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ue

검색결과 80,031건 처리시간 0.1초

Influence of body condition score at calving on the metabolic status and production performance of Murrah buffaloes (Bubalus bubali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 Delfino, Nelson Carvalho;de Aragao Bulcao, Lucas Fialho;Alba, Henry Daniel Ruiz;da Silva Oliveira, Mauricio Xavier;de Queiroz, Filipe Pinheiro Soares;de Carvalho, Gleidson Giordano Pinto;Renno, Francisco Palma;de Freitas, Jose Esler Junio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1호
    • /
    • pp.1756-1765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body condition score (BCS) at calving on the metabolic status of female Murrah buffaloes in the transition period. Methods: Thirty-seven pregnant buffaloes (multiparous) were selected and monitor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ased on their body condition score and on the estimated calving date. Two groups were formed: i) buffaloes with a BCS>3.5 (n = 17); this group was classified and named 'high BCS at calving' (HBCS); and ii) buffaloes with a $BCS{\leq}3.5$ (n = 20); this group was classified and named 'low BCS at calving' (LBCS). All animals were monitored during the last 30 days of pregnancy and the first 70 days post-calving and kept in the same environment and under the same feeding and management conditions. Mean values for BCS at calving were $2.98{\pm}0.9$ (mean${\pm}$standard error of the mean [SEM]) and $4.21{\pm}0.9$ (mean${\pm}$SEM) for the HBCS and LBCS groups, respectively. Results: The HBCS group showed higher milk fat content (p = 0.007) and milk fat yield (p = 0.027) and a higher concentration of milk urea nitrogen (p = 0.001) than LBCS buffaloes, which in turn had a lower urine pH value (p = 0.033) than HBCS buffaloes in the pre-calving period (7.86 for HBCS vs 7.76 for LBCS). The HBCS animals had a higher concentration of erythrocytes (p = 0.001) and hematocrit (p = 0.012) post-calving and a higher hemoglobin concentration (p = 0.004) pre-calving. Conclusion: Buffalo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exhibited some variations in the oxidative stress related to their metabolic status. After calving, buffaloes with a high BCS at calving and greater lipid mobilization have a more marked alteration in oxidative status, but improved production performance.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의 살충제 감수성 변이-에스테라제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력 (Variation in Insecticide Susceptibilities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Esterase an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ies)

  • 김용균;이준익;강성영;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2-178
    • /
    • 1997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은 야외집단과 실내집단들간에 살충제 감수성에서 큰 변이를 보였다. 조사된 모든 약제에서 야외집단은 비선발 실내집단보다 높은 약제 저항능력을 보였다. 약제 선발된 실내집단은 선발 약제에 대해 저항능력을 높게 발현시켰다. 이러한 약제 저항능력의 변이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와 에스테라제 활력 변이와 비교 분석되었다. 약제 저항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력이 낮아지고 에스테라제활력은 높아졌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Km(Michaelis-Menten constant)값은 약제저항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기질에 대한 이 효소의 친화도가 낮아졌다. 이 효소의 효소활력 변이는 같은 집단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기질에 대한 이 효소의 친화도가 낮아졌다. 이 효소의 효소활력 변이는 같은 집단 내에서 발육단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어 2, 3, 4령충보다는 5령충에서 특히 Km값이 증가하였다. 파밤나방의 에스테라제는 6.5% 비변성조건의 겔에서 21개 밴드를 보였다. 이중 E2, E7, E8, E11, E16, E7 밴드들은 약제저항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발현 빈도수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파밤나방의 살충제 감수성변이에 해독효소활력증가와 작용점변환이 포함됨을 나타낸다.

  • PDF

밀양에서 월동하는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의 개체군 생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ionomics of Overwintering Green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in Milyang)

  • 배순도;송유한;박경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0-145
    • /
    • 1996
  • 밀양에서 끝동매미충 개체군의 월동상채에 관한 정확한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월동하는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 현황은 월동초기인 12월 5일에 4령약충이 약 77~7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약 15~17%의 3령약충과 약 3%의 5령약충이었다.이러한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 비율은 월동중 채집시기와 함께 2령약충과 3령약충의비율이 상재덕으로 감소하고 5령약충의 비율이 서서히 증가하여 이듬해 2월 20일에는 5령약충의 비율이 13~16% 였으며, 월동후기인 3월에는 5령약충과 성충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였 3월 19일에는 5령약충이 약 70-71%였고, 4월 8일에는 성충의 비율이 약 47~50%를 차지하였다. 끝동매미충의 두 월동기간 시기별 영기수성 현황을 수치로 환산한 평균령기는 월동초기인 12월 5일에는 각각 약 3.91령기와 3.86령기였으며, 이듬해 2월 20일에는 각각 4.11령기와 4.07령기, 3월 19일 에는 각각 약 4.75령기와 4.79령기였고, 4월 8일에는 각각 약 5.42령기와 5.45령기였다. 한편 끝동매미충의 시기별 영기구성 및 평균령기는 두 월동기간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끝동매미충이 월동에 들어가는 초기(11월 12월상순)의 기온과 월동후기(3월)의 기온에 따라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끝동매미충의 채집기간 평균령기를 비교한 발육지수의 값이 대체로 1.0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월동중에도 끝동매미충은 발육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끝동매미충의 월동장소별 채집밀도는 보리밭보다 휴반에 서 현저히 높았다.

