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PERIDA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6초

A comparison of five Korean snake species' reproductive organ sizes, Oocatochus rufodorsatus and Rhabdophis tigrinus in Colubridae and Gloydius saxatilis, G. brevicaudus and G. ussuriensis in Viperidae

  • Lee, Heon-Joo;Kim, Ja-Kyeong;Kim, Il-Hun;Koo, Kyo-Sung;Park, Jaejin;Kwon, Se-Ra;Park, Dae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4호
    • /
    • pp.477-483
    • /
    • 2015
  • Characteristics of snake reproductive organs that are relatively less affected by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means of classification; additionally, such characteristic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a species' reproductive system.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testis weights, hemipenis lengths and retractor muscle lengths of male Oocatochus rufodorsatus and Rhabdophis tigrinus in Colubridae and Gloydius saxatilis, G. brevicaudus and G. ussuriensis in Viperidae. The snake snout-vent lengths (SVL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three reproductive organ sizes, but the body weight only exhibit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testis weight. The three organ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relative testis weights and retractor muscle lengths (divided by the body weight and SVL, respectively) of the Colubridae snakes were greater than for the Viperidae snakes, but the relative hemipenis lengths (divided by SVL)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lative testis weight of G. saxatilis and the relative retractor muscle lengths of the Viperidae snakes were smaller compared with the Colubridae snakes. The relative hemipenis length of O. rufodorsatus was greater than for R. tigrinus, G. saxatilis and G. brevicaudus. Additional comparisons were not significant. Our results may facilitate further studies on hemipenial morphology and mating competition in Korean snakes. This is the first study on Korean snake reproductive organs.

척추동물의 Isozyme에 관한 비교연구: III. 한국산 뱀목의 Lactate 및 Malate Dehydrogenase Isozyme

  • 김순옥;조동현;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5
    • /
    • 1973
  • 한국에서 서식하는 뱀과, 살모사과, 및 북살모사과에 속하는 몇종의 파충류에서 각 장기별로 MDH 및 LDH isozyme을 조사하였던 바 MDH는 2개의 isozyme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동일하였다. 그러나 대륙유혈목이의 MDH isozyme은 이동속도가 빠른 점이 다른 종과 다르다. 뱀과, 살모사과 및 북살모사과의 구성원 각 종에서 4개의 LDH isozyme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과 간조직의 LDH isozyme은 근본적으로 같은 pattern이었고 $LDH_4$가 없는 것이 뱀과, 살모사과 및 북살모사과의 특징이었다. 한편 심장에서는 2개의 LDH isozyme이 발견되는데 근조직과는 반대되는 pattern 이었다. 위 homogenate에서 나타나는 LDH isozyme은 심장의 pattern과 동일하다고 볼수 있는데 살모사과와 북살모사과에서는 4개의 isozyme이 나타나는 점이 독특하였다. 따라서 실험 동물의 MDH 및 LDH isozyme pattern에서 의미있는 다양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국내 뱀류 9종의 비늘 크기와 형태 비교 (The Comparison of Size and Morphology of Scales in Nine Korean Snake Species (6 in Colubridae, 3 in Viperidae))

  • 구교성;박소현;김종선;권세라;최우진;박일국;조한나;박재진;오홍식;박대식
    • 생태와환경
    • /
    • 제50권2호
    • /
    • pp.207-215
    • /
    • 2017
  •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파충류의 비늘 (scale)은 생물의 서식환경, 생활사, 기초생태 등을 잘 반영하기 때문에 종의 특징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서식하는 뱀류의 외부 형태에 따른 종적 차이를 밝히기 위해 국내 서식하는 뱀과(Colubridae) 내 6종(무자치 Oocatochus rufodorsatus, 누룩뱀 Elaphe dione, 유혈목이 Rhabdophis tigrinus, 대륙유혈목이 Amphiesma vibakari, 능구렁이 Dinodon rufozonatum, 실뱀 Hierophis spinalis)과 살모사과(Viperidae) 내 3종(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살모사 G. brevicaudus, 까치살모사 G. saxatilis) 총 9종을 대상으로 등비늘, 배비늘과 인접한 최외각 등비늘, 등비늘에 형성된 용골(keel) 그리고 배비늘에 대한 크기와 형태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뱀과와 살모사과 내 뱀들 사이 비늘의 형태적인 차이는 뚜렷했으며, 이들의 섭식 유형 및 이동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구렁이는 다른 종들과 다르게 독특한 마름모형의 등비늘을 가지고 있었으며, 배비늘의 너비/길이 비도 다른 종들과 구분되었다. 용골의 경우 무자치, 능구렁이, 실뱀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누룩뱀은 등비늘의 일부에서만 확인되었다. 살모사 3종 간 비늘의 형태적 차이는 기존에 알려진 3종 간 유전적인 관계와도 부합되게 나타났다.

