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RS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205초

VRS 확장에 의한 TBM 감시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 개발 (The Software Implementation on TBM Supervise System with Expansion of VRS)

  • 이진덕;전지장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17-319
    • /
    • 2010
  • VRS는 현재 여러가지 토목공사에 이용되고 있으나 지하공사와 연계하는데는 아직 어려운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공사에 VRS를 통합하여 TBM 안내시스템을 TBM감시시스템으로 업데이트하도록 소프트웨어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여기서 개발된 TBM감시시스템은 설계경로와의 편차는 물론 여러가지 다른 측면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RS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기반 VRS서비스개발 (The Development of Data based VRS Service Using ARS system)

  • 김희경;박성수;정영준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09-412
    • /
    • 2009
  • 고객과 접하는 통화수단으로 VRS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 ARS를 통해 서비스를 하고 있는 사업체의 경우 VRS는 또하나의 새로운 시스템 도입이라는 점과 기존 고객에게 접근하는데 있어서 큰 변화를 느끼지 않으면서 보다 쉽고, 편리하게 다가 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고민을 안겨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ARS 시스템을 이용하여 쉽게 VRS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향후 VRS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 PDF

Endoscopic findings of rectal mucosal damage after pelvic radiotherapy for cervical carcinoma: correlation of rectal mucosal damage with radiation dose and clinical symptoms

  • Kim, Tae Gyu;Huh, Seung Jae;Park, W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81-87
    • /
    • 2013
  • Purpose: To describe chronic rectal mucosal damage after pelvic radiotherapy (RT) for cervical cancer and correlate these findings with clinical symptoms and radiation dos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who underwent pelvic RT were diagnosed with radiation-induced proctitis based on endoscopy finding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5 months after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and intracavitary radiotherapy (ICR). The Vienna Rectoscopy Score (VRS) was used to describe the endoscopic findings and compared to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RTOG) morbidity score and the dosimetric parameters of RT (the ratio of rectal dose calculated at the rectal point [RP] to the prescribed dose, biologically effective dose [BED] at the RP in the ICR and EBRT plans, ${\alpha}/{\beta}$ = 3). Results: Rectal symptoms were noted in 28 patients (rectal bleeding in 21 patients, bowel habit changes in 6, mucosal stools in 1), and 4 patients had no symptoms. Endoscopic findings included telangiectasia in 18 patients, congested mucosa in 20, ulceration in 5, and stricture in 1. The RP ratio, $BED_{ICR}$, $BED_{ICR+EBR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VRS (RP ratio, median 76.5%; $BED_{ICR}$, median 37.1 $Gy_3$; $BED_{ICR+EBRT}$, median 102.5 $Gy_3$; p < 0.001). The V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ORTC/RTOG score (p = 0.038). Conclusion: The most prevalent endoscopic findings of RT-induced proctitis were telangiectasia and congested mucosa. The V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ORTC/RTOG score and RP radiation dose.

DGNSS 기준국 네트워크를 활용한 가상기준국 보정정보 생성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C Generation Algorithms for Virtual Reference Stations Using a Network of DGNSS Reference Stations)

  • 김혜인;박관동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1-228
    • /
    • 2011
  • 국토해양부에서는 DGNSS 서비스의 광역화 및 상용화를 위하여 지상파 DMB를 이용한 가상기준국 기반 DGNSS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에서 개발중인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총 세 개의 가상기준국 기반 DGNSS 보정정보 생성 알고리즘을 규현하고 각 알고리즘 적용에 따른 측위정확도 비교를 통해 개발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가상기준국 기반 DGNSS 보정정보 생성 알고리즘은 역거리 가중법, 1 2차 다중 선형회귀분석법으로 각각 구현되었으며 기준망 구성을 위한 기준국 개수와 알고리즘 종류에 따른 측위정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6개 기준국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16개 기준국을 이용할 때 측위정확도가 향상되었으며, 다중 선형회귀분석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또한 가상기준국 기반의 DGNSS 측위결과가 단일기준국 기반의 DGNSS 측위결과보다 수평정확도 약 20-23%, 수직정확도 약 20-36%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망기반 대류 및 전리층 지연 추출을 위한 칼만필터 모델링 (Kalman filter modeling for the estimation of tropospheric and ionospheric delays from the GPS network)

  • 홍창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6_1호
    • /
    • pp.575-581
    • /
    • 2012
  • 일반적으로 VRS 데이터 생성 등을 위해 GPS 상시관측망으로부터 대류지연 및 전리층 지연량을 계산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모델링 기법과 추정 이론을 적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류 및 전리층 지연량의 계산을 위해 칼만필터를 기반으로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상태벡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태전이행렬 및 분산-공분산 값을 결정하였다. 수신기의 좌표 및 천정방향의 대류지연량과 이중차분전리층 지연량은 각각 random walk 및 first-order Gauss-Markov 프로세스로 모델링을 하였다. 모델링한 필터의 검증을 위해 구현된 칼만필터를 이용하여 상시관측소 데이터를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 수신기의 좌표뿐만 아니라 천정방향의 대류지연량 및 이중차분전리층 지연량을 성공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알고리즘을 통해 추출된 대기효과에 VRS 데이터 등의 생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NTRIP 서비스를 이용한 도로절토사면 현황조사방법 (Current Survey Method of The Road Cutting Slope Area Using Ntrip Service)