  • PDF

과실 흡수나방에 관한 연구(2) 기주분포, 발생소장 및 당도 (Studies on the Fruit-Piercing Moths in Korea(2) Host Distribution, Seasonal Occurence and Sugar Contents)

  • 윤주경;김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5-100
    • /
    • 1976
  • 1975년 6월부터 10월 사이에 전남 곡성 서계리에서 개간 재배되고 있는 과수지대를 중심으로 그 주위의 호수나방유예의 식초 분포조사와 발생소장 및 당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흡수나방 유충의 중요한 식초는 청미래덩굴, 자귀나무, 댕댕이덩, 정의다리, 개굴피나무이며 개굴피나무는 표고 500m 이상 고산지역에 분포되어있는 반면 다른 기주들은 표고 100-300m의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있다. 2. 발생소장을 보면 6월 25일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 4일까지 출현하였는데 10월 4일까지 출현하는 자두와 복숭아에서의 나방방 최성기는 7月 13日경이며, 포도에서는 8月 310경이였다. 3. 6년 25일-10월 4일 사이에 13종의 흡수나방을 채집하였는데 가장 많이 채집된 것은 무궁화밤나방$(3.7\%)$, 애우묵밤나방$(17.7\%)$, 우묵밤나방$(12.9\%)$, 으름나방($9.1\%)$으로 전체의 을 차지하였다. 4. 복숭아와 자두의 당도를 보면 당도가 높을 수록 흡수나방의 피해는 컷으나 산도와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파프리카 온실에서 담배가루이의 축차표본조사법 개발 (Development of Sequential Sampling Plan for Bemisia tabaci in Paprika Greenhouses)

  • 최원석;박정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59-167
    • /
    • 2015
  • 파프리카(Capsicum annuum var. angulosum)의 주요해충인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의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표본조사법(Fixedprecision sampling plan)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표본 조사법은 파프리카 온실의 담배가루이 방제체계 확립을 위해 공간분포분석, 표본추출 정시선 그리고 의사결정법으로 이루어 졌다. 자료 수집은 식물체를 상단(지상으로부터 180-220 cm), 중단(지상으로부터 80-120 cm), 하단(지상으로부터 30-70 cm)로 나누어 각 위치별 3개의 파프리카 잎에서 담배가루이 성충, 번데기를 관찰하고 그 총 수를 기록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은 식물체의 상부에서 움직이고 신초에 주로 산란하며 일정부분이 하단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상단과 하단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번데기의 경우 상부에 알을 낳았지만 식물체가 크면서 알을 낳은 잎이 아랫부분이 되고 부화한 유충은 잎 뒤에 고착 상태로 우화까지 움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중단과 하단에서 많이 분포하였다. 공간분포분석은 Taylor's power law (TPL)를 이용하였으며, TPL계수의 차이를 공분산분석(ANCOVA)하여 차이가 없는 경우 자료를 통합하여 계산된 새 TPL 상수값을 이용하여 표본추출 정시선을 구하였다. 그리고 담배가루이 성충과 번데기의 방제밀도수준을 2.0마리와 10.0마리로 설정하여 방제의사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에 사용하지 않은 독립된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표본추출법의 유효성을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lan (RVSP) 프로그램으로 평가한 결과 적합한 정확도를 보였다.

