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R 기술

Search Result 81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Implementation of a Nonlinear MPEG-2 Editing System (비선형 MPEG-2 편집 시스템의 구현)

  • Chang, Kwang-Whoon;Kim, Jin-Ho;Jang, Ho-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317-132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R 연구센터에서 개발한 비선형 MPEG-2 편집 시스템인 "솔거 (Solger2001)"를 소개한다. 솔거는 PC 환경에서 MPEG-2 스트림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통합형 비선형 편집기로, MS 사의 DirectShow 기반의 서브모듈(sub-module)로 개발된 여러 필터들을 기반으로 다양한 시각/음향효과 처리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코덱의 속도론 높이기 위하여 Intel 의 MMX 기술을 적용하였다. 솔거의 특징은 시스템의 구성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하드웨어 부가 장치 없이 모든 하부 모듈을 소프트웨어만으로 구성하였으며. DirectShow 필터를 기반으로 개발하여 시스템의 확장성과 이식성을 높였다.

  • PDF

Contents Navigation System using Speech Recognition (음성인식 기반 컨텐츠 네비게이션 시스템)

  • Kim, Kee-Beak;Choi, Jong-Ho
    • KSCI Review
    • /
    • v.15 no.1
    • /
    • pp.99-102
    • /
    • 2007
  • 최근 들어 인간의 의지를 각종의 전자시스템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음성인식 인터페이스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처리시간의 감소 및 범용 인터페이스의 개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하드웨어 기반의 상용 IC로 생산되고 있는 음성인식프로세서인 RSC-4128이 내장된 음성인식 모듈 VR-STAMP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한 시스템은 T2SI(Text To Speaker Independent) 기반의 화자(話者)독립 방식으로 음성인식 신호를 컨텐츠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신호로 활용하여 임베디드 시스템 및 PC 등에 설치된 윈도우즈 기반의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필드 테스트를 통해 그 유용성을 확인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컨텐츠 네비게이션은 물론 가전기기 제어 및 흠 네트워크 등에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for video-conference architecture in Virtual Reality based on SVTE (SVTE를 기반으로 한 가상 공간에서의 비디오 컨퍼런스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Tae-Hun;Kim, Nam-Hyo;Kim, Sun-Woo;Choi, Yeo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2
    • /
    • pp.219-222
    • /
    • 2005
  • 비디오 컨퍼런스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분산된 그룹의 의사소통 및 공동작업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는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 및 경제성에서 특히 강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SVTE(Shared Virtual Table Environment)를 기반으로 하여, 3D 비디오와 Virtual Reality 기술을 결합한 차세데 비디오 컨퍼런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서로 공유된 공간내에서, 평면상의 2D 화면보다 더욱 사실감 있는 3D 영상을 제공하는 비디오 컨퍼런스 시스템의 구조를 보이고, 제안된 시스템에서 고려되어야 할 영상처리 기법을 설명한다.

  • PDF

Fire safety education and virtual training system (소방안전교육 가상훈련 시스템)

  • Yoon, Tae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335-33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가상훈련 기반 소방안전교육에 관한 것으로, 건물 내 화재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기존의 소방교육은 오프라인 형태로 여러 명이 모여 훈련을 받아야 하는 만큼 공간적, 시간적 제약이 많다. 이러한 시공간적 제약을 없는 체감형 훈련 방안을 시스템으로 구축하고, 소방 훈련 콘텐츠를 탑재한다. 건물 내 화재 발생시 5분내 초기 대처가 중요한 만큼. 가상훈련의 실제 5분을 기준으로 훈련 방법을 제시한다. 본 소방안전교육 시스템은 HMD(Head Mounted Display)을 적용하여, 3차원의 입체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며, 훈련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공간 내 실시간 반영될 수 있는 기술을 포함한다.

