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FR-3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1초

당뇨병 쥐에서 혈관내피 성장인자 수용체-1 차단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내막 형성과 혈관평활근세포 이동의 억제 (Inhibition of Neointima Formation and Mig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by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1 (Flt-4) Peptide in Diabetic Rats)

  • 조민섭;유기동;박찬범;조덕곤;조규도;진웅;문건웅;김철민;왕영필;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4호
    • /
    • pp.264-272
    • /
    • 2007
  • 배경: 혈관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혈관평활근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의 증식과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혈관신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당뇨병은 VEGF의 발현과 연관되어 정상 혈당상태에서 보다 세포의 증식을 더욱 촉진시킨다. 당뇨병쥐에서 VEGF 수용체의 선택적 차단이 손상된 혈관에서 신내막 형성과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 뜻 방법: 당뇨병 쥐의 경동맥 풍선손상 모델에서 위약을 투여하거나, 혈관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1(VEGFR-1)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항-Flt-1 펩타이드(anti-Flt-1 peptide; Gly-Asn-Gln-Trp-Phe-Ile)를 풍선손상 2일 전부터 0.5mg/kg의 용량으로 2주간 매일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Hematoxylin-Eosin 염색을 하여 신내막의 형성정도와 혈관내강의 협착정도를 비교하였으며, proliferative cell nuclear antigen (PCNA)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시행하여 세포의 증식정도를 관찰하였다. 혈관평활근세포를 고혈당환경에서 배양하고 transwell assay를 시행하여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였다. 고혈당 환경에서 자라고 있는 혈관평활근세포에 50ng/mL의 VEGF를 단독 또는 3ug/mL의 항-Flt-1 펩타이드와 함께 처리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matrigel filter를 통과한 세포를 세어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은 세포가 이동한 정도와 비교하였다. 또한, 혈관평활근세포에 세포이동 정도 측정 시와 같은 처리를 한 후, RNA를 분리하고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시행하여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nase, MMP)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신내막의 면적은 위약 투여 쥐는 $0.24{\pm}0.03 mm^2$이었으나, 항-Flt-1 펩타이드의 처리에 의해 $0.15{\pm}0.04 mm^2$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신내막 형성에 따른 내강의 협착 정도도 위약 투여 쥐는 $61.85{\pm}5.11%$, 항-Flt-1 펩타이드 투여 쥐는 $36.03{\pm}3.78%$로 항-Flt-1 펩타이드 투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신내막의 전체 세포수에 대한 PCNA(+)인 세포를 백분율로 구하였으며, 위약 투여 쥐와 항- Flt-1 펩타이드 투여 쥐에서 각각 $52.82{\pm}4.20%,\;38.11{\pm}6.89%$로 나타나 항-Flt-1 펩타이드를 투여한 쥐에서 PCNA(+)인 세포가 유의하게 적음을 보이고 있다(p<0.05).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 정도 측정에서는 항-Flt-1 펩타이드 처리에 의하여 VEGF에 의한 혈관평활근 세포의 이동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또한, 항-Flt-1 펩타이드 처리에 의하여 VEGF에 의한 MMP-3와 MMP-9 mRNA의 발현 증가가 억제되었다. 결론: 항-Flt-1 펩타이드는 당뇨병쥐의 경동맥손상모델에서 신내막 형성을 억제하였으며, 고혈당 환경에서 배양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과, MMP-3와 MMP-9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난소의 황체협막세포에서 E-cadherin, N-cadherin과 세포부착에 미치는 Prostaglandin F2 Alpha의 영향 (Effect of Prostaglandin F2 Alpha on E-cadherin, N-cadherin and Cell Adhesion in Ovarian Luteal Theca Cells)

