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TS

검색결과 477건 처리시간 0.03초

IVEF 서비스 구현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VTS 통합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Cloud-based VTS Integration Platform for IVEF Service Implementation)

  • 유윤재;김대원;송재욱;이정진;이상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893-901
    • /
    • 2023
  • 국제항로표지협회(IALA)는 선박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을 위해 2016년에 선박교통관제서비스(VTS) 운영을 위한 VTS 매뉴얼 권고지침을 제시하였으며, 한국해양경찰청(KCG)은 IALA VTS 매뉴얼 및 VTS 관제사의 교육훈련 지침에 근거하여 2022년까지 전국 항만 및 연안 수역에 총 19개의 VTS 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또한, IALA는 효율적인 e-Navigation 시스템 서비스와 관제 당국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VTS 서비스 지원을 위해 2011년에 VTS 간 데이터 교환 표준인 Inter-VTS Exchange Format(IVEF) 서비스권고안(V-145)을 제시했다. IVEF 서비스는 선박 정보교환을 위한 공통 프레임워크로 일곱 개의 기본 IVEF 서비스(BISs)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VTS 서비스 제공자는 IVEF 표준을 이용하여 공동 운항구역에 대한 VTS 정보공유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VT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KCG에서 수행하고 있는 클라우드 기반 VTS 통합 플랫폼 및 개발 서비스를 BISs의 데이터 모델, 상호작용 모델, 인터페이스 모델에 근거하여 제시했다. 또한, IVEF 서비스 구현을 위한 클라우드 VTS 통합 플랫폼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고, IVEF 서비스의 주요 기능을 구현한 결과를 보였다.

VTS 준사고 보고제도에 관한 기초 연구 - 부산항을 대상으로 (A Basic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 VTS Marine Incident System)

  • 하종민;박영수;김학열;김윤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33
    • /
    • 2019
  • 본 연구는 부산항 관제구역 내 관제 관련 준사고 사례를 분석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준사고에 대한 기준 정립 및 준사고 보고제도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이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유사사고의 재발 방지, VTS의 순기능 부각, 신규관제사 및 전입관제사의 교육 및 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VTS 준사고 보고제도의 효용성, 제도를 시행함에 있어 필요한 사항 등의 파악 등이 포함된다.

  • PDF

현장관찰법과 자기보고법에 기초한 VTS 관제사의 상황인식 분석 (Analysis of VTS Operators' Situational Awareness Based on In-Field Observation and Subjective Rating Methods)

  • 이재식;김정호;장은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75-384
    • /
    • 2016
  • 본 연구는 해상교통관제사(이하 'VTS 관제사')의 해상교통관제(Vessel Traffic Service: 이하 'VTS') 수행 속성을 상황인식(situation awareness: 이하 'SA')과 관련된 세부 과제들의 수행 빈도와 SA 역량에 대한 주관적 평가의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SA 세부 과제들에 대한 수행 빈도 자료는 3개 VTS 센터의 VTS 관제사가 보인 VTS 수행을 직접 관찰하여 수집하였고, SA 역량에 대한 주관적 평가 자료는 18개 VTS 센터에서 근무하는 VTS 관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행 빈도 자료는 SA의 세 수준과 각 세부 과제에 따라 비교하였고, 주관적 평가 점수에 대해서는 VTS 관제사의 성별과 근무경력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VTS 관제사는 SA 수준 중 정보지각에 해당하는 과제를 가장 높은 비율로 수행하였고, 이어서 정보통합과 예측에 해당하는 과제들을 각각 유사한 수준으로 수행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둘째, VTS 관제사는 정보를 획득하거나 통합하는 역량에 비해 미래 상황을 예측하는 역량을 상대적으로 더 낮게 평가하였다. 셋째, 성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성 VTS 관제사는 여성에 비해 더 높은 수준으로 자신의 SA 역량을 평가하였다. 넷째, 성별로 근무경력에 따른 주관적 평가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성의 경우 근무경력이 15년 이상인 VTS 관제사는 5년 미만의 VTS 관제사에 비해 SA의 모든 수준에 걸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주관적 평가를 보였으나, 여성의 경우는 근무경력에 따른 주관적 평가에서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VTS 관제사의 SA 과제 수행 빈도와 SA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SA 수준과 개인차 변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해양사고 통계분석을 통한 VTS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Advanced VTS System through Statistic Analyzing Traffic Accidents in VTS area)

  • 이형기;장성록;박영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519-524
    • /
    • 2009
  • VTS의 관제 범위에서 발생한 교통관련사고 분석은 VTS의 개선방향 검토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나 현재까지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분석은 최근 6년(1999-2004년)간의 해양안전심판재결서와 VTS 센터별 자료 및 Port-Mis자료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1) 교통관련사고의 통제 및 VTS의 개선 방향을 검토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2) 교통관련사고의 경우 관제여부에 따라 사고원인과 시정상태, 충돌사고의 상대선 인지거리 및 인지지체원인에 차이가 발생함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3) VTS의 지원은 충분한 시간 전에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04-08시 시간대에 강화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4) 사고예측모형을 통해 관제선박의 교통관련사고는 일평균 교통량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VTS 운영자가 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선박을 우선적으로 식별하여 관련 정보를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VTS 데이터를 이용한 정량적인 VTS 구역 적정 관제석 산출

