주의 취득이 복지의 관점에서 노동자의 우리사주 보유에 대한 복지영역에 대한 부분은 자본시장의 논리보다는 사회복지적 차원에 대한 것으로 적극적인 정부의 지원이 포함되어야 하고, 투자의 관점에서는 우리사주는 노동자들이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소유하는 적극적인 투자의지와 전문적인 노력을 경주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노동자 우리사주를 취득하는 것을 '투자'로 보아서 투자자보호를 위한 규정을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볼 것이다. 따라서 우리사주 취득시의 지원 및 규제완화방안으로 1. 세제지원과 같은 간접지원 방식에서 탈피하여 직접지원의 확대, 2. 우리나라의 우리사주조합이 사단의 성격으로 의제되고 있어, '투자'라는 측면에서 조합방식이 아닌 다양한 관리라는 측면에서 그 효과성이 낮은 실정으로 투자기구의 형태 다양성 추진과, 3. 회사 발행주식의 1%와 액면가 3억원 중 적은 금액이상의 주식을 보유한 사람은 대주주로 분류하여 우리사주의 조합원이 될 수 없도록 하고 있는 조합원 자격의 완화, 우리사주와 조합기금의 관리상의 위험 축소방안으로 장기간에 걸친 예탁에서 우리사주조합만이 기금을 관리하고, 우리사주 예탁기간 종료 후 우리사주를 조합 또는 회사가 관리하고 있으나 각 노동자별로 분할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우리사주와 기금의 활용도 제고 측면에서 1. 우리사주는 예탁기간 중에는 대여를 하지 못하게 하고 있으나 엄격한 제한하에 대여를 허용함으로써 수익성을 향상시키고, 2. 사내복지기금의 활용용도를 우리사주의 손실보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활용도 제고와 우리사주의 환매제도 개선측면에서 비상장법인의 우리사주제의 활성화를 위하여 비상장회사의 환매의무를 규정하는 것 등의 개선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온라인 판매촉진활동 분석을 통한 고객 리뷰평점 추천 및 예측에 관한 연구 : S사 Wearable 상품중심으로 (A Study on Customer Review Rating Recommendation and Prediction through Online Promotional Activity Analysis - Focusing on "S" Company Wearable Products -)

  • 신호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8-12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온라인 기업의 Wearable 제품을 선정하고 판매 데이터를 수집해 다양한 분석과 매출 예측을 통해 판촉 활동의 전략 모델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여러 가지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석할 것이며, 최상의 모형으로 결과를 선택할 것이다. 최상의 결과로 선택된 모형인 Gradient Boosting 모델은 지도학습을 통해 종속변수 예측에 있어서 판촉 유형, 가격, 판매 수량, 성별, 모델, 판매경로, 제품 성능, 판매 날짜, 지역 등 9개의 독립변수를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판매촉진 유형별로 종속변수로 설정된 리뷰 값을 앙상블 분석 기법을 통해 더욱더 세부적으로 학습하고 분석 및 예측이 주목적이며, 판매촉진 활동을 통한 고객에게 할인 혜택을 주어질 경우와 주어지지 않을 경우에 리뷰 평점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로 본다면 평가 결과는 AUC 95% 수준이며, F1도 93% 정도이다. 결국 판매촉진 활동 유형 중 가치 부가 혜택이 리뷰 수와 리뷰 평점에 영향을 준다고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요 변인들이 리뷰와 리뷰 평점의 영향을 준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지능의 산업 분야 부가 가치 증대 역할에 따른 정책 수립 및 인간 생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Human Life by the Role of Increasing Value Added in the Industrial Sector)

  • 김지현;유지인;정지원;최훈;한정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05-508
    • /
    • 2022
  • 인공지능은 존재 자체로서 기술의 약진이라는 가치를 가지며, 여러 산업 분야에 이용되어 각종 산업에서 생산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부가 가치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인공지능과 관련된 규제와 정책에 대해서 보다 넓은 시각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연구자 간 이해도가 상이하며, 어떻게 인공지능을 규제할지에 대한 합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정부규제 방향을 탐색적으로 고찰해 본다. 먼저 인공지능 규제의 목표로 책무성, 투명성, 안정성, 공정성을 도출하고 규제 범위로 시스템 자체, 개발과정 및 활용 과정을 설정하며, 이용자와 개발자가 규제의 준수 대상임을 보인다.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는 인공지능 현재 기술수준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일관된 인공지능 규제 논의의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인공지능 개발에서 응용에 이르는 생애주기를 고려할 때, 중요한 것은 인공지능 산업을 촉진하기 위한 진흥 정책과 그에 따른 리스크에 대해 대응하는 규제 정책의 균형이다. 개발자, 기업 및 사용자 등 모든 참여 주체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인공지능이 수용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인공지능과 관련된 법학의 목표이다.