  • 이상희;정배동;이승형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60-369
    • /
    • 2019
  • Cadherin은 원형질막에 존재하며 세포-세포 결합에 관여하며, 황체 구조 유지에 필수적인 단백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prostaglandin F2 alpha ($PGF2{\alpha}$)가 황체의 협막세포(luteal theca cells, LTCs)의 E-cadherin, N-cadherin 및 세포-세포부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수행하였다. 황체세포는 소의 황체중기 조직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황체세포 중에서 mesenchymal 세포 형태학적 특성을 가지는 세포만을 분리하여 LTCs로 판단하였다. 이 후 steroidogenic 기능 및 혈관세포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3{\beta}$-HSD 및 VEGF2R mRNA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E-cadherin 및 N-cadherin mRNA를 사용하여 LTCs 내 cadherin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였다. 또한 0, $10^{-5}$, $10^{-4}$$10^{-3}M$ $PGF2{\alpha}$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LTCs의 E- 및 N-cadherin 단백질을 관찰한 후 세포-세포 접착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LTCs에서 $3{\beta}$-HSD mRNA가 발현되었지만, VEGFR2 mRNA는 발현되지 않았으며, E-cadherin 및 N-cadherin mRNA 모두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및 N-cadherin 단백질은 $10^{-5}$, $10^{-4}$$10^{-3}M$ $PGF2{\alpha}$를 처리한 LTCs에서 응집되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PGF2{\alpha}$에 의해 LTCs의 세포부착 효율이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PGF2{\alpha}$는 LTCs의 E- 및 N-cadherin을 붕괴시켜 세포부착을 감소시켰고, 이러한 결과는 황체퇴행의 새로운 원인을 밝혀 내기 위한 cadherin과 세포부착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Inhibitory effect of ginsenglactone A from Panax ginseng on the tube formation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and migration of human ovarian cancer cells

  • Dahae Lee;Ranhee Kim;So-Ri Son;Ji-Young Kim;Sungyoul Choi;Ki Sung Kang;Dae Sik Ja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246-254
    • /
    • 2023
  • Background: Here, we aimed to assess the inhibitory effect of a new compound from Panax ginseng on the migration of human ovarian cancer cells and tube formation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Methods: A new compound, ginsenglactone A (1), was isolated from ginseng roots, together with seven known compounds (2-8). Spectroscopic data were used to elucidate the chemical structure of 1. The tubular structure formation in HUVECs was assessed by Mayer's hematoxylin staining. The migration of A2780 cells was evaluated using the scratch wound healing assay. Results: HUVECs treated with 1 ha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ubular structure formation compared to the HUVECs treated with compounds 2-8. This effect was enhanced by co-treatment with inhibitors for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 (LY294002)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U0126). Treatment with 1 decreased the expression of phosphorylation of ERK, PI3K,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2 (VEGFR2), Akt, and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In addition, the ability of A2780 cells to cover the scratched area were also decreased. This effect was enhanced by co-treatment with U0126. Lastly, treatment with 1 de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ERK,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and MMP-2.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glactone A is a potential inhibitor of HUVEC tubular structure formation and A2780 cellular migration, which may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its anticancer mechanism.

Anti-angiogenic, Anti-cell Adhesion Switch from Halophilic Enterobacteria

  • Lim, Jong Kwon;Seo, Hyo Jin;Kim, Eun Ok;Meydani, Mohsen;Kim, Jong Deog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56-162
    • /
    • 2006
  • The halophilic enterobacteria, Enterobacteria cancerogenus, was isolated from the intestines of the fusiform fish (Trachurus japonicus) to yield a protein-like material termed PLM-f74. PLM-f74 was characterized by strong inhibition ratios to angiogenesis (82.8% at the concentration of $18.5{\mu}g/mL$) and elevated antioxidative capacities with low toxicity. The PLM-f74 is a glycoprotein comprised of saccharides and amino acids. PLM-f74 inhibited non-activated U937 monocytic cell adhesion to HUVECs activated with IL-$1{\beta}$ by 78.0%, and the adherence of U937 cells treated with the PLM-f74 and stimulated with IL-$1{\beta}$ to unstimulated HUVECs decreased by 102%. When both cell types were pretreated with PLM-f74, the adhesion of U937 cells to IL-$1{\beta}$ stimulated HUVECs was completely suppressed by 121% at a concentration of 18.5 ug/mL. PLM-f74 blocked signal pathways from VEGFR2, PI3K, ${\beta}$-catenin and VE-cadherin to NF-kB based on western bolt analysis. And also inhibited IL-1-stimulated HUVEC expression of the adhesion molecules, ICAM-1 by 40%, VCAM-1 by 60%, and E-selectin by 70% at the same concentration noted above. New anti-angiogenic and anti-cell adhesion materials showing elevated antioxidative capacities and non-toxicity may be expected from these results.

