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NET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39초

도로의 차량 밀도 등급을 기반으로 한 VANET 라우팅 프로토콜 (A VANET Routing Protocol Based on the Vehicle Density Level of Roads)

  • 조권희;안상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33-935
    • /
    • 2010
  • VANET 은 ITS 구축에 필수적인 기술로 주변 교통 시스템 환경을 고려한 라우팅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 기반의 VANET 환경에서 차량 간의 안정적이고 빠른 통신을 위하여 차량 밀도를 이용한 라우팅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라우팅 기법에서는 하나의 도로를 여러 개의 cell 들로 나누고 차량들은 비콘 메시지와 cell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밀도를 계산한다. 이 차량 밀도를 이용하여 도로를 여러 개의 등급으로 나누고 이 등급을 기반으로 하여 가장 안정적인 경로를 설정한다.

VANET 프라이버시 보장 아키텍처 설계 (VANET Privacy Assurance Architecture Design)

  • 박수민;홍만표;손태식;곽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1-91
    • /
    • 2016
  • VANET은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프라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환경으로 자동차의 속도, 위치, 교통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를 공유하여 차량 안전 주행 확보 및 교통 체증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ITS 구현의 핵심기술이다. 이처럼 VANET 환경을 통해 운전자의 안전성 증진과 효율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끊임없이 차량 간 또는 차량과 인프라 간의 주고받는 데이터에는 차량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의 프라이버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프라이버시 보장을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만약 VANET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보장 방안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식별 개인정보가 피해 받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여 공격자로부터 표적이 될 수 있으며, 정보의 오류 및 왜곡 등을 유발하여 생명과 재산에도 큰 피해를 안겨 줄 수 있다. 또한, 통신 환경에서의 도청을 통한 프라이버시 정보 노출 및 공격자의 악의적인 위장 공격을 통한 정보 갈취 등의 위협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위협으로부터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해 VANET 프라이버시 보장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VANET 환경을 위한 계층적 구조의 익명 인증 기술 (An Anonymous Authentication in the Hierarchy for VANET)

  • 배경진;이영경;김종현;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563-577
    • /
    • 2018
  • VANET(Vehicular Ad hoc Network)에서 안전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차량 간 또는 차량과 기반 구조 사이에서 교환되는 메시지는 인증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VANET 환경을 위한 계층적 구조의 익명 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 모델은 계층적으로 비밀키를 발급하여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인 PKG의 오버헤드를 줄여 실용성을 높인다. 또한 페어링을 사용하지 않고 설계된 효율적인 2레벨 계층적 ID 기반 서명(Two-Level Hierarchical Identity-Based Signature, TLHIBS)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조건부 익명성을 만족하여 차량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일괄검증(batch verification)을 지원하여 다수의 서명을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VAENT 환경에서 ID 기반 서명 기법들의 안전성 증명이 잘못된 것과는 다르게 제안한 기법의 안전성은 이산 대수 문제(Discrete Logarithm Problem, DLP)에 리덕션되어 랜덤 오라클 모델(random oracle model)에서 증명된다.

Performance Modelling of Adaptive VANET with Enhanced Priority Scheme

  • Lim, Joanne Mun-Yee;Chang, YoongChoon;Alias, MohamadYusoff;Loo, Jonath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4호
    • /
    • pp.1337-1358
    • /
    • 2015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nalytical and simulated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daptive 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 priority based on Transmission Distance Reliability Range (TDRR) and data type. VANET topology changes rapidly due to its inherent nature of high mobility nodes and unpredictable environments. Therefore, nodes in VANET must be able to adapt to the ever changing environment and optimize parameters to enhance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adaptability in the current VANET scheme. Existing VANET IEEE802.11p's 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EDCA assigns priority solely based on data typ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priority scheme which utilizes Markov model to perform TDRR prediction and assign priorities based on the proposed Markov TDRR Prediction with Enhanced Priority VANET Scheme (MarPVS). Subsequently, we performed an analytical study on MarPVS performance modeling. In particular, considering five different priority levels defined in MarPVS, we derived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transmission, the number of low priority messages in back off process and concurrent low priority transmission. Finally, the results are used to derive the average transmission delay for data types defined in MarPVS. Numerical results are provided along with simulation results which confirm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analysis.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arPVS results in lower transmission latency and higher packet success rate in comparison with the default IEEE802.11p scheme and greedy scheduler scheme.

VANET에서 보안과 통신효율을 고려한 MAC기반 SDAP(Secure Data Aggregation Protocol) 설계 (A Design of MAC based SDAP(Secure Data Aggregation Protocol) for security and communication efficiency on VANET)

  • 이병관;안희학;정은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50-652
    • /
    • 2013
  • VANET(Vehicular Ad-hoc NETwork)은 도로에서의 안전, 효율, 안락함을 향상시키고, 상업적인 정보나 혹은 인터넷 접속과 같은 다른 부가 가치 서비스들을 제공하므로,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를 위한 가장 중요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VANET에서 더 나은 통신효율을 위해서는 보안을 희생시키거나, 보안을 위해서는 통신 효율을 희생시키고 있지만, VANET은 이 둘 중 어느 것도 없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둘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간에 일관성이 없는 비정상적인 데이터나 중복되는 데이터를 없애고, 메시지 무결성을 검증하는 MAC(Message Authentication Code) 기반 SDAP(Secure Data Aggregation Protocol)를 제안한다. MAC 기반 SDAP는 데이터 전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파 방해 공격, 위조 공격, 위장 공격과 같은 악의적인 공격도 탐지함으로써 VANET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다.

