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SM(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7초

고온 초전도체 $Y_{1}Ba_{2}Cu_{3-x}Sn_{x}O_{7-y}$의 자기적 특성 연구 (Magnetic Properties of the $Y_{1}Ba_{2}Cu_{3-x}Sn_{x}O_{7-y}$ $High-T_{C}$ Superconductor)

  • 이성규;이주일;김문석;유성초;임우영;백종성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5-21
    • /
    • 1991
  • 고온초전도체 $Y_{1}Ba_{2}Cu_{3-x}Sn_{x}O_{7-y}$에서 Cu 대신에 Sn 을 치환하면서 이들의 조성변화에 따른 자기적 특성을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VSM)와 torque magnetometer를 이용 하여 측정하였다. Cu 대신에 Fe, Ni 등의 원소를 치환했을 때와는 달리 x=0.36 까지 되어도 초전도 전이온도가 90 K 이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온도와 외부자기장에 따른 자기 모우먼트 측정을 통하여 각 조성에 따른 lower critical field ($H_{c1}(T)$)과 upper critical field ($H_{c2}(T)$)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이용해 $H_{c1}(0)$$H_{c2}(0)$를 계산했으며, 간섭길이 (${\varepsilon}_{0}$), 침투깊이 (${\lambda}_{0}$), Ginzburg-Landau 상수 k등을 얻을 수 있었으며, 시료의 flux pinning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i0.96Co0.02Fe0.02O2의 자기적 특성 (Magnetic Properties of Ti0.96Co0.02Fe0.02O2)

  • 김응찬;이상율;김성진;한국화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3-46
    • /
    • 2007
  • [ $Ti_{0.96}Co_{0.02}Fe_{0.02}O_2$ ]의 자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온도와 Ti-getter를 변화시켜 XRD(X-ray Diffraction)와 VSM(Vibrating Sample Magnetometer)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은 먼저 Host 물질로 $TiO_2$를 사용하고 여기에 두 가지 전이 금속인 Fe와 Co를 첨가하여 직접합성법(solid state reaction)으로 시료를 제작하였다. $Ti_{0.96}Co_{0.02}Fe_{0.02}O_2$의 결정학적 구조를 알기 위해 XRD 측정을 해 본 결과 tetragonal구조의 순수 rutile 상을 보였다. 또한 온도에 무관하게 Ti-getter를 넣은 시료는 Fe 2차상이 동일하게 나왔으며 , Ti-getter를 넣지 않은 시료는 $Fe_2TiO_5$가 검출 되었다. 그리고 VSM(Vibrating Sample Magnetometer)을 이용하여 자기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상온에서 자기이력곡선(M-H)는 강자성을 보이며, 0.8T에서 CoFe 원자당 자기 모멘트는 약 $1.3{\mu}_B/CoFe$가 측정 되었다. 그러나 Ti-getter를 넣지 않고 실험한 시료에서는 약 $0.02{\mu}_B/CoFe$가 측정 되었다.

Sol-gel 합성에 의한 자성 garnet $Y_{3-x}Bi_xFe_5O_{12}$의 결정학적 및 Mossbauer 분광학 연구 (Crystallographic and Mossbauer Studies of Magnetic Garnet $Y_{3-x}Bi_xFe_5O_{12}$ by a Sol-Gel Method)

  • 엄영란;김철성;이재광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3-209
    • /
    • 1998
  • Single phase garmet Y3-xBixFe5O12(x=0.0, 0.25, 0.5, 0.75, 1.0)을 ethylene glycol을 용매로 하여 sol-gel 법으로 합성후 x-ray diffraction, Mossbauer 분광기,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VSM)를 이용하여 결정학적 및 자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Y과 Fe의 수화 반응을 통하여 얻은 Y3Fe5O12의 x-ray 회절 분석 결과는 결정구조가 cubic임을 알 수 있었고 Y에 Bi를 치환한 경우 또한 cubic 구조이었으며 Bi의 치환 량이 증가할수록 격자 상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Bi를 첨가한 Y3-xBixFe5O12 (x=0.0, 0.25, 0.5, 0.75, 1.0)의 단일상의 garnet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온도는 80$0^{\circ}C$이고 secound phase (BiFeO3)가 생성되기 시작하는 온도는 x=0.75는 100$0^{\circ}C$이며 x-1.0은 95$0^{\circ}C$였다. Mossbauer 분광 실험과 VSM측정 결과 Birk 치환 될수록 포화 자화 값과 coercivity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uric 온도는 Bi의 치환 양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산화철 나노입자를 함유한 초상자성 마이크로니들에 관한 연구 (Study of Superparamagnetic Microneedles containing Iron Oxide Nanoparticles)

