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RC Generation Algorithms for Virtual Reference Stations Using a Network of DGNSS Reference Stations

DGNSS 기준국 네트워크를 활용한 가상기준국 보정정보 생성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김혜인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지리정보공학과) ;
  • 박관동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지리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1.04.03
  • Accepted : 2011.05.24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For service-area-widening and commercialization of DGNSS servic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s developing a DGNSS service based on VRS using T-DMB. In this study, three PRC generation algorithms are developed for VRS DGNSS and their accuracies were evaluated. Three DGNSS correction generation algorithms are based on inverse distance weighting, 1st- and 2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their positioning accuracie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number of reference stations used for network composition and the algorithm type. As a result,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case of using 16 sites is better than that of 6 sites. And the algorithm using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hen the positioning accuracy of VRS DGNSS wa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single-reference DGNSS, the improvement ratio was 20-23% and 20-36% fo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respectively.

국토해양부에서는 DGNSS 서비스의 광역화 및 상용화를 위하여 지상파 DMB를 이용한 가상기준국 기반 DGNSS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에서 개발중인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총 세 개의 가상기준국 기반 DGNSS 보정정보 생성 알고리즘을 규현하고 각 알고리즘 적용에 따른 측위정확도 비교를 통해 개발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가상기준국 기반 DGNSS 보정정보 생성 알고리즘은 역거리 가중법, 1 2차 다중 선형회귀분석법으로 각각 구현되었으며 기준망 구성을 위한 기준국 개수와 알고리즘 종류에 따른 측위정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6개 기준국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16개 기준국을 이용할 때 측위정확도가 향상되었으며, 다중 선형회귀분석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또한 가상기준국 기반의 DGNSS 측위결과가 단일기준국 기반의 DGNSS 측위결과보다 수평정확도 약 20-23%, 수직정확도 약 20-36%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10), 인공위성을 통한 1m급 위치정보 서비스 대중화,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2. 배상태 (2003), 다중 기준국을 이용한 DGPS의 보정정보 개선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밭대학교, pp. 5-9.
  3. 배준수, 김승엽, 기창돈 (2003), VRS를 이용한 IDGPS의 응용 및 구현, 한국항공우주학회, 2003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432-435.
  4. 최영종, 배용찬, 이동호, 한재식 (2008), 우리나라 환경에서의 NTRIP 성능분석, 제 15차 GNSS Workshop Proceeding, 10. GNSS 관련기술.
  5. Abousalem M. A. (1997), Performance Overview of Two WADGPS Algorithms, GPS World, Vol. 8, No. 5, pp. 48-58.
  6. Loomis, T. Sheynblatt, L., and Mueller, T. (1991), Differential GPS Network Design, Institute Of Navigation, Albuquerque, pp. 511-520.
  7. Mueller, T. (1994), Minimum Variance Network DGPS Algorithm, TAU Corporation, Position Location and Navigation Symposium, IEEE. pp. 418-425.
  8. Oh, K. R., Kim, J. C., and Nam, G. W. (2005), Development of Navigation Algorithm to Improve Position Accuracy by Using Multi-DGPS Reference Stations' PRC Information, Journal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Vol. 4, No. 1-2, pp. 144-150. https://doi.org/10.5081/jgps.4.1.144
  9. Tang, W., Johnson, N., and Graff, J. (1989), Differential GPS Operation with Multiple Ground Reference Stations, Institute Of Navigation, Colorado Springs, pp. 319-323.

Cited by

  1. Development of a Virtual Reference Station-based Correction Generation Technique Using Enhanced Inverse Distance Weighting vol.4, pp.2, 2015, https://doi.org/10.11003/JPNT.2015.4.2.079
  2. 지상파 DMB 기반 DGPS 서비스 측위 정확도 평가 vol.36, pp.6, 2011, https://doi.org/10.5394/kinpr.2012.36.6.437
  3. A Study for Improving the Positioning Accuracy of DGPS Based on Multi-Reference Stations by Applying Exponential Modeling on Pseudorange Corrections vol.2, pp.1, 2011, https://doi.org/10.11003/jkgs.2013.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