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TS 관제사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nalysis of VTS Operators' Situational Awareness Based on In-Field Observation and Subjective Rating Methods (현장관찰법과 자기보고법에 기초한 VTS 관제사의 상황인식 분석)

  • Lee, Jae-Sik;Kim, Jung-Ho;Jang, En-Kyu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0 no.6
    • /
    • pp.375-384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specify Vessel Traffic System(VTS) operators' situational awareness(SA) tasks and examine differences in subjective ratings for three levels of SA. Data for relative frequencies of SA tasks were collected by using direct in field observation. Subjective rating scores were obtained using a questionnaire method and compared in terms of VTS operator's gender and length of service care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VTS operators perform information perception task elements more frequently than those for information integration and prediction. Second, VTS operators tended to show subjectively lower evaluation scores for prediction than information perception or integration. Third, male VTS operators rated their SA ability higher than females. Fourth, the male VTS operators more than 15 years of career service showed higher subjective rating scores than those with under 5 years of service. Female VTS operators with different levels of career service showed a similar level of subjective rating scor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requency of SA related tasks and subjective SA evaluation can differ in terms of SA levels and individual differences.

VTS 관제사 의사결정 지원프로그램 개발 및 딥러닝 기법 적용

  • Kim, Gwang-Il;Kim, Jae-Su;Kim, Jae-Il;Lee, Geon-Myeong;Bhardwaj, Sachin;Abbas, Khizar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6-258
    • /
    • 2018
  • VTS 관제사의 선박모니터링 외 부가적인 업무 경감과 효율적인 선박교통 정보 관리를 위해 VTS 관제사 의사결정 지원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며, 일부 VTS 센터에서는 이 장비를 도입하여 운영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VTS 관제사의 의견을 수렴하여 새로운 VTS 관제사 의사결정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주요 기능은 AIS 선박교통데이터, PORT-MIS 및 도선 정보를 연계하여 관제구역 내 선박 입항시 ETA 자동 계산, 선박 위험구역 진입 및 충돌위험시 경보, 선박입항 스케쥴 및 도선정보 표시 등 관련 정보 연계이다. 또한 VTS에서 수년간 수집되고 있는 선박교통 데이터의 딥러닝 학습을 통해 데이터기반의 선박교통밀도 및 선박목적지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 PDF

VTS 관제 최소안전거리에 관한 연구

  • Kim, Jong-Seong;Park, Yeong-Su;Park, Jun-Mo;Kim, Dae-Won;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14-116
    • /
    • 2011
  • 해상교통 관제 서비스는 해상교통량의 폭주, 위험화물의 증가와 잠재적인 환경오염의 위험 등에서 항만의 안전 또는 항만운영 효율성 제고하기 위해 실시하는 통항서비스로 VTS 구역 내에서 주변상황 및 해상교통상황을 적시에 제공하여 선박에서 항해의사 결정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보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실제로 안전한 해상교통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 전 연안 및 항만에서 운영하고 14개소의 VTS 및 연안 VT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VTS 관제사는 선박운항자와 마찬가지로 관제하고 있는 항만이나 연안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선박과 선박 사이 및 선박과 육지(장해물)와의 최소안전거리를 두고 관제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각 VTS 관제사들이 관제하는 안전이격거리를 개인별로 조사함으로써 VTS 관제사간의 안전이격거리를 조사함에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 결과 같은 VTS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개인별로 관제하는 최소안전거리가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VTS 데이터를 이용한 정량적인 VTS 구역 적정 관제석 산출

  • Kim, Gwang-Il;Jeong, Cho-Yeong;Kim, Ju-Seong;Lee, Geon-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67-270
    • /
    • 2018
  • 해상교통관제센터(VTS)는 해상 안전과 선박교통효율을 위해 우리나라 주요 항만 및 연안해역에서 운용중이다. 우리나라 VTS는 외국항만 VTS에 비해 1인당 담당 관제면적이 넓으며, 최근 VTS 구역 추가 확대로 기존 관제사의 담당구역이 기존보다 더욱 확대되어 관제사의 집중관제와 선박교통관리 어려움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VTS 구역의 효율적인 운영과 VTS 인력 확보를 위한 정량적인 관제석 수 산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VTS에서 수집중인 선박교통 및 선박교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VTS 구역 적정 관제석 산출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방법은 VTS 구역에서 운항하는 모든 선박의 모니터링 시간, VHF 교신에 대하여 관제 업무(task)항목, 출현빈도, 소요시간을 정의하고, 단위시간동안 각 관제 task별 소요시간을 계산하여 관제석 수를 계산한다. 제안한 방법을 여수VTS 해역의 VTS데이터에 적용하여 적정 VTS 관제석 수, 시간대별 관제석 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혼잡시간대 필요 관제석이 4-5 석이 필요로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관제사 간 관제정보 교환방법에 관한 연구 -해양경찰 연안VTS 중심으로-