  • 이승준
    • 공업화학
    • /
    • 제32권5호
    • /
    • pp.556-561
    • /
    • 2021
  • 최근 산화철 나노입자는 외부의 자기장에 반응하는 자성의 특성과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에 관한 많은 연구의 소재로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s, MNs)의 매트릭스 물질로 HA (hyaluronic acid)와 CMC (carboxy methyl cellulose)를 이용하여 SIONs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이 함유된 HA-SMNs (hyaluronic acid-superparamagnetic microneedles)와 CMC-SMNs (carboxy methyl cellulose-superparamagnetic microneedles)를 제조하였으며,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QUD-VSM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FMMD (frequency mixing magnetic detection), 고분자 및 바이오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SMNs의 다양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SQUID-VSM 측정 결과 SIONs이 포함된 HA-SMNs와 CMC-SMNs에서 초상자성의 특성이 나타났으며, FMMD 측정에서는 SIONs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신호 강도에 변화가 확인되었다. 또한 SMNs의 바이오 막을 통한 HA-SMNs와 CMC-SMNs의 투과도 분석에서는 각각 평균 92.5%와 98.5%의 피부 투과율이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SMNs 제형은 경피약물전달시스템(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TDDS) 및 MR(magnetic mesonance) molecular imaging 분야의 전달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ZT/Ferrite 합성 세라믹의 전기적.자기적 특성연구 (Electrically and magnetically Characterization for Ferroelectric/Ferrimagnetic ceramics)

  • 김장용;오준학;문병무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4 No.1
    • /
    • pp.30-33
    • /
    • 2001
  • This thesis deal with ferroelectric and ferrimagnetic materials, PZT/Ferrite ceramics. We conducted test of magnetical and electrical measurement. From this measurement, We obtained tunability and we can control characteristic impedance($Z_0$) from permeability($\mu$) and dielectric constant($\varepsilon$) for impedance matching in transmission line.

  • PDF

PZT/Ferrite 합성 세라믹의 전기적.자기적 특성연구 (Electrically and magnetically Characterization for Ferroelectric/Ferrimagnetic ceramics)

  • 김장용;오준학;문병무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33
    • /
    • 2001
  • This thesis deal with ferroelectric and ferrimagnetic materials, PZT/Ferrite ceramics. We conducted test of magnetical and electrical measurement. From this measurement, We obtained tunability and we can control characteristic impedance(Z$_{0}$) from permeability($\mu$) and dielectric constant($\varepsilon$) for impedance matching in transmission line.e.

  • PDF

플라즈마 이온주입 방법에 의한 질화철 제조 및 자기적 성질 (Magnetic Properties and Production of Fe-N Phases by Plasma Source Ion Implantation)

  • 김정기;김곤호;김용현;한승희;김철성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12
    • /
    • 1998
  • 플라즈마 이온주입 장치를 이용하여 $\alpha$-Fe foil에 질소 이온을 주입하여 질화철 결정상을 만들었으며, 이때 질소 이온 주입시간을 15분(FEN15)과 30분 (Fe30)으로 처리되었다. 오제 전자 분광법(Auger electron spectroscopy : AES)을 이용하여 측정한 주입된 질소 이온의 깊이는 사편 FeN15와 FeN30에서 각각 12000$\AA$과 40000$\AA$으로 나타난다. 진동 시편 자력계(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 VSM)측정결과 as-implanted 각각의 시편은 포화자화 값이 순수한 $\alpha$-Fe foil 보다 증가되었으며, 이는 $\alpha$'-Fe8N 또는 $\alpha$'-Fe16N2의 결정구조가 그원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플라즈마 이온주입 방법으로 제작된 질화철에서 부분적인 $\alpha$'또는 $\alpha$'의 졀정구조 형성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졸-겔 합성에 의한 BaFe12-2xCoxTixO19 미립자의 자기적 특성 (Magnetic Characteristics of BaFe12-2xCoxTixO19 Particles Prepared by Sol-gel Synthesis)