  • PDF

확장된 가상현실인 메타버스에서의 보안 위협 분석

  • Jeong, Soo Yong;Seo, Chang Ho;CHO, Jin-Man;Jin, Seung-Hun;Kim, Soo Hyung
    • Review of KIISC
    • /
    • v.31 no.6
    • /
    • pp.47-57
    • /
    • 2021
  • 사용자들의 간접 경험 및 다양한 커뮤니티 생성을 위해 사용되었던 기존의 2차원 온라인 세상은 시각적 표현 및 사람의 특징을 반영하는 것에 한계점이 뚜렷하다. 따라서, 보다 현실과 유사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특히, 사람의 행동 및 상태 등을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하였다. 그 결과 현실과 유사한 3차원 세계인 메타버스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메타버스는 새로운 신분인 아바타로 사용자들의 높은 자유도를 보장하며 현실 세계와 유사한 활동과 함께 현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메타버스의 발전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지만, 메타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현재, 3차원 세계 구축을 위해 기존보다 많은 종류의 데이터 수집으로 새로운 보안 이슈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AR, VR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 활용과 사용자들의 자유도 보장에 따른 보안 위협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에 대해 분석하고, 이전의 다양한 연구들을 정리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보안 위협을 분류한다. 그리고 해당 위협의 대응방안과 함께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A Study of Evaluation Model of VR(Virtual Reality) Game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 연구)

  • Park, Cha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345-34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게임의 평가 모델은 장르별, 재미요소 특성에 맞게 연구 되어 왔다. 가상현실 게임에 대한 평가 모델은 아직까지 연구 제안된 모델이 없었다. 4차 산업과 연관하여 가상현실은 최근 가장 각광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며 기술의 발달은 게임 분야와 관련하여 많은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 항목은 5가지로 구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슈팅 게임을 활용하여 이를 평가 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평가영역을 바탕으로 가상현실 게임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게임 개발의 성공을 위한 하나의 가치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Fun Factor Evaluation of VR(Virtual Reality) Shooting Game (가상현실 슈팅 게임의 재미요소 평가)

  • Park, Cha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339-34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의 재미요소를 평가한다. 가상현실은 4차 산업과 연관하여 최근 가장 각광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가상현실 게임을 즐기기 위한 기술의 발달은 가장 산업화가 활성화 되어 있는 게임분야에서 활발하다. 장르 또는 기능성 등에 관계없이 성공적으로 게임을 개발하는 것은 모든 게임 개발자들의 목표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게임 재미 요소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가상현실 게임의 재미요소를 설문을 통하여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보다 성공적인 가상현실 게임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 PDF

3D Depth Estimation by Using a Single Smart Phone Camera (단일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3D 거리 추정 방법)

  • Bae, Chul Kyun;Ko, Young Min;Kim, Seung Gi;Kim, Dae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40-243
    • /
    • 2018
  • 최근 VR(Virtual Reality)와 AR(Augmented Reality)의 발전에 따라 영상 또는 이미지에서 카메라와 물체 사이의 거리를 추정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와 물체 사이의 거리 추정 방법 중에서 단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의 흐림 정도를 분석하여 3D 거리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한다. 특히 고가의 렌즈가 장착된 DSLR 카메라가 아닌 스마트폰 카메라 이미지에서 DFD를 이용한 거리 추정 방법 중 1개의 이미지를 이용한 3D 거리 추정 방법과 초점이 서로 다른 2개의 이미지를 결합하여 3D 거리를 추정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최적회된 피사체 범위에 대해 연구하였다. 한 개의 이미지를 이용한 거리 추정에서는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200 mm로 설정할 때,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한 거리 추정에서는 두 이미지의 초점 거리를 각각 150 mm, 250 mm로 설정했을 때 가장 넓은 거리 추정 범위를 갖는다. 또한, 두 거리 추정 방법 모두 초점 거리가 가까울수록 가까운 물체의 거리 추정에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nteraction art using Video Synthesis Technology

  • Kim, Sung-Soo;Eom, Hyun-Young;Lim, C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v.7 no.2
    • /
    • pp.195-200
    • /
    • 2019
  • Media art, which is a combination of media technology and art, is making a lot of progress in combination with AI, IoT and VR. This paper aims to meet people's needs by creating a video that simulates the dance moves of an object that users admire by using media art that features interactive interactions between users and works. The project proposed a universal image synthesis system that minimizes equipment constraints by utilizing a deep running-based Skeleton estimation system and one of the deep-running neural network structures, rather than a Kinect-based Skeleton imag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images implemented through the deep learning system were successful in generating the same results as the user did when they actually danced through inference and synthesis of motion that they did not actually behav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iewer-Media Center

  • Kim, DongHyun;Yoon, Joon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v.8 no.4
    • /
    • pp.1-7
    • /
    • 2020
  • Recently, new media such as YouTube and AR/VR have emerged, and media content has become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To respond to the new media environment, the Korean government wanted to increase people's access to media and to enhance their ability to utilize i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viewer-media center. In this paper, based on the scor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s of the viewer-media center were verified to provide their effectiveness. This paper also suggests and comments on the programs that the viewer-media center should focus 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icacy among educational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