  • PDF

서리태분말을 첨가한 도토리묵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es of Acorn Mook Added Seoritae Powder)

  • 이나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93-200
    • /
    • 2023
  • 서리태분말의 첨가량(0%, 2%, 4%, 6%)을 달리하여 도토리묵을 제조하여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을 실험하였다. 서리테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도토리묵을 만들어 수분함량, 색도, 조직감, 항산화성, 관능평가 검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리태 분말과 도토리분말의 수분함량은 각각 7.48%, 4.36% 였으며, 서리태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도토리묵을 만들어 수분함량을 분석한 결과 70.83%~81.77% 였다. 서리태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명도인 L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7.29~7.79로 증가하였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서리태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서리태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도토리묵의 경도(hardness), 부착성(Adhesiveness), 씹힘성(chewiness)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응집성(cohesiveness)과 씹힘성(chewiness)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성 결과 서리태분말을 첨가(2%~6%)한 도토리묵의 총페놀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활성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이상의 결과 전통음식인 묵을 만들 때 항산화 기능을 갖춘 서리태 분말을 첨가하여 도토리묵을 만들 때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한국 중소기업을 위한 경영.기술 지도사업의 효율화 방안 (A Study for Improving the Managerial and Technological Consultancy for Korean Medium Industries.)

  • 장영기
    • 기술사
    • /
    • 제13권4호
    • /
    • pp.31-47
    • /
    • 1980
  • Since medium and small manufacturing enterprises have ,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not only in national economy but also in political and social relationships all of the countries in the world have paid favorable policies and programmes for protecting and promoting this sector. In Korea main ingredients of promoting policy for this sector consist of (1) encouragement to modernize facilities and rationalize operation (2) special priority in bank loan (3) promotion of industrial cooperatives (4) prevention of infringement by large industries. However, substantial investigation for problems incurred in medium industries has revealed that unless medium industries improve and raise their technological and managerial skillfulness for themselves all other measures are useless to solve the problems. This realization has induced all of the countries to render extension services on both of technology and management to assist and support their own effort for rationalization. Also in Korea during past 20 years many technical and managerial research institutes have rendered free consultancy services to medium industries by the support of government subsidy. Among them the joint extension services project performed by the Medium Industry Bank and UNDP during 1967 and 1975 might he listed as model case because of its broad and integrated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of foreign experts. We think many precepts should be :learned from the study of this project. Korean economy is expected to develop rapidly throughout coming'80 in spite of many obstacles, tut there is an apprehension that gap in of every facet between medium and large enterprises might he deepened and enlarged. To prevent the actualization of so-called dual structure of national economy and to promote stabilized medium industries with high added value productivity which are shown in well developed countries, consultancy assistance ana extension services should be strengthened much more than ever. Fortunately in 1978 legislation of "Medium and small industry promotion act" has paved the way for the systematic achivement of consultancy and extension services which shall be integrated by the government overall program. Under new framework thoughtfull accomplishment should be undertaken considering precious precepts obtained from past experience and failure. Special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technical liaison officer scheme, exclusive participation of only professional institutes, strict qualification and training for consultants for the future succsseful implementation.

  • PDF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Assessmen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R&D Project)

  • 김용성;한경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95-603
    • /
    • 2018
  • 최근 정부에서 산업이나 문화를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인재들에 대해 일자리, 성장 동력을 만들어내는 창조경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정부는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기술들이 새로운 산업이나 일자리 마련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제5차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 계획'에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핵심 과제로 기술 사업화를 강조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이 차지하는 비중의 증가와 함께 연구개발 목적에 상응하는 성과로 연결되면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활용성과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변인에 영향을 받아서 성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성과를 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측정하고자 실증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준비성, 기술성과, 기술개발역량이 기술개발사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