First complete mitogenome sequence of Korean Gloydius ussuriensis (Viperidae: Crotalinae)

  • Hye Sook Jeon;Min Seock Do;Jung A Kim;Yoonjee Hong;Chae Eun Lim;Jae-Hwa Suh;Junghwa A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27-130
    • /
    • 2024
  • The first complete mitogenome sequence of the Red-tongue Pit Viper (Gloydius ussuriensis) from Korea was characterized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The mitogenome is a circular molecule (17,209 bp) with a typical vertebrate mitogenome arrangement, which consists of 2 ribosomal RNA genes (rRNA), 22 transfer RNA genes (tRNA), two non-coding regions (D-loop), and 13 protein-coding genes (PCGs). The base composition of the mitogenome is 32.7% of A, 27.5% of C, 13.9% of G, and 25.9% of T, with a slight AT bias(58.6%). This phylogenetic analysis infers that G. ussuriensis is in the same group as the Chinese G. ussuriensis (Accession No. KP262412) and is closely related to G. blomhoffi and other species of the genus Gloydius. In our study, the complete mitogenome sequence of Korean G. ussuriensis was characterized and we provided basic genetic information on this species.

발신기 삽입시 발신기 무게가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와 까치살모사(Gloydius saxatilis)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eight of radio-transmitters on survival of Red-tongue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 and Short-tailed viper snake (Gloydius saxatilis)in the radio-transmitter implantation)

  • 도민석;심재한;최영민;유정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5-92
    • /
    • 2014
  • 한국에 서식하는 뱀목(Squamata) 중 살모사과(Viperidae)에 속하는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와 까치살모사(Gloydius saxatilis)를 대상으로 무선추적기법을 이용한 행동권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모든 개체에게 체중 대비 5% 이내의 발신기를 삽입하였다. 쇠살모사 5개체, 까치살모사 6개체 총 11개체를 대상으로 발신기 삽입수술을 시행한 결과 쇠살모사의 경우 체중 대비 발신기 무게 비율은 평균 4.2%였으며, 까치살모사의 경우 평균 2.2%였다. 발신기삽입 후 회복기간 동안 까치살모사는 모두 생존한 반면 쇠살모사는 전체 5개체 중 4개체가 생존하지 못해 생존율이 20% 밖에 되질 않았다. 이전의 선행 연구들에서는 체중 대비 발신기 무게 비율을 1-7%까지 다양하게 권고하고 있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쇠사모사와 까치살모사의 행동생태 연구에서 이용되는 몸무게에 대한 발신기 무게 비율은 최소 3.6% 이내로 정해야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독(蛇毒)에 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The Study on The Snake Venom)