  • PDF

Favorable Outcome in Elderly Asian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Treated with Everolimus: The Osaka Urologic Oncology Group

  • Inamoto, Teruo;Azuma, Haruhito;Nonomura, Norio;Nakatani, Tatsuya;Matsuda, Tadashi;Nozawa, Masahiro;Ueda, Takeshi;Kinoshita, Hidefumi;Nishimura, Kazuo;Kanayama, Hiro-Omi;Miki, Tsuneharu;Tomita, Yoshihiko;Yoshioka, Toshiaki;Tsujihata, Masao;Uemura, Hirotsug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4호
    • /
    • pp.1811-1815
    • /
    • 2014
  • Background: In clinical trials with no upper age limit, the proportion of older patients is usually small, probably reflecting the more conservative approach adopted by clinicians when treating the elderly. An exploratory analysis of elderly patients in the RECORD-1 Trial showed that patients ${\geq}$ 65 y.o. had superior median PFS than overall RECORD-1 population (5.4 months and 4.9 months, respectively).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relative benefit and safety of Everolimus (EVE) as sequential therapy after failure of VEGFr-TKI therapy for older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ell cancer (mRCC), in daily practice. Materials and Methods: 172 consecutive IRB approved patients with mRCC (median age 65, M:F 135/37, 78% clear cell) who received salvage EVE at 39 tertiary institutions between October 2009 and August 2011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Some 31% had progressed on sunitinib, 22% on sorafenib, 1% on axitinib, 41% on sequential therapy, and 5% had received other therapy.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were not included and 95% of the patients had a ECOG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PS) of 0 or 1. Previous radiotherapy was an exclusion criterion, but prior chemotherapy was permitted. Adequate organ function and hematologic parameters were mandatory. EVE administration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t each participating institution and signed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all patients. Results: Median time of the whole cohort to last follow-up was 3.5 months (range 0.4-15.2 months). Forty four percent were continuing to take EVE at last followup. There were 86 (50%) patients ${\geq}$ 65 y.o. and 86 (50%) <65 y.o.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showed PR/SD was higher in the older group than in the younger one (5.9%/61.2% vs 1.2%/46.5%, respectively). Median survival of older patients was also significantly longer (3.5 +/- 0.31 vs 3.1 +/- 0.34, hazard ratio=0.45, CI; 0.255-0.802). Analysis using Cox regression model adjusted for gender, PS, number of metastases, site of metastases, histology, smoking history and age detected an association between age and PFS (p=0.011). The frequency of adverse events in elderly patients treated with EVE was no greater than that in younger patients, although such toxicity may have had a greater impact on their quality of life. Conclusions: Older patients should not generally be excluded from accepted therapies (mTOR inhibitors after failure of VEGFr-TKI therapy) for mRCC.

Identification of Anti-Angiogenic and Anti-Cell Adhesion Materials from Halophilic Enterobacteria of the Trachurus japonicus

  • Lim, Jong-Kwon;Seo, Hyo-Jin;Kim, Eun-Ok;Meydani, Mohsen;Kim, Jong-Deo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0호
    • /
    • pp.1544-1553
    • /
    • 2006
  • The halophilic enterobacteria, Enterobacteria cancerogenus, was isolated from the intestines of the fusiform fish (Trachurus japonicus) to yield a protein-like material termed PLM-f74. PLM-f74 was characterized by strong inhibition ratios to angiogenesis (82.8% at the concentration of $18.5{\mu}g/ml$) and elevated antioxidative capacities with low toxicity. The PLM-f74 is a glycoprotein comprised of saccharides and amino acids. PLM-f74 inhibited cell adhesion that non-activated U937 monocytic cell adhesion to HUVECs activated with $IL-1{\beta}$ by 78.0%, and the adherence of U937 cells treated with the PLM-f74 and stimulated with $IL-1{\beta}$ to unstimulated HUVECs decreased by 102%. When both cell types were pretreated with PLM-f74, the adhesion of U937 cells to $IL-1{\beta}$-stimulated HUVECs was completely suppressed by 121% at a concentration of $18.5{\mu}g/ml$. PLM-f74 blocked signal pathways from VEGFR2, PI3K, ${\beta}$-catenin, and VE-cadherin to NF-kB, based on western bolt analysis. It also inhibited IL-l-stimulated HUVEC expression of the adhesion molecules, ICAM-l by 40%, VCAM-l by 60%, and E-selectin by 70% at the same concentration noted above. New anti-angiogenic and anti-cell adhesion materials showing elevated antioxidative capacities, and non-toxicity may be expected from these results.

