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R Marketing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18초

Research on the Features of VR Marketing Design Based on Emotional Experience

  • Sui, Qiao;Cho, Dong-Mi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37-545
    • /
    • 2022
  • Emotional experience (James, 1884)[1] can affect people's behavior. There are few types of research on VR marketing(Maojun Zhou, Zeru Yan, 2018)[2] design based on emotional experience. This article is based on emotional evaluation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and the VR marketing case "Buy+" online shopping platform (Wu Yongyi, 2016). It is concluded that there are three levels of emotional experience definition on VR marketing which decompose the features of the VR marketing design of "Buy+ as an online-shop" correspondingly and find out the design features of VR marketing from the perspective of emotional experience.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data, it verified that vividness, functionality and effectiveness could represent the features of VR marketing design. Moreover, it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these factors. Vividness and functionality have the closest relationship among them. The definition, the components, and the correlation of the three-layer emotional experience obtained from this research can provide theoretical support and reference for other VR marketing design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Virtual Reality (VR) on the Novice and Experienced VR Users

  • Youjung Ju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61-70
    • /
    • 2023
  • Although research on Virtual Reality (VR) has uncovered numerous technical advantages of VR over traditional media, little is known about how individual VR users with varying prior experience respond to VR differently.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users' prior VR experience on their subsequent real-life behavior in the domain of charitable consumption. Specifically, we find that compared to experienced VR users, novice VR users are more likely to support a charitable cause in real life (e.g., ocean conservation) after experiencing this cause in VR. The increased support among novice VR users occurs because they perceive the use of VR to be more novel. We find a boundary of this effect such that when VR is used to promote a noncharitable cause, novice VR users no longer increase their real-life support after VR. This research offers new possibilities for future studies on the use of VR in societal marketing.

The Effect of Product Experience Through Virtual Reality on Product Evaluation

  • Jeon, Eunmi;Han, Youngjee;Woo, Hyunji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45-57
    • /
    • 2020
  • Wit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virtual reality (VR) is emerging as a new consumer marketing platform. Yet, only a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VR in the consumption context. The current research explores how experiencing a product through VR influences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e product. Although assessing products in real life is believed to be more diagnostic than that through VR, the present research revealed that experiencing a product through VR could lead to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 for the product. We also demonstrated that "enjoyment" has a mediating effect while evaluating the product through VR. To compare product experience through VR to that in real life, we employed the HTC Vive VR system to implement a VR environment. In the VR condition, participants evaluated plastic building blocks using a VR headset and a motion controller; and in the real life (reality) condition, they evaluted plastic building blocks printed using a 3D printer to make them look exactly the same as the blocks used in the VR condition. Final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Use of Immersive Virtual Technology in Consumer Retailing and Its Effects to Consumer

  • LEE, Won-Jun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5-15
    • /
    • 2020
  • Purpose : Today's retailers are integrating new VR technology into their new marketing strategies. Thus,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role of virtual experiences in the circumstance of sales channel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ur model hypothesizes that five key factors determine the consumer experience of VR in the virtual retailing context: smartness, vividness, interactivity, playfulness, escape. Information access and flow are mediating variables that connect key drivers and VR satisfaction. Information access and flow then give influence to satisfaction towards VR. Satisfaction serves as a mediator that determines changes in consumer's dual intention: intention to revisit VR and intention to visit the real site. Results :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every path ex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ccess and satisfaction of VR is accepted as expect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Conclusions :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potential importance of VR and continue VR marketing research as an advent research area. Through the dual-path model, this study found that the primary function of VR is information access and flow experience. This result shows that most VR users value emotional benefits rather than rational benefits provided by VR. Finally, the satisfaction of VR can stimulate both the intention to use the VR and the intention to visit real mall.

실감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장 마케팅 방안 연구 (A Study on Marketing Revitalization Plan of Performing Arts Theatre Using Realistic Contents)

  • 임영준;이영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09-31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실감콘텐츠(VR AR MR)를 활용한 공연장 마케팅 방안을 제안하였다. 공연장은 관객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공간이며, 공연장 마케팅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장 좌석의 배치를 활용한 마케팅전략이다. 이는 가상현실(VR)을 통해 관객에게 원하는 관람석에서 공연이 어떤 각도와 시야로 관람되는지에 대한 예상이 가능하며 몰입감이 높은 좌석을 예매하도록 유도한다. 둘째, 혼합현실(MR)을 통해 공연 홍보 및 광고물을 활용한 콘텐츠 마케팅이다. 기존의 정적인 홍보수단에 비해 공연예술의 현장감을 살린 동적 홍보가 가능하다. 셋째, 등장 캐릭터를 활용한 마케팅전략이다. 공연은 1회성 예술이다. 이를 보완하도록 등장캐릭터가 공연의 한 장면을 증강현실(AR)콘텐츠로 사전에 제공하여 공연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도록 한다. 넷째, VR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고객과 직접 소통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공연장 활성화를 위한 관객 유치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가상현실 점포의 체험요소가 소비자의 지각된 정보의 양,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periential Factors of Virtual Reality (VR) Store on Perceived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 천예림;최우림;박민정;유정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82-698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xperiential factors of virtual reality (VR) stores influence consumers' perceived amount of information and satisfaction, which in turn influences revisit intention. This also study examines whether the experiential factors differ as a function of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such as environmental responsiveness. Female consumers who had an experience in using VR technology for digital shopping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al, escapist and aesthetic experien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ived amount of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and escapist experien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perceived amount of info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n turn has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experiential factors on consumer respons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responsivenes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suggestions for experiential marketing and presen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for digital retailers utilizing VR technology.