우엉뭉뚝날개나방(Tebenna issikii)에 대한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train (Rhabditida: Steinernematidae) against Tebenna issikii (Lepidoptera: Choreutidae))

  • 김형환;한건영;추호렬;이상명;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313-318
    • /
    • 2007
  •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하여 우엉뭉뚝날개나방 (Tebenna issikii) 에 대한 생물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엉뭉뚝 날개나방 유충 당 40 마리 이상의 S. carpocapsae GSN1 계통 처리 시 우엉뭉묵날개나방 유충은 100% 치사되었으며 반수치시농도$(LC_{50})$는 5.7마리였다. 우엉뭉묵날개나방의 유충 한 마리에 S. carpocapsae GSN1 계통 감염태 유충을 5, 10, 20, 40 및 80 마리로 접종한 결과 1.4, 1.4, 3.2, 5.6 및 11.9 마리의 선충이 침입하였는데 침입율은 5 마리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접종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우엉뭉뚝날개나 방 유충에서 S. carpocapsae GSN1 계통의 증식수는 증가하였다.

머리대장가는납작벌레의 합리적 방제 물질로 이란 서양가새풀 정유의 살충효과 평가 (Essential Oil Isolated from Iranian Yarrow as a Bio-rational Agent to the Management of Saw-toothed Grain Beetle, Oryzaephilus surinamensis (L.))

  • 아스가르 에바돌라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95-402
    • /
    • 2017
  • 유기합성 농약의 과다사용은 환경오염, 살충제 저항성 발달, 비표적 생물에 대한 영향 등 부작용의 원인이 되고 있다. 유기합성 농약의 대체약제로 포유동물에 저독성인 식물기원 물질이 각광을 받게 되었다. 이란 서양가새풀(Achillea millefolium L.) 정유성분의 훈증독성은 국제적 저장작물 해충인 머리대장가는납작벌레(Oryzaephilus surinamensis L.)의 방제제로 연구된 바 있다. 이 식물 정유의 화학적 성분을 가스크로마트 그래피(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살충실험 결과 처리농도에 따라 유의한 살충률을 나타냈다. 처리농도와 살충률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반치사 농도(LC50)는 $17.977{\mu}l/L$ 이었다. 주요 성분은 1,8-Cineole (13.17%), nerolidol (12.87%), ${\alpha}$-cubebene (12.35%), artemisia ketone (6.69%), ${\alpha}$-terpineol (5.27%), alloaromadendrene oxide (4.71%) 및 borneol (3.99%) 이었다. 전체 동정된 화합물의 96.35%는 Terpenic 화합물로 monoterpene hydrocarbons (8.19%), monoterpenoids (44.23%), sesquiterpene hydrocarbons (21.69%) 및 sesquiterpenoids (22.24%)를 포함하고 있었다. 본 결과는 terpene이 풍부한 서양가새풀 정유가 머리대장가는납작벌레의 안전한 생물농약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양어사료의 어분대체품 개발의 경제성 분석 (Economic Evaluation of The Newly Developed Fish Meal Analog (BAIFA-M))

  • 김기수;배승철;최재영;김우경
    • 수산경영론집
    • /
    • 제29권1호
    • /
    • pp.121-137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conomic evaluation of the newly developed fish meal analog (BAIFA-M) in Korean rockfish feed. A raw fish feed (MP) and two commercially formulated diets (EP) were employed to compare weight gain (WG), feed conversion ratio (FCR) and survival rate (SR) from the sea cage culture system. By using the economic model in the practical sea cage culture system, feed cost, production cost and gross profit per kg production, rate of profit to gross revenue (RPGR), and internal rate of return (IRR) were calculated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d the information of the private aquaculture farm (Young Chang) in Tong young, Korean. IRR criteria is one of the popular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methods applicable far aquaculture industry. This is an economic evaluation method to compare the given interest rate or the discount rate with IRR which can be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value of the benefit stream and of the cost stream. The benefits of using EP on WG, FCR, SR, and production cost will be emphasized in this study. Fish averaging 20$\pm$3.6g (Mean$\pm$SD)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each small cage (6m$\times$6m) as groups of 2,000 fish. By using 3 large size cages (12m$\times$12m), 12 small cages were constructed, and only 9 small cages were employed for three replicates of each diet treatment. To compare with MP diet, two sinking EP diets were designed by our laboratory and produced by the local feed company who wanted to promote these EP diets for the mass cage culture of Korean rockfish in the future. Two EP diets contain white fish meal and/or BAIFA-M as the main animal protein sources : WFM diet, maximum 43% of white fish meal : BAIEA- M diet, 30% of white fish meal nab replaced by BAIFA- M from WFM diet.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1. Fish fed MP diet showed significantly lower SR than does fish fed two EP diets(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FCR among fish fed three practical diets. Table 1. Average feed conversion ratio (FCR), accumulative average survival rate (SR) and economic evaluation data far three practical diets. As we expected, BAIFA-M diet is more economical than WFM diet as well as MP diet. Feed cost and production cost per kg production from BAIEA - M diet were lower than those from WFM and MP diets. Moreover, gross profit per Kg production, RPGR and IRR from BAIFA- M diet were higher than those from WFM and MP diets. This economic evaluation study clearly indicated that MP diet should be replaced by the commerical formulated EP diets as soon as possible in the near future because MP diet is not economical in the practical sea cage culture system.