Synergistic antitumor activity of a DLL4/VEGF bispecific therapeutic antibody in combination with irinotecan in gastric cancer

  • Kim, Da-Hyun;Lee, Seul;Kang, Hyeok Gu;Park, Hyun-Woo;Lee, Han-Woong;Kim, Dongin;Yoem, Dong-Hoon;Ahn, Jin-Hyung;Ha, Eunsin;You, Weon-Kyoo;Lee, Sang Hoon;Kim, Seok-Jun;Chun, Kyung-Hee
    • BMB Reports
    • /
    • 제53권10호
    • /
    • pp.533-538
    • /
    • 2020
  • Notch signaling has been identified as a critical pathway in gastric cancer (GC) progression and metastasis, and inhibition of Delta-like ligand 4 (DLL4), a Notch ligand, is suggested as a potent therapeutic approach for GC. Expression of both DLL4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2 (VEGFR2) was similar in the malignant tissues of GC patients. We focused o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 known angiogenesis regulator and activator of DLL4. Here, we used ABL001, a DLL4/VEGF bispecific therapeutic antibody, and investigated its therapeutic effect in GC. Treatment with human DLL4 therapeutic antibody (anti-hDLL4) or ABL001 slightly reduced GC cell growth in monolayer culture; however, they significantly inhibited cell growth in 3D-culture, suggesting a reduction in the cancer stem cell population. Treatment with anti-hDLL4 or ABL001 also decreased GC cell migration and invasion. Moreover, the combined treatment of irinotecan with anti-hDLL4 or ABL001 showed synergistic antitumor activity. Both combination treatments further reduced cell growth in 3D-culture as well as cell invasion. Interestingly,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ABL001 with irinotecan synergistically reduced the GC burden in both xenograft and orthotopic mouse models. Collectively, DLL4 inhibition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motility and stem-like phenotype and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DLL4/VEGF bispecific therapeutic antibody with irinotecan synergistically reduced the GC burden in mouse models. Our data suggest that ABL001 potentially represents a potent agent in GC therapy. Further biochemical and pre-clinical studies are needed for its application in the clinic.

미세갑상선유두상암종에서 림프관 생성인자 확인을 통한 림프절 전이의 예측 (Prediction of Regional Metastasis by the Expression of Lymphangiogenic Factors in Micropapillary Thyroid Carcinoma)

  • 이성부;최승호;남순열;조경자;김상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2-37
    • /
    • 2011
  • 서 론 : 미세갑상선유두상암종 환자에서 불필요한 예방적 중앙 림프절절제술을 피하기 위해서 림프절 전이를 수술 전에 예측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림프관 생성 및 성장의 조절에 VEGF-C/D, VEGFR-3 pathway, podoplain이 관여된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 림프관 생성 및 성장과 관련된 인자인 VEGF-C/D, podoplan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과 반정량적 분석을 통해 미세갑상선유두상암종에서 림프절전이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6년 9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본원에서 미세갑상선유두상암종으로 진단받고 1인 술자에 의해 갑상선 전 절제술 및 예방적 중앙 림프절절제술을 받은 104명의 환자 중 중앙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환자와 없었던 환자를 각각 25명씩 무작위로 선별하여 종양부위에 면역화학염색을 실시하여 림프관생성인자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군 50예 중 VEGF-C/D는 50예(100%) 모두 발현이 되었고 podoplanin은 33예(66%)에서 발현이 되었다. 그 중 VEGF-C는 10예(20%)에서 약한 양성, 37예(74%)에서 중등도 양성, 3예(6%)에서 강한 양성소견을 보였고 VEGF-D는 9예(18%)에서 약한 양성, 37예(74%)에서 중등도 양성, 4예(8%)에서 강한 양성소견을 보였다. 중앙 림프절 전이 음성 환자 군과 양성 환자 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VEGF-C/D의 발현율의 차이는 p-value가 각각 0.48, 1.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0예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종양의 개수, 최대크기, 검출된 전체 림프절의 수, 양성 림프절의 수, 주변조직 침범여부에 따른 VEGF-C/D의 발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odoplanin의 경우 염색 여부에 따라 양성군과 음성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종양의 개수, 최대크기, 검출된 림프절의 수, 양성 림프절의 수, 주변조직 침범여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VEGF-C/D는 대상군 전체(100%)에서 발현이 되었고 podoplanin은 66%에서 발현이 되었다. 림프관 생성인자로 알려진 VEGF-C/D및 podoplanin이 미세갑상선유두상암종에서 많이 발현이 되는 것으로 보아 위 인자들이 림프절 전이를 일으키는 인자 중 하나로 생각된다. 하지만 미세갑상선유두상암종에서 중앙 림프절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부적합 한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더 많은 증례를 통해 관련성 여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또 다른 인자의 관련성에 대해서 연구가 필요하겠다.