  • 최현승;정지형;박효열;김태옥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2-68
    • /
    • 2003
  • 졸-겔법으로 보자력 제어에 뛰어난 첨가제인 Co와 Ti을 첨가한 Ba-ferrite 미립자를 합성하였다. 졸-겔 반응시, 반응 시간이 90분에서 120분 이내에서 온도, pH 및 점도의 변화가 없고, aging 시간에 따라 점도가 안정한 상태치 졸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졸을 건조 및 열처리 후,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DTA)와 X-Ray Diffractometer(XRD)를 통해 Ba-ferrite 상이 약 $700^{\circ}C$부터 생성됨을 확인하였으며, 열처리 온도 증가에 의해 결정성이 좋아짐을 볼 수 있었다. Scanning Election Microscopy(SEM)로 표면형상을 관찰한 결과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크기가 증가하였으며, 비교적 균질한 입도 분포의 미립자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VSM)로 Co와 Ti의 첨가량에 따른 자기적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포화자화(M$_{s}$ )값은 첨가량에 관계없이 변화가 없었으나, 보자력(H$_{c}$)값은 첨가량에 따라 크게 변화하였다.

고상반응법으로 제조된 Ba2Co2Fe12O22분말의 자기적 성질과 미세구조에 미치는 금속이온몰비와 열처리 온도의 영향 (Effects of Metal Ion Mole Ratio and Calcination Temperatures on Magnetic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Ba2Co2Fe12O22 Powders Synthesized by Solid State Reaction)

  • 조광묵;남인탁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216-221
    • /
    • 2009
  • Y-type 바리움 페라이트 $Ba_2Co_2Fe_{12}O_{22}$를 고상반응법으로 제조하고 금속이온몰비($Fe^{3+}:\;Ba^{2+}:\;Co^{2+}$)와 열처리 온도가 자기적 성 질과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상분석과 미세구조는 각각 XRD(X-ray diffractometer)와 FESEM(field effect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분말의 자기적 성질은 VSM(vibrating sample magnetometer)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금속이온몰비($Fe^{3+}:\;Ba^{2+}:\;Co^{2+}$)가 6 : 1 : 1인 조성의 분말을 $1050\;{^{\circ}C}$에서 열처리하였을 때 단일 상이 합성되었으며 8 : 1 : 1인 조성의 분말을 $1200\;{^{\circ}C}$에서 열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포화자화값(39.1 emu/g)을 나타내었다.

Nd-Fe-Ti-B 비정질 합금의 자기적 성질 연구 (Magnetic Properties and the Crystallization of Amorphous Nd-Fe-Ti-B)

  • 이승화;안성용;김철성;김윤배;김창석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0-145
    • /
    • 1997
  • 단롤법으로 제조된 비정질 합금 NdFe$_{10.7}$TiB$_{0.3}$의 비정질상과 나노결정상을 X-선 회절법, Mossbauer 분광법, VSM(Vibrating sample magnetometer)을 이용하여 자기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비정질 합금 NdFe$_{10.7}$TiB$_{0.3}$의 Mossbauer spectrum을 13 K 부터 800 K 까지 취하였다. spin파 들뜸에 의한 T/T$_{c}$<0.7 이하에서의 평균초미세 자기장 H$_{hf}$(T)의 변화는 [H$_{hf}$(T)-H$_{hf}$(0)]/H$_{hf}$(0)=-0.46(T/T$_{c}$)$^{5}$ 2/ 같이 나타났다. 전기사중극자 분열값은 Curie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모두 0.46 .+-. 0.01 mm/s로 나타났으며 Curie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는 zero임을 알 수 있었다. Curie 온도 (T$_{c}$)와 결정화 온도(T$_{x}$)는 sample을 5 K/min의 비율로 heating 시키며 확인한 결과 T$_{c}$=380 K, T$_{x}$=490 K 임을 알았으며, 770 K에서 .alpha. -Fe 나노 결정상은 약 65%의 면적을 차지하였다. VSM 측정결과 Curie 온도 이상에서 자기 Moment 값의 증가는 .alpha. -Fe 상의 존재 때문이며 이는 Mossbauer 분석결과와 잘 일치하였다.r 분석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