  • 이진선;권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3-91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astigate the researches of Snake Venom and snakes which used in treatment 1. The fist literature that used the snake for treatment is Shin Nong Ben Cao Jing 2. Composition of Snake Venom is consist of Enzymatic proteins ; Phospholipase A(A1-2), Protease, L-amino acid oxidase etc, and Non-enzymatic proteins ; Crotamine(Cytolysin), Proteolytic factor(Hematoxin), Crotoxin(Neurotoxin) etc. 3. Main toxins in Snake Venom are Hematoxin, Cytolysin, Neurotoxin and Cardiotoxin. Lethal dose 50 value of Agkistrodon brevicaudus is $45.87{\mu}g$/18g, Agkistrodon saxatilis is $10.28{\mu}g$/18g, Agkistrodon ussuriensis is $8.68{\mu}g$/18g, therefore Agkistrodon ussuriensis has strongist Snake Venom of all in Korea. 4. Pharmacological actions of Snake Venom are anticoagulation, thrombolytic function, hypotensor etc. 5. Systemic syndromes and signs after snakebite are Dizziness(25.7%), Vomitting(23.1%), Fever(22%), Visual disturbance(18%), Headache(17.7%) and Dyspnea(17.6%), etc. 6. Local syndrome and sign after snakebite is Discoloration(54.2%), Bleeding(20.2%), Bullae(10.7%), Skinulcer(10.8%), etc. 7. Pathological syndromes after snakebite are WBC increase, Urine protein, Urine sugar, Haematuria and elevation of S-GDT, S-GPT etc. These syndromes are leaded by Hematoxin and Cytolysin. 8. Complication signs after snakebite are Cellulitis, Gastritis, Lympoma, Abscess etc. 9. Common function of Viperidae(Agkistrodon acutus or Zaocys dhumnades etc) is expelling the wind(祛風), removing obstruction in the channels(通絡), antipastic function(止痙). And it is used in order to cure hemiparesis, hemiplegia, facial palsy and CVA disease, etc. 10. Using way of snake for medical treatment is various like Herbal alchol therapy, pill, powder and injection etc. The Study on the Snake Venom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for using of medical treatment.

Movement and Home Range of the Red-Tongued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 Inhabiting Gapado

  • Kim, Byoung-Soo;Oh, Hong-Shik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2-199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vement and home range of the red-tongued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 from June 2006 to June 2009. This snake species inhabits an islet on Jeju Island, Gapado. A total of 132 individual snakes were marked during the study. Among the marked individuals, the number of snakes recaptured more than once was 22 (16.8 %)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recaptured more than twice was eight (6.1 %), indicating a relatively low recapture rate. The durations from capture to recapture varied from 1 to 710 days. However, the capture points were not much different, indicating that the moved distance of snakes and the interval between capture-recapture were not correlated. The home ranges of the Red-tongued viper snakes calculated from data of the snakes which were captured more than three times using the MCP(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were $8{\sim}167m^2(64.0{\pm}57.0m^2)$, suggesting that this snake is relatively sedentary. Home range size differences between female ($Mean=62.0m^2$) and male ($Mean=66.0m^2$) snak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red-tongued viper population of Gapado,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ody size and home range size although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r=0.675). Our results provide valuable data to understand life patterns of the red-tongued viper snakes and will be useful when conducting further ecological studies on other snake species.

Development of microsatellite markers to assess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red-tongue viper, Gloydius ussuriensis (Reptilia: Viperidae) on the Korean Peninsula

  • Jung A Kim;Mu-Yeong Lee;Hye Sook Jeon;Min Seock Do;Kyo Soung Koo;Sang-Cheol Lee;Ji-Hwa Jung;Yoon-Jee Hong;Junghwa A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281-285
    • /
    • 2023
  • The red-tongue viper(Gloydius ussuriensis) is one of only three species of the genus Gloydius found in South Korea. Gloydius ussuriensis has a narrow activity radius and is distributed nationwide, and this species was reported to have the largest population among the Korean species in genus Gloydius. Preliminary results of a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t of the mitochondrial DNA indicated that domestic G. ussuriensis is not comprised of monophyletic groups, and morphological analysis showed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populatio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17 microsatellites for the analysis of G. ussuriensis genetic diversity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se microsatellites were developed using six multiplex panels, which could be employed to validate 80 G. ussuriensis specimens from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in South Korea. The averag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was 12.2 and ranged from 4 to 25 alleles; the observed heterozygosity ranged from 0.238 to 0.950 and the expected heterozygosity ranged from 0.213 to 0.933. As a result of assessing four inland populations, a high level of genetic diversity was confirmed. These newly developed markers will be useful for further studies on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evolutionary history of the G. ussuriensis.