혈관생성 억제제를 주사한 마우스 모델에서의 골수 세포의 복강 내 주입 후 생착 (Engraftment of Intraperitoneally Injected Bone Marrow Cells to Newborn Mice Injected with an Angiogenesis Inhibitor)

  • 조수진;주선영;우소연;강형진;안효섭;유경하;박은애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1호
    • /
    • pp.22-31
    • /
    • 2008
  • 목 적 : 기관지폐이형성증은 미숙한 폐에서의 혈관과 폐포발달의 저해로 특징 질 수 있다. 폐 발달의 결과를 고려하면 줄기세포의 투여로 자가 회복기전을 이용한 폐 발달의 촉진의 가능성은 유망하고 이로 폐 기관지이 형성의 유병률과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강화된 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를 표기인자로 표시한 줄기세포를 비 EGFP 마우스에 주사하여 생착 여부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VEGFR2 억제제인 SU1498을 생후 3일된 마우스에 주사하여 폐포발달이 저해된 모형을 만들었다. 생후 4일에 $1{\times}10^6$ EGFP 양성 줄기세포를 복강 내로 주입하였다. 줄기세포를 투여한 폐의 형태학적인 분석과 면역염색을 시행 하였고, 주입된 줄기 세포의 생착을 확인하기 위해서 동일초점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SU1498을 주사한 신생마우스에서 폐포 표면적과 평균 폐포 용적이 감소되었다. 폐 발달이 억제된 마우스 모형에서 주입한 EGFP 양성 줄기세포가 발견 되었고, 내피세포와 외피세포로 분화함을 공초점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결 론 : 주입된 EGFP 양성 줄기세포가 혈관생성억제제를 이용하여 만든 마우스의 폐 발달 저해 모형에서 생착 하여 내피세포와 외피세포로 분화함을 확인하였다.

동백꽃 추출물의 신생혈관생성 및 세포부착 억제 효과 (Anti-Angiogenic and Anti-Cell Adhesion Effect of the Camellia japonica Flower Extract)

  • 허인도;서효진;김종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152-1156
    • /
    • 2007
  • 본 실험은 동백꽃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백꽃을 에틸알콜로써 추출한 후 극성이 다른 다양한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나온 fraction으로 신생혈관생성 억제, cell cytotoxity, 세포부착분자에 대한 기능을 ELISA, westen blot 등으로 조사하였다. 신생혈관생성 억제 효과는 특히butanol 층에서 70.2%로 가장 높았으며, acetone층이 54.2%, 그리고 ethylacetate층이 37.0%, chloroform층이 21.2%로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가 있었다. 특히 동백꽃의 butanol층은 신생혈관생성억제제로서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추출물의 농도별로 cell cytotoxity를 조사한 결과 농도가 200 ug/ml 이하에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Cell adhesion 저해율은 추출물의 농도 200 μg/mL 에서 ICAM-1은 52.9%, VCAM-1은 62.5%, 그리고 E-selectin은 35.7%로 나타났으며 동백꽃의 추출물의 성분 증가에 따라 발현이 감소됨으로써 cell adhesion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Westen blot 에서 첨가한 동백꽃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신호전달분자의 발현이 약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호전달 분자는 동백꽃 추출물에 의해서 신호전달이 차단되며, NF-KB를 억제함으로서 신생혈관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동백꽃 추출물은 항암제 및 항비만제제로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