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ue Ecosystem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34초

Seaweed aquaculture: cultivation technologies, challenges and its ecosystem services

  • Kim, Jang K.;Yarish, Charles;Hwang, Eun Kyoung;Park, Miseon;Kim, Youngdae
    • ALGAE
    • /
    • 제32권1호
    • /
    • pp.1-13
    • /
    • 2017
  • Seaweed aquaculture technologies have develop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70 years mostly in Asia and more recently in Americas and Europe.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challenges to overcome with respect to the science and to social acceptability. The challenges include the development of strains with thermo-tolerance, disease resistance, fast growth, high concentration of desired molecules, the reduction of fouling organisms and the development of more robust and cost efficient farm systems that can withstand storm events in offshore environment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seaweed aquaculture provides ecosystem services, which improve conditions of the coastal waters for the benefit of other living organisms and the environment. The ecosystem services role of seaweed aquaculture and its economic value will also be quantitatively estimated in this review.

수서곤충을 이용한 원주천 수서생태계 건강도 평가 (Health Assessment of Aquatic Ecosystem for Wonju Stream Using the Composition of Aquatic Insects)

  • 최준길;신현선;오사무 미타무라;김숙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4-550
    • /
    • 2008
  • 본 연구는 2004년 5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서곤충은 과별 생물지수(FBI)와 물리적 서식환경(PHA)을 이용하여 원주천의 건강도를 평가하였다. 원주천 9개 지점을 통해 출현한 수서곤충은 총 8목 37과 62속 92종이었다. 과별생물지수의 경우 지점 1, 2, 3에서 $4.55{\sim}4.82$로 가장 건강한 하천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리적 서식환경과 과별생물지수 간의 상관관계는 지점 2가 각각 100, 4.82의 값으로 가장 좋은 서식환경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점 7과 9는 45, 6.17과 6.97로 가장 낮은 서식환경을 나타내어 물리적 서식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서식환경과 과별생물지수는 서로 역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The extent of soil organic carbon and total nitrogen in forest fragments of the central highlands of Ethiopia

  • Tolessa, Terefe;Senbeta, Feyer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163-173
    • /
    • 2018
  • Background: Deforestation and degradation are currently affecting the ecosystem services of forests. Among the ecosystem services affected by deforestation and degradation are the amount of soil organic carbon (SOC) and total nitrogen (TN) stored in forest soils which have greater impacts in global climate change.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amount of SOC and TN in the forest fragments which were separated from the continuous tracts of forests of Jibat and Chillimo through fragmentation processes over four decades. Methods: We have sampled soils from 15 forest fragments of Chillimo and Jibat in the central highlands of Ethiopia. The soil samples obtained in two separate soil depths (0-30 and 30-60 cm) were bulked, dried, and sieved for analysis. Results: Our results have shown that the two sites (Jibat and Chillimo forest fragments) differed in their SOC and TN contents. While the values for Jibat were found to be 29.89 Mg/ha of SOC and 2.84 Mg/ha for TN, it was 14. 06 Mg/ha of SOC and 1.40 Mg/ha for TN for Chillimo. When all forest fragment soil samples were bulked together, Jibat site had twice the value of SOC and TN than Chillimo. When disaggregated on the basis of each fragments, there existed differences in SOC (1.86 Mg/ha and 42.15 Mg/ha) and TN (0.24 Mg/ha and 4.23 Mg/ha) values. Among the forest fragments, fragment four ($F_4$) had the highest Relative Soil Improvement Index (RSII) value of 3826.82% and fragment fifteen ($F_{15}$) had the lowest RSII value (726.87%) which indicated that the former had a better quality of soil properties than the latter. Conclusion: SOC and TN differed across sampled fragments and sites. Variations in soil properties are the reflections of inherent soil parent material, aboveground vegetation, human interferences, and other physical factors. Such differences could be very important for identifying intervention measures for restoration and enhancing ecosystem services of those fragments.