  • PDF

한국의 해외 원양어업 경영에 관한 연구 - 현황 분석과 전망 중심으로- (Studies on the Korean Deep Sea Fishing Industry Administration -Analysis of present situation and prospects-)

  • 김우성
    • 수산경영론집
    • /
    • 제1권2호
    • /
    • pp.1-22
    • /
    • 1970
  • Our fisheries protucts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during past 10 years ; production was about twice: fihing fleets increased twice in number and 3 times in tonnage ; export was 5 times. Govermment is trying to develop deep sea fisheries in order to surmount the depression of coast fisheries. At present more than 270 deep sea fishing boats are working with superior skill to other country at the South Pacific, the Atlantic, the Indian, and the North Pacific Ocean. Our deep sea fisheries is consisted of the tuna long line and the trawler. The tuna long line of them has 230 crafts in 1969 ana the deep sea trawler has 40 crafts, too. Comparing to 1962, the number of the deep sea fishing boats has been increased highly to 54 times, 7.71 times average per year increasing rate. The rate of the tuna long line to the trawler at the end of 1969 shows 85:15, More than half of them are 100~200 (equation omitted), if we classify them according to (equation omitted) or boat craft. 70% of them has less than 5 years ships age. The Korean Marine Industry Development Corporation has more than 1/3 fishing fleets, with 91 crafts, if We consider it according to corporation. Considering it according to the financial resources, dependence upon foreign loan is as high as 88%. Catches was 74, 450 M/T ($24, 663, 000)at the end of November in 1969 and it was increased to 113.5 times in catch amount and 118 times in value, comparing to those of 1962. Considering it according to the ocean, the order is arranged to the Pacific, the Atlantic, and the Indian Ocean. The average production amount of each craft is 250~400 S/T a year. The result of export took up 1/3 of total fisheries product export with $ 22, 398, 000 at the end of november in 1969. Employee cost of fishing coast is 8% higher than other fishing. The profit is highest in our fisheries. Most of the products except the trawler fishing are sofa at the fishing grounds to the processing company, and they lose much money. They buy most of bait from Japan, giving $8~10 for 1C/S(10kg). Fish price is $390~520 according to the kind of fish for S/T at the fishing grounds, and the rapid frozen fishes brought to Japan are about $ 800 for S/T. There is much difference. in price. Problems 1. Want of self capital. 2. To get the refrigeration boats enough. 3. International Fishing Regulation. 4. To get high price and to secure consuming grounds. 5. To get home-production of bait. 6. To exploit new fishing grounds. 7. To get larger boats. 8. To get mariner enough. When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re solved, the Deep Sea Fisheries of oun courtry will be developed more largely.

  • PDF

지역분석을 위한 웹 기반 통계GIS 연구 (A Study on the Statistical GIS for Regional Analysis)

  • 박기호;이양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239-261
    • /
    • 2001
  • 우리 나라 국가지정통계자료는 대부분 행정구역을 기초단위로 하는 지리/지역정보로서 계량적 지역분석기법을 통해서 그 가치가 더해진다. 본 연구는 지역분석을 위한 통계정보 및 통계지도 서비스 시스템의 한 선도적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사례로 하여 인구주택 총조사 및 사업체기초통계 원시자료 등을 재 집계하여 지역통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통계GIS의 핵심 지역분석모듈은 사회경제 자료분석에서 활용의 빈도가 높은 지역구조 및 격차 분석, 공간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 및 잔차분석, 공간적 자기상관분석 등으로 구성되었다. 시스템 설계는 지역통계 데이터베이스와 지역분석기법 모듈, 그리고 통계지고를 웹 환경에서 통합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기반기술을 채택하여 이루어졌다. 지역분석을 위한 입출력 과정에서 대화형 통계지도가 사용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통계 GIS의 특징은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분석기능이 사용자와의 양방향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한 없이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분석변수의 자유로운 변형과 합성이 연산자 구문해석기를 통해 가능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역분석 알고리즘의 구현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측면에서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자료를 잠정적으로 시스템에 통합하여 확장된 가상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이에 대해 여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웹 기반 통계GIS 모델의 초기평가를 통해 각종 지역통해자료로부터 주문형 통계지도의 작성과 유통이 동시에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