  • Lee, Jin-Haeng;Kim, Jin-Su;Yun, Hui-Ung;Jeon, Bye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185-187
    • /
    • 2013
  • "93년 국내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이 도입, '06년 진도연안VTS개국 및 '12년 여수연안VTS 개국 이후 사고 위험성이 높은 연안해역에서 선박충돌 좌초 사고 발생율은 현격하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관제를 위한 시스템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으나 인적 요인 중 관제사의 관제이력정보 등 관제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은 현 VTS 시스템에서는 개발 및 도입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양경찰에서는 '23년 11개소 연안VTS 센터 확대 구축되기 전에 각 VTS 센터 간 관제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여 효과적인 관제사의 현장업무수행 능력 향상 방안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Conceptual Design of the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for VTS Operator (관제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개념 설계)

  • Kim, Sun-Young;Oh, Jae-Yong;Kim, He-Jin;Son, Nam-Sun;Lee, Moo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144-145
    • /
    • 2010
  • VTM is regarded as a core element in e-Navigation under developing by IMO. IMO's e-Navigation aims for VTM which could provide more navigational information for ships and provide more active VTS services for safe and efficient marine traffic environment. To be successful for VTM under e-Navigation, VTS operator's experience and ability for carrying out VTM tasks are essential. In this study,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for VTS operators are designed conceptually which support VTS operators' VTM tasks by providing informations on traffic risk, and predicted behaviour of ships. This paper describes a designed system with design concept, main functions, main elements and necessary technologies to be developed.

  • PDF

The study of Port-MIS ship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in VTS operation console (Port-MIS 선박 정보를 VTS 운용 콘솔에 현시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

  • Oh, Seung-hee;Lee, Byu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79-181
    • /
    • 2014
  • 지금까지의 해상교통관제시스템(Vessel Traffic System: VTS)에서 관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관제사들이 확인할 수 있는 선박에 대한 정보는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정보에 한정적이었다. 하지만 선박에서 전달받는 AIS 정적 정보는 한정적이며, 정확성 역시 신뢰할 수 없을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그래서 관제사들은 선박의 정확한 정보 확인을 위해서 항만운영시스템(Port-MIS)에 별도로 접속하여 해당 선박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여 활용하는 상황이다. 현재 ETRI에서는 Single Windows 개념을 적용한 차세대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을 개발하면서 관제사들의 편의성 제공을 위해 추가적인 Port-MIS의 연동 없이 관제 화면을 통해 관제중인 선박에 대한 Port-MIS 정보를 조회하여 현시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제사들의 VTS 현시용 선박 정보 필드에 대한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 구조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 PDF

Analysis on mind mechanism of coastal VTS service (관제 행위의 심리 기제 분석)

  • Byung Sun, Kim;Hyung Jun, Kim;O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204-205
    • /
    • 2013
  • VTS service results from VTS watchman's mind as all other human conducts. Psychological motivations are divided into 4 factors ; collective unconscious, fear, responsibility, humanity. These motivations are beginning of VTS. Motivations awaken watchman and effect all other steps of service. Out of these motivations, higher factors ; responsibility and humanity act very positively and can be best solution for safety of vessel traffic ; the purpose of coastal VTS. Therefore, VTS officers should be educated to build up these virtues in their mind.

  • PDF

A Basic Study on the VTS Operator's Minimum Safe Distance (VTS관제사의 최소안전거리에 관한 기초 연구)

  • Kim, Jong-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5
    • /
    • pp.476-482
    • /
    • 2013
  •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effectivity of VTS(Vessel Traffic Service) control by investigating the minimum safe distance between vessel and vessel, vessel and land(obstacle) for the vessel's safe navigation within the VTS control area. In addition, to suggest basic data for the safe navigation, this study has done survey and analysis to each VTS center, and individual on the minimum safe distance to VTS operators of each ports of korea. Through ocean voyage by training ship, Singapore and Malacca strait's congested vessel traffic zone's control distance was compared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n safe distance by the different VTS operators. As a result, there was huge difference of minimum safe distance between the VTS operators belong to the same center. Over all, the port with gentle coastline, like donghae, the safe distance was wider than the other port. On the other hand, port with complex coastline and frequent entry and departure of the vessel, like mokpo, the safe distance was the shortest of all. Therefore, development of module suitable to port's natural conditions and traffic volume's necessity is required, for the operators affiliated to the same VTS center control according to formal method. Lastly, the full discussion by the expert group about establishment of standard control procedure in the future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Monitoring Tasks & Concurrent Task Management in VTS

  • Jeong, Gi-Nam;Lee, Nam-Yeol;Ha, Yun-Ju;Kim, Yeong-Sin;Lee,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346-348
    • /
    • 2014
  • VTS 관제사의 가장 기본적인 업무는 모니터링과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사건을 처리하는 업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업무와 동시발생 업무의 관리의 소홀 또는 실패가 VTS 관련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고에서는 VTS 모니터링 업무와 동시발생 업무 관리의 특성을 분석하고 특히 방해와 산만을 일으키는 요소들을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이것이 관제사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미래계획기억과 분산 기억 시스템 이론을 적용하여 실질적으로 관제사 업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또한 e-Navigation 과 관련하여 VTS 장비에 장착하여 관제사의 모니터링 업무와 동시다발 발생 업무 관리를 도울 수 있는 도구 개발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