  • 김광일;정초영;김주성;이건명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7-270
    • /
    • 2018
  • 해상교통관제센터(VTS)는 해상 안전과 선박교통효율을 위해 우리나라 주요 항만 및 연안해역에서 운용중이다. 우리나라 VTS는 외국항만 VTS에 비해 1인당 담당 관제면적이 넓으며, 최근 VTS 구역 추가 확대로 기존 관제사의 담당구역이 기존보다 더욱 확대되어 관제사의 집중관제와 선박교통관리 어려움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VTS 구역의 효율적인 운영과 VTS 인력 확보를 위한 정량적인 관제석 수 산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VTS에서 수집중인 선박교통 및 선박교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VTS 구역 적정 관제석 산출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방법은 VTS 구역에서 운항하는 모든 선박의 모니터링 시간, VHF 교신에 대하여 관제 업무(task)항목, 출현빈도, 소요시간을 정의하고, 단위시간동안 각 관제 task별 소요시간을 계산하여 관제석 수를 계산한다. 제안한 방법을 여수VTS 해역의 VTS데이터에 적용하여 적정 VTS 관제석 수, 시간대별 관제석 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혼잡시간대 필요 관제석이 4-5 석이 필요로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분산처리 네트워크 방식에 의한 VTS 시스템의 확장 (Extension of VTS system by Distributed Processing Network Method)

  • 김원욱;배병덕;김창제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46
    • /
    • 2002
  • 이 연구는 기존 VTS 시스템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VTS 시스템에 선박조종 시뮬레이터를 기능적으로 연계시켜 VTS 시스템을 3차원으로 확장시키고자 시도된 것이다. 기존의 VTS 시스템은 ARPA Radar를 이용한 2차원에 국한된 관제 시스템이나 이 시스템에 분산처리 네트워크방식을 적용하여 3차원 기능을 가진 VTS 시스템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확장된 VTS 시스템의 운용은 선박의 안전운항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VTS의 국제협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IALA 제36차 VTS 기술위원회 회의 결과 중심 -

  • 정병우;김명수;박진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2-384
    • /
    • 2013
  • 우리나라는 1993년 포항항 VTS 센터를 시작으로 전국의 주요 항만과 연안, 내륙수로에 세계적 수준의 VTS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중에 있다. 하지만 높은 수준의 VTS시스템을 가지고 있음에도, 국제사회에서 VTS 업무협력 및 정책 홍보 등의 활동력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다. 현재의 우리나라 VTS의 조직, 예산, 인력 측면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국제 VTS에서 주도적 역할과 위상제고를 위한 개선점을 살펴보았다.

  • PDF

해상교감관별 시스템의 지리적 후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Vessel Traffic Service System)

  • 이학선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3-6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is the functional role of VTS in order to get the people concerned with marine traffic/transportation understand about VTS. VTS could be described as the essential risk management system in both cost effective on cost-benefit analysis and the sea space or time management at port, coastal environment. The important role of the VTS are those functions such as the decision making infrastructure, the passive/active safety measures at sea. VTS could not control/regulate marine traffic as strong as ATC(Air Traffic Control) owing to the marine traffic characters. However, the right and responsibility of VTS finally are belong to the master, pilot and mariners. For the benefit of the electronic technology development, VTS system also cloud be upgraded to communication system from information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se system upgrading, the right and responsibility of VTS/staff should be supported by domestic legal system. The followings are presented for VTS to be effective. First, the cooperation and understanding of VTS between the peoples concerned with marine traffic/transportation are essential. Because they are all data supplier and also information consumers. Second, VTS staff/regulator should be selected, educated, trained accordingly as per their career, ability, quality, qualification, certification and etc. Third, the port reliability from VTS users depends on the factors such as economic interests, safety and effectiveness/efficiency of VTS.

  • PDF

VTS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기능 요구 사항 (Functional Requirements for VTS Decision Support System)

  • 이상우;이병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8-339
    • /
    • 2015
  • VTS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관제사들이 선박을 관제함에 있어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선박 간 거리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제정되고 있는 IALA 표준을 중심으로 VTS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구분, 제공하는 경고 정보의 세분화된 정의, 제공되어야 할 경고 기능 등을 분석한다.

  • PDF

Questionnaire on Marine Safety and Vessel Traffic Services in Philippine Coastal Waters (Part 2)

  • Dimailig, Orlando S.;Jeong, Jae-Yong;Kim, Chol-Seong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8-256
    • /
    • 2013
  • Part 2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n Marine Safety and VTS in the Philippine Coastal Waters presents the alternatives to risk reduction, modifying the VTS, the qualification and competency of a VTS operator and effectiveness of the services and assistance rendered by VTS. This study finds that majority of respondents chose "Improved education and training of mariners" as the best alternative to risk reduction and the "Strict enforcement of ship safety regulations" as the best alternative based on the respondents' ranks last served onboard and areas of familiarity. In modifying the VTS, the areas with VTS chose to "Improve or upgrade" and for those without, is to "Implement" the system. The best VTS system is the "Port and Approaches" type and the PCG is selected to operate, maintain and supervise the system. As a VTS operator, the necessity of shipboard experience is considered "Essential" and the experiences include "Ship-handling and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level" experiences. The effectiveness of the assistance and services rendered by VTS are considered "Very Import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s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mariners and users of the waterways including the training of VTS operators manning the VTS centers, strict enforcement of ship safety regulations along the busy and main ports of the country and installation of VTS system with the most appropriate type with the supervision of PC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