  • PDF

VANET환경에서의 효율적인 그룹서명기반 메시지 인증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ssage authentication scheme based on efficient Group signature in VANET)

  • 김수현;이임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39-248
    • /
    • 2012
  • VANET(Vehicular Ad-hoc Network)는 MANET(Mobile Ad-hoc Network)의 한 형태로, 다수의 차량들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간 통신 또는 차량과 RSU(Road Side Unit)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이다. 특히, 운전자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V2V 통신의 경우 차량 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 차량 인증 및 조건부 프라이버시 보호 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인증 및 조건부 프라이버시, 부인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그룹 서명 기법을 사용한 보안 기술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빈번한 가입과 탈퇴로 인한 불필요한 통신을 최소화 하고, 그룹 관리자에 의해 생성되는 차량 개인서명키에 대한 키 위탁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그룹서명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차량 간 통신 시에 보다 효율적인 메시지 검증을 위해 BloomFilter를 이용한 메시지 일괄 검증 기법을 제안한다.

VANET 환경을 위한 속도 기반 다중 CDS 생성 기법 (Velocity-based Multi-Connected Dominating Set for VANET)

  • 이규남;유지은;이원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D)
    • /
    • pp.178-180
    • /
    • 2012
  • 차량간 무선 통신 환경인 VANET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문제점 중에 하나는 메시지 브로드캐스팅시 발생 가능한 메시지 폭주 현상(Broadcasting Storm)이다. 최근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나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MANET) 환경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Connected Dominating Set(CDS) 기법을 제안하여 최대한 중복된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였다. MANET의 한 분야인 차량 애드 혹 네트워크(VANET)에서도 이러한 CDS 가상 백본 망을 이용하면 효율적인 메시지 전파를 기대할 수 있지만, 그 동안의 CDS 생성 기법은 노드의 속도와 방향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안정적인 CDS 망을 유지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VANET 환경에 적합한 CDS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드의 이동성을 고려한 기존의 Timer-based CDS 생성 기법에 속도와 방향 두 가지 인자를 추가하여 Velocity-based Multi-CDS(VM-CDS) 기법을 제안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 방안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입증하였다.

VANET 환경에서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요금 결제 프로토콜 (Anonymity Guaranteed Payment Protocol in Vehicular Ad Hoc Network Environments)

  • 나진한;박영호;문상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5B호
    • /
    • pp.849-857
    • /
    • 2010
  • VANET 환경에서 서비스가 안전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보안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VANET 환경에서 사용자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요금 결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한 프로토콜은 후불 카드를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도록 설계하고 사전 등록 과정과 갱신 과정, 요금 결제 과정으로 진행된다. 사전 등록 과정과 갱신 과 정을 통해 사용자의 익명성을 제공하고 요금 결제 시 이동 차량에서의 연산 부하를 줄여 빠른 연산 처리가 제공 된다.

VANET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broadcasting protocol to reduce network fragmentation for VANET)

  • 변정식;김태환;홍원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D)
    • /
    • pp.217-222
    • /
    • 2006
  • VANET은 인프라의 도움 없이 차량 간 무선 에드 혹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이다. VANET은 MANET과는 달리 고속의 이동성, 높은 차량 밀도, 잦은 토폴로지 변화등의 특징으로 인해 잦은 네트워크 단절과 네트워크 부하 증가 등의 문제들을 가진다. 특히 네트워크 단절은 VANET에서 응급메세지 전파 시간 지연 및 네트워크 연결성 저하의 주요 요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 단절을 해결하기 위해 적응형 전달노드 검색(ARNS : Adaptive Relay Node Search) 브로드캐스팅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ARNS는 네트워크 단절 발생 시에만 선택적으로 위험지역 외의 영역에서 노드를 재 검색함으로 낮은 네트워크 부하와 낮은 네트워크 단절율을 가진다. 또한 ARNS은 짧은 전송거리와 낮은 차량밀도에도 네트워크 단절에 강한 특성을 지닌다.

  • PDF

VANET 환경에서 차량 간 효율적인 메시지 전달 기법 (A V2V Effective Delivery Mechanism for the VANET Environment)

  • 황정희;최종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D)
    • /
    • pp.245-247
    • /
    • 2011
  • VANET(Vehicular Ad Hoc Network)는 MANET(Mobile Ad Hoc Network)의 일부분으로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로 기본적인 인프라 없이 차량 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VANET의 차량 간 통신으로 도로 상황이나 충돌 사고를 알려주는 응급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연쇄 충돌 사고를 피할 수 있다. VANET의 응급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차량들에게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보낼 경우 메시지 간의 충돌이 일어나 메시지 수신에 시간이 지연된다. 본 논문에서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보냈을 경우 메시지 간의 충돌로 인한 메시지 폭증을 막기 위해서 일정 랜덤 대기 시간을 기다린 후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일정 랜덤 대기 시간을 기다린 후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게 되면 순수 브로드캐스트 기법보다 충돌이 적어져 메시지 수신 지연 시간이 적어진다.