생태계 서비스 가치의 제도화 (Institutionalization of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 황은주;전재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7-343
    • /
    • 2017
  • 본 연구는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이 규정한 생태계서비스 활성화를 지원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동안 우리는 자연생태계가 인류에게 제공하는 편익, 즉 생태계서비스(자연혜택)를 무상으로 향유할 수 있는 재화로 간주하였으나 도시의 팽창과 개발의 가속화로 인한 자연환경용량이 침해되면서 서비스 기능이 저하되자 이를 인위적으로 복원 증진시키려는 노력들이 경주되었다.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연자본을 지속가능하게 유지하고 보전하기 위해서는 소유자가 자연자본을 유지 보전하기 위해 감수해야 하는 기회비용의 보전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태계서비스를 누리는 소비자(수요자)들이 이 서비스를 공급하는 토지소유자 관리자나 지역주민들과 자연자원으로부터 비롯하는 혜택을 공유하고 이러한 공유를 환경보전과 연동시키는 체계 즉,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문제는 현행 환경법제가 생태계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의 공정한 거래와 수요자들 사이의 공평한 향유를 실현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생태계서비스를 규율하는 현행 법제가 안고 있는 또 하나의 문제점은 개발계획에서 생태계서비스의 가치가 적정하게 반영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분석 결과, 현행 법제에서는 충분하지는 않지만, 정부 부문과 민간 부문에서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제도화가 나름대로 가능하다. 특히 계약에 의한 서비스 거래는 개발계획과 관계없이 운용될 수도 있다.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제도화에서 남은 과제는 개발계획과 관련하여 어떠한 절차에 따라 서비스 가치를 계량화할 것인가의 여부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자면, 환경영향평가 절차에서 개발로 인한 생태계서비스의 변화가 구체적으로 평가될 수 있어야 한다. 환경영향평가법이 아닌 시행령의 개정을 통하여서도 생태계서비스 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통합이 가능하다.

The impact of 5G multi-access edge computing cooperation announcement on the telecom operators' firm value

  • Nam, Sangjun
    • ETRI Journal
    • /
    • 제44권4호
    • /
    • pp.588-598
    • /
    • 2022
  • Since multi-access edge computing (MEC) was established as a key enabler of 5G, MEC based on 5G networks (5G MEC) has been perceived as a new business opportunity for many industry players, including telecom operators. Numerous 5G MEC cooperation announcements among companies playing their respective roles in the MEC ecosystem have been recently released. However, because of cooperative and competitive relationships among key players in the MEC ecosystem and the uncertainty of 5G MEC, the announcement of 5G MEC cooperation can negatively affect the telecom operators' firm valu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arket reaction to announcements of 5G MEC cooperation for telecom operators using an event study methodology.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nnouncements of 5G MEC cooperation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telecom operators' firm value.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early deployment of 5G networks may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5G MEC cooperation announcements by reducing uncertainty.

서울시 습지지역의 탄소저장 및 경제적 가치 평가에 대한 연구 (The Evaluation of Carbon Storage and Economic Value Assessment of Wetlands in the City of Seoul)

  • 최지영;오종민;이상돈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2호
    • /
    • pp.120-132
    • /
    • 2021
  •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은 자연환경보전법과 자연환경보전조례에 근거하고 있다. 2018년 제13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습지 생태계서비스 간편평가 도구'가 채택되었으며, 람사르습지 도시 인증제 항목에 습지 생태계서비스 평가 항목이 포함됨에 따라 이를 평가할 자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생태경관 보전지역 중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은 습지 5곳을 선정하여 InVEST 모델로 탄소저장량과 경제성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탄천습지 3,674.62 Mg, 한강 밤섬 1,511.57 Mg, 고덕동 습지 5,007.21 Mg, 암사동 습지 7,108.47 Mg, 여의도 샛강 습지 290.27Mg으로 도출되었다. 이 중 탄천습지는 2013년의 탄천습지의 탄소저장량은 4,804.99 Mg로 탄소저장량 1,130.37 Mg 감소하여 실효탄소요금 평균값인 $16.06(US)를 적용하였을 경우, $15,910.58(US) 손실된 것으로 환산되었고, 기후변화에 따른 생산성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 탄소의 사회적 비용 평균값인 $204(US)를 적용하였을 경우, $202,101.97(US) 손실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주요 습지지역을 선정하여 도심 속 습지가 주고 있는 자연자원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주요 습지의 생태적 가치 평가를 통하여 생태경관보전지역 보호 및 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습지 가치 평가에 대한 중요 의제로 간주되고 있음에 따라 향후 람사르 습지도시 인증제 항목에서 생태계서비스 평가 방안 제시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람사르 습지를 인식하여 중요한 습지의 발굴 유도에 활용이 가능하며, 도심지역 내 습지 보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증진과 람사르 습지의 국제적 교류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지속가능한 순천만을 위한 보호지역 확대와 정책적 활용을 위한 생태계 서비스 지불제(PES)의 적용 (Establishment of Additional Protected Areas and Applying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PES) for Sustainability of Suncheonman-Bay)