한국산 살모사과 3종의 경쟁과 공간적 생태 - 생태적 지위를 기반으로 한 모델과 지리정보시스템 적용 - (Interspecific Competition and spatial Ecology of three Species of Vipers in Korea: An Application of Ecological niche-based Models and GIS)

  • 도민석;이진원;장환진;김대인;유정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3-184
    • /
    • 2016
  • 생물종의 경쟁과 공간적 분포, 생태적 지위의 관계에 대한 정보는 생물지리학적 분포형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살모사과 3종(Gloydius ussuriensis, G. brevicaudus, G. saxatilis)에 대해 관찰자료와 종 분포 모델 기법을 바탕으로 분포 특성과 종의 생태적 지위를 산출하였고, 예측된 종 분포 모델들을 바탕으로 지리적 분포와 생태적 지위의 분화에 대한 종간 경쟁 관계의 영향을 추론하였다. 연구 결과 고도가 살모사들의 분포에 가장 중요한 환경변수로 나타났으며, 그들이 분포한 고도는 그 지역의 기후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종간 생태적 지위는 비교적 높게 중첩되어 있었지만, 예측된 3종의 분포형태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차이를 나타냈다. 분포모델들을 중첩한 결과, 종간 중첩된 지역의 서식지는 대부분 산림지역으로, 전체 조사 지역에 비해 비교적 작은 범위가 중첩되어 접소적인 분포형태가 예측되었다. 또한 중첩된 지역에 분포한 개체수는 종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이 지역에서 종간 경쟁이 심하지 않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살모사과 3종은 유사한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직접적인 경쟁 없이 접소적인 분포형태를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접소적인 분포형태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요인을 알아내기 위해, 보다 자세한 생태학적, 행동학적 연구와 더불어 비교적 세밀한 격자 크기를 통한 다양한 지형변수(고도, 미소서식지 특성 등)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한국산 독사의 생태학적 특징 및 독성, 교상빈도에 관한 조사, 연구 (Ecological Study on Poisonous Snake and Investigation of the Venom Characteristics, Snakebiting Frequenty in Korea)

  • 심재한;손영종;이상섭;박경석;오희복;박영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8-77
    • /
    • 1998
  • 한국에 서식하는 독사는 살모사과(Viperidae)의 살모사(Agkistrodon brevicaudus), 쇠살모사(Agkistrodon ussuriensis), 까치살모사(Agkistrodon saxatilis) 등, 총 3종이고, 뱀과(Cloubridae)의 유혈목이(Rhabdothis tigrinus tigrinus) 등, 총 4종(16종 중에서 4종 : 25%)으로서, 이들 4종의 교미시기는 7,8월이며, 살모사류 3종은 난태생 그리고 유혈목이는 난생으로 번식한다. 또한 활동기는 4월부터 9월까지며, 이 기간중 적절한 온도는 20$\circ $C~29$\circ $C이다. 외부온도가 10$\circ $C 이하로 내려가는 10월말부터 11월 중순에 땅속, 바위밑 틈, 돌담 그리고 논둑 등지로 숨어 동면에 들어간다. 4종의 독사가 보유하고 있는 독액에는 혈액성독소(Hematoxin), 세포성독소(Cytolysin), 신경성독소(Neurotoxin) 그리고 심장독소(Cardiotoxin)가 있으며, 이 독소가 동물의 몸에 주입되었을 때 전신증상으로는 현기증(25.7%), 구토(23.1%, 발열(22%), 시각장애(18%), 두통(17.7%) 그리고 호흡곤란(17.6), 국소증상으로는 환부변색(54.2%), 출혈(20.2%), 수포형성(10.7%, 피부궤양(10.8%) 등이 나타난다. 전남대, 조선대, 그리고 충남대를 대상으로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집계된 독사교상 환자는 년 평균 25.6명이나 실지로 우리나라 전체 인원은 년 평균 2,700여명으로 추산되었으며, 전체적으로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월별 독사교상 환자수의 비교에서 독사의 활동이 가장 완성한 8월에 약 25%로 가장 많았고, 사망자수는 1.8%(26/1,430)였다. 성별 비교에서 남자가 64.5%로 여성에 비하여 2배였고, 연령별로는 50대가 19%로 가장 많이 교상을 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독사교상 장소는 밭(48.2%)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산(26%)과 논(10.4%)이었다. 가장 많이 교상당한 부위는 손(47.8%)과 발(39.5%)이었으며, 교상독사는 쇠살모사(27.1%), 살모사(22.6%) 그리고 까치살모사(9.6%) 순이었다. 미동정 교상독사는 40.7%였으며, 수입항독소에 의하여 치료된 환자수는 75.9%(1,068/1,407)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