메타버스를 이용한 뷰티 브랜드 경험 사례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Beauty Brand Experience Case Using Metaverse)

  • 김나영;김규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85-190
    • /
    • 2022
  • COVID-19 이후 산업 전반에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언택트 서비스로 메타버스가 주목받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 뷰티 브랜드를 대상으로 메타버스를 이용한 브랜드 경험 마케팅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 그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마케팅, 뷰티 브랜드 마케팅 관련 선행 연구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 SK-II와 크리스찬 디올은 VR기술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에게 브랜드 제품과 관련된 콘텐츠와 경험을 제공하고, 로레알, 세포라, 라네즈는 AR기술을 사용하여 가상 메이크업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등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체험 마케팅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체험마케팅은 고객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소비트렌드에서 중요한 Z세대를 겨냥하기 위해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가 뷰티 브랜드의 메타버스 및 체험 마케팅에 있어 관련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뷰티 분야에서도 메타버스 마케팅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60° VR 관광 콘텐츠의 이용동기, 플로우, 지속사용의도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체류 중국인 유학생 대상으로 (The Effect of 360-degree VR Tourism Contents Motivations, Flow,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n Visit Intention - For Chinese Student in Korea)

  • 석화윤;진로;남윤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89-398
    • /
    • 2022
  • 최근 관광 및 레저 관련 VR(가상현실) 콘텐츠가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360° VR 관광 콘텐츠의 이용동기, 플로우, 지속사용의도가 콘텐츠 이용자들의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60° VR 관광 콘텐츠의 이용동기 중에서 쾌락적 혜택과 개인적 혜택은 콘텐츠 이용자들의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생함과 편리성은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플로우는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속사용의도는 방문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는 360° VR 관광 콘텐츠의 이용동기, 플로우, 지속사용의도가 방문의도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규명한 것에 의의가 있고 360° VR 관광 콘텐츠 소비가 방문의도를 강화시키는 마케팅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VR기기 수용관련 소비자 연구 (Consumer Study on the Acceptance of VR Headsets based on the Extended TAM)

  • 진천천;박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117-126
    • /
    • 2018
  • 본 연구는 VR기기를 중심으로 VR기기 수용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제출하고 이러한 요인들과 소비자들의 수용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VR기기를 사용해 본 중국 소비자 238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AMOS 23.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 다양성과 자기효능감이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희성을 경유하여 지각된 유용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지각된 가격은 수용의도에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은 모두 VR기기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VR기기에 주목하고 있는 기업이 타겟으로 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마케팅 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VR 콘텐츠의 사이버 멀미 유발 요인: 시점과 움직임의 효과에 대한 실험 연구 (Causes of Cyber Sickness of VR Content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iewpoint and Movement)

  • 정지영;조광수;최진해;최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00-208
    • /
    • 2017
  • 가상현실 시장의 빠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사이버멀미(Cyber sickness) 증상은 여전히 사용자 경험 차원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VR 콘텐츠의 시점과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멀미증상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 설계를 통해 VR 헤드셋을 착용하고 게임 콘텐츠를 수행할 때 1인칭-3인칭의 시점 조건과 수직축-수평축의 머리 움직임 조건이 사이버 멀미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3인칭보다 1인칭 시점에서, 수직축보다 수평축 회전 움직임 조건에서 멀미 증상이 더 심했다. VR 착용시의 시점과 움직임은 사이버 멀미에 영향을 미치지만, 시점과 움직임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멀미감 감소와 함께 균형있는 VR 사용자 경험을 구축하기 위해 콘텐츠 기획에서 고려해야 실무적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적절 수준의 콘텐츠 몰입을 위한 시각적 디자인, 다중감각 인터페이스 디자인, 체험 마케팅 전략을 통해 VR의 긍정적 경험을 강화할 수 있다. 다양한 VR 콘텐츠 장르 개발을 위한 좌우 이동축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