  • 모용원;박진한;손용훈;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1-184
    • /
    • 2016
  • Suncheonman-Bay and its surrounding areas play important roles as habitats for migratory birds. However,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se areas is difficult because of the development pressure of private lands. Therefore, the areas surrounding Suncheonman-Bay must be classified as additional protected area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gather concrete and objective evidence and ensure protected area management. Further, compensation measures must be considered when acquiring a private property as an additional protected area. In this study, we distinguish protected areas, such as core, buffer, and transition areas, within a private area by using data from the Winter Waterbird Census of Korea and MARXAN software, a spatial conservation prioritization tool. We applied ecosystem services to apply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 as compensation measures. Watershed conservation (supply), climate control (regulation), supporting habitats (support), and recreation (culture) etc. were evaluated by calculating the economic value of these ecosystem services. Eastern, western, and northern forests and rice fields of Suncheonman-Bay were shown to have a number of core areas for the pre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The ecosystem service value of the additional protected areas was estimated at 17.5 million KRW/ha/year. We believe that our study result could be used to establish protected areas to preserve major habitats, as well as include areas adjacent to such major habitats that play a vital role in endangered species conservation.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we highlight the need for an objective basis to establish protected areas.

건설산업의 협력적 기업생태계 진단 (Diagnosis of the Cooperative Business Ecosystem in Construction Industry)

  • 김성일;장철기;배유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32-142
    • /
    • 2015
  • 건설산업은 다양한 참여자를 통해 하나의 시설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계약의 망에 의해 움직이는 기업생태계의 특성을 가진다. 그간 국내 건설생산체계는 건설기업간 협력적 관계 형성 미비로 고비용, 저효율을 초래해 왔다. 이에 정부는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실질적인 협력의 성과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생태계(business ecosystem)의 시각에서 건설생산체계를 근간으로 하는 건설기업간의 네트워크 방식을 기업생태계로 정의하고, 건설산업의 협력적 기업생태계를 진단하였다. 건설산업의 협력적 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역량형 신뢰 또는 가치공유형 신뢰에 기반을 둔 협력 생태계의 형성이 필요하고, 건설업체간 상호의존도가 높고 협력관계가 지속되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건설참여자의 수익 공유를 위해 적정공사비를 확보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한 지역생태계에 관한 개념 틀: 호혜, 배려와 공공정책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ustainable Regional Ecosystem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Reciprocity, Regard and Public Policy)

  • 이홍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4-269
    • /
    • 2018
  •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한 지역생태계(이하 '지역생태계')의 구성요소를 규명하고, 이를 형성하는 데 근본적인 영향을 미치는 호혜, 배려와 공공정책의 원리를 탐구하는데 있다.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역생태계는 특정 지역에서 기업의 재화와 서비스의 기획 생산 유통 판매의 과정과 연계된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그 기업의 사회적 가치 지향성을 지속적으로 유지 확산할 수 있는 주체들이 연결되어서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지역생태계는 거래 관계와 사회적 관계로 이루어진 '지역네트워크', '중간조직' 및 '공공의 역할'의 상호작용을 통해 작동하며, 지역별로 달리 나타나는 호혜, 배려와 공공정책의 특성은 다양한 형태의 지역생태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지역생태계 개념 틀을 토대로 협동조합 고랑이랑의 사례를 심층 분석한 결과 지역생태계의 특성이 배려를 중심으로 호혜와 공공정책이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공공도서관 생태계의 담론적 분석 (A Discourse Analysis to Public Library Ecosystem in Korea)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27
    • /
    • 2017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생태계의 담론화를 통한 개선 확장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연생태계의 순환원리와 구성요소에 근거하여 공공도서관 생태계의 기본원리와 구조적 지형을 해명하고 현주소와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차용한 전략적 방안(카르마 법칙을 적용한 도서관의 정체성 및 공공성 보장, 미네르바 신드롬을 극복하기 위한 사서직의 주체성 및 전문성 강화, 파레토 원리를 응용한 자료서비스 및 장서관리의 최적화, 부정적 후광효과를 해소하기 위한 일반열람실 축소와 비교우위 프로그램서비스 제공, 가우스 분포를 준수한 생애주기별 이용편차 해소, 이카루스 역설을 반추한 디지털 패러다임 수용과 이용친화형 공간화, 그레샴 법칙의 경계를 위한 작은도서관의 공공도서관 시스템화, 그리고 폼페이 역설을 반면교사로 삼은 소통강화와 사회문화적 가치 확산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