  • 장수익;강인준;강호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87-92
    • /
    • 2010
  • 최근 집중호우로 인한 절토사면의 붕괴사고가 매년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절토사면의 붕괴로 인하여 인명피해와 도로유실 등 많은 재해를 일으키고 있어 절토사면의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절토사면의 유지관리를 위한 현황조사 양식중에서 일반현황을 살펴보면 피해지역의 위치를 도로상의 거리표와 경위도로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피해지역의 위치와 사면의 형상파악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피해지역의 정확한 위치와 사면의 형상을 표시하기 위해 NTRIP서비스를 이용한 해양 DGPS기준국에서 수신하는 GPS 보정신호를 통한 NDGPS방법과 VRS 서비스를 이용한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두 방법 모두 실제 절토사면과 비슷한 형상의 사면이 나타나 차후 다른 연구지역의 절토사면조사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상현실기반과 고전적 스쿼트 운동 방법에 따른 정적, 동적 균형지수 간 상관분석 (The Correlation between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dex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quat and Conventional Squat Exercise)

  • 윤정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8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tatic and dynamic balance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quat and conventional squat exercise. Methods : Twenty four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quat (VRS) group (n=12) or conventional squat (CS) group (n=12). The static balance (C90 area, C90 angle, trace length, sway average velocity) and dynamic balance (forward, rearward, leftward, rightward) were measured using a force plate by BT4. The VRS group used the virtual reality system during 4 weeks, while the CS group underwent classical squat training.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test the homogeneit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aired t-test for static and dynamic balance comparisons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both groups and Pearson's test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tatic and dynamic balance according to the measured time.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05.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roup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related variables (p>.05).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asurement time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related variables (p<.05).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ime, the static balance parameter C90 area in the VRS group after exerci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5). The values of forward, leftward and rightward in the VRS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ercise (p<.05). Conclusion : It is suggested that 20 normal healthy adult men and women who have normal balance ability can improve their ability to control their posture by improving the balance ability when applying virtual reality-based squat exercise.

유해물질 이송관로 파손누출 실시간 예방 및 감시 기술개발 (The Development of Real-Time Leak Monitoring System for Management of Hazardous Material Pipeline)

  • Chae, Sookwon;Seo, Jaesoon;Kim, Joonse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22-12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돌발적 충격에 의한 파손사전 예방감시를 위한 이중구조 파이프, 측량 및 시공 속성정보 수집을 위한 스마트 폰 앱 프로그램 개발, 실시간 감시를 위한 서버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파일럿규모의 시험을 야외시험장에 구축하였다. 파손 예방을 위한 데이터는 파이프에 부착된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다. 누출은 압력센서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시험하였다. VRS 측량장비와 스마트폰을 연계한 앱 프로그램과 서버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시간 자료 수집과 감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DEA 모형을 이용한 발전회사 환경효율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co-efficiency in power plants using DEA Analysis)

  • 한정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119-13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독점적 지위로 운영되는 발전회사의 환경효율성 분석을 통하여 미래의 녹색경영, 지속경영에 대한 기관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DEA 분석이 가진 내재적인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C 발전회사 산하 6개의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담당 전문가로부터 DMU의 환경효율성을 위한 인터뷰 자료도 활용하였다. 투입요소로는 경영효율성에서는 비용과 종업원 수를 환경효율성으로는, CO2, NOx, 용수 사용량이 사용되었다. 산출요소로는 연간 총발전량, 판매수익이 사용되었다. 분석에는 규모수익불변(CRS, Constant Return to scale)투입지향의 DEA모형과 VRS(Various Return to Scale)모형을 이용하였다. CRS 분석에 의하면 0.923, BCC 분석으로는 0.969로 나타났으며 7개의 DMU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요소별 비효율적인 투입요소에서는 NOx가 CO2 보다 낮았다. 이는 전력발전에 있어 NOx는 물론 CO2에 관한 효율성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환경비효율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결국 신재생에너지와 연료 전지 등 대체에너지원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져야 한다.

가상기준점 기반 코드신호를 이용한 정밀 측위 (VRS-based Precision Positioning using Civilian GPS Code Measurements)

  • 배태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1-208
    • /
    • 2011
  • 스마트폰 사용자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정밀한 3차원 위치정보가 요구되고 있다. 단일 주파수 민간용 코드 자료를 이용한 위치결정 정확도는 10m 내외이지만, 향후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은 서브미터 수준의 위치정확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절대측위 대신 가상기준점을 기반으로 하는 상대측위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면보정계수를 이용하여 이중차분 오차를 보정하였다. 가상기준점은 로버 가까운 지점에 설정하고, 주 기준점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기하학적인 거리를 반영하였다. 이중차분으로 제거되지 않은 오차는 일반적으로 기선거리와 비례하므로, 로버 외부의 상시관측소 네트워크를 평면에 접합하여 면보정계수를 추정하였다. 이중차분 오차를 보정한 가상기준점과 로버의 24시간 C/A 코드 자료를 이용한 로버의 위치측정 결과 위도, 경도방향의 평균제곱근(RMS) 오차가 각각 37cm, 28cm 였으며, 높이 방향의 오차는 76cm 수준이었다. 또한 평면좌표의 성분별 오차는 전체의 약 90%에서 ${\pm}0.5m$ 이내의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네트워크 기반의 오차모델링을 통해 평면좌표의 바이어스가 2-3cm 수준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가상기준점과 이중차분 오차모델링을 통해 단일 주파수코드 자료로부터 안정적인 서브미터 